연예모아

K팝 역사 새로 썼다... 저스트비 배인, 男아이돌 최초 커밍아웃

 그룹 저스트비(JUST B) 멤버 배인이 미국 콘서트 도중 자신이 성소수자임을 공개적으로 밝혔다. 국내 남자 아이돌 그룹 멤버가 공식적으로 커밍아웃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가요계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24일 가요계에 따르면, 배인은 현지 시간으로 지난 22일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저스트비 월드투어 '저스트 오드(JUST ODD)' 공연 무대에 섰다. 그는 팬들 앞에서 영어로 "내가 LGBTQ 커뮤니티의 일원인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I am proud to be a part of the LGBTQ community)"고 말했다.

 

이는 국내 아이돌 그룹 역사상 남자 멤버로서 최초의 공개적인 커밍아웃 사례로 기록될 전망이다. 배인은 이날 공연에서 성소수자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무지개 깃발을 흔들며 미국 팝스타 레이디 가가의 대표곡 '본 디스 웨이(Born This Way)'를 열창해 팬들의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본 디스 웨이'는 성소수자 인권과 다양성을 존중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어 이번 커밍아웃 발언과 맥을 같이 한다.

 


LGBTQ는 레즈비언, 게이, 양성애자, 트랜스젠더, 퀴어의 첫 글자를 딴 약어로 성소수자를 포괄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그동안 국내 연예계에서 성소수자임을 공개적으로 밝힌 인물은 배우 홍석천, 가수 권도운 등이 있었으나, 현역 아이돌 그룹의 남자 멤버가 직접 커밍아웃한 것은 배인이 처음이다. K팝 시장이 전 세계적으로 확장되면서 다양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나온 발언이라 더욱 주목받고 있다.

 

배인의 커밍아웃 발언이 알려지자 국내외 팬들 사이에서는 응원과 지지의 목소리가 쏟아지고 있다. 그의 용기 있는 고백을 지지하며 앞으로의 활동을 응원하겠다는 반응이 주를 이룬다.

 

다만 이번 배인의 커밍아웃 발언과 관련해 소속사 측은 현재까지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소속사가 어떤 입장을 취할지, 그리고 이번 커밍아웃이 저스트비 그룹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번 사건은 보수적인 경향이 강했던 국내 가요계에서 성소수자 가시성을 높이는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받고 있다.

 

'공짜 휴일'의 민낯…내수 진작 효과는 '0', 정부의 민망한 성적표

 정부가 경기 부양과 국민 휴식권 보장을 명분으로 종종 지정했던 '임시공휴일'이 실제로는 내수 소비 증진에 별다른 효과를 내지 못한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추석 연휴를 앞두고 10월 10일 임시공휴일 지정이 최종 무산된 가운데, 한국은행이 발표한 보고서는 임시공휴일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기존의 통념을 정면으로 반박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임시공휴일이 포함된 긴 연휴는 소비의 총량을 늘리기보다는, 연휴 직전에 소비를 집중시키고 연휴 이후에는 오히려 소비를 위축시키는 '기간 간 대체 효과'를 유발하는 데 그쳤다. 실제로 임시공휴일이 있었던 과거 명절 기간의 카드 사용액을 분석한 결과, 연휴 직전에는 소비가 평소보다 10% 이상 급증했지만 연휴가 끝난 뒤에는 되레 5~8% 감소하는 패턴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결국 연휴 전후 약 4주간의 전체 카드 사용액을 합산해보면 임시공휴일이 없던 명절과 비교해 총소비 규모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던 것이다. 이는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하루의 영업일이 줄어드는 효과와 연휴 기간 대면 소비가 늘어나는 효과가 서로 상쇄된 결과로 풀이된다.특히 임시공휴일의 '약발'이 먹히지 않는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로 해외여행의 급증이 지목됐다. 연휴가 길어질수록 국내에 머물며 소비하기보다는 해외로 떠나는 여행객이 늘어나면서, 내수 진작 효과가 해외에서 발생하는 소비로 상쇄되어 버린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사례로 임시공휴일이 포함됐던 2025년 설 연휴 기간에는 역대 최고 수준의 출국자 수를 기록하며, 외식 등 국내 대면 서비스 소비는 오히려 평소 명절보다 감소하는 기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물론 이번 연구는 분석 대상이 된 임시공휴일 사례가 많지 않고, 당시의 경제 여건이나 날씨 등 다른 변수들을 완벽하게 통제하지 못했다는 명백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연구를 진행한 조병수 차장 역시 "임시공휴일 지정의 효과에 대해 일반화하기는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하지만 '임시공휴일=내수 활성화'라는 단순한 공식을 재고하고, 보다 정교한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 결과는 의미가 작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