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백남준 예술, 두 개의 거울에 비추다

 20세기 미술사에 혁명적인 획을 그은 비디오 아티스트, 백남준(1932~2006). 그의 예술 세계를 다각도로 조명하는 두 개의 전시가 동시에 개최되어 예술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경기도 용인시 백남준아트센터에서 열리는 '전지적 백남준 시점'은 백남준이 직접 자신의 작품을 설명하는 아카이브 영상을 통해 그의 예술 철학을 생생하게 전달한다. 반면,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리는 '로봇드림: 백남준 팩토리 아카이브'는 백남준의 작품 제작 과정을 담은 방대한 자료들을 통해 그의 창의적인 영감의 원천과 실험 정신을 탐구한다. 이 두 전시는 서로 보완적인 시각을 제공하며, 백남준 예술의 깊이와 넓이를 더욱 풍성하게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선사한다.

 

'전지적 백남준 시점'은 백남준아트센터가 소장한 2,285점의 아카이브 중 엄선된 영상 자료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196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비디오 아트라는 낯선 장르를 대중에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매체에 출연했던 백남준의 인터뷰 영상들이 편집되어 전시 공간에 배치되었다. 관람객들은 백남준의 육성을 통해 그의 대표작에 대한 심도 깊은 해설을 들을 수 있다.

 

예를 들어, 1964년에 제작된 '달은 가장 오래된 TV'에 대해 백남준은 영상에서 "시간은 보이지 않는다. 나는 시간을 눈으로 보게 하고,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만들고 싶다"고 설명한다. 전자빔의 흐름이 흐트러진 화면은 시간의 시각화를 의미하며, 백남준의 예술 철학을 함축적으로 보여준다. 전시된 작품 '자석 TV' 역시 상대적인 시간의 개념을 시각적으로 드러낸다. 백남준은 TV에 자석을 대고 움직이면서 내부 형광 물질과 전자빔이 충돌하여 빛을 내는 영상을 창조했다. TV 화면에는 여러 원색들이 일그러지고 요동치며, 관람객들에게 강렬한 시각적 경험을 선사한다. '전지적 백남준 시점'은 내년 2월 22일까지 백남준아트센터에서 계속된다.

 


'로봇드림'은 백남준이 로봇 조각을 제작했던 '백남준 팩토리'를 중심으로 그의 작업 과정을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전시다. 백남준의 작품 제작에 사용된 연구 스케치, 설치 도면, 사진을 오려 만든 목업, 사진, 영상 자료 300여 점과 판화 20여 점이 전시되어 그의 창작 과정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특히, 백남준의 작품 제작을 조력했던 디자이너 겸 테크니션 마크 패츠폴과의 협업 과정이 돋보인다. 판화가였던 패츠폴은 1984년부터 1999년까지 미국 오하이오주의 백남준 팩토리에서 다수의 비디오와 로봇 작품을 제작했다. 두 예술가가 협업한 첫 판화 모음집 'V-아이디어, 선험적'(1984)을 포함하여 프랑스 혁명 200주년을 기념하여 8명의 혁명가를 8개의 TV 조각으로 형상화한 시리즈를 판화로 제작한 '진화, 혁명, 결의'(1989) 등이 최초로 공개되어 관람객들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세종문화회관 측은 "백남준의 로봇 작품들은 인간과 기계의 관계를 탐구한 중요한 실험이었다"면서 "로봇이 일상이 된 현대 사회에서 백남준의 로봇이 갖는 의미를 되새기고자 한다"고 밝혔다. '로봇드림'은 27일까지 세종문화회관에서 만나볼 수 있다.

 

백남준 예술에 대한 이해를 돕는 연구서 '백남준: 오래된 것, 새로운 것'이 최근 출간되었다. 독일에 거주하며 백남준 연구에 매진해온 디터 다니엘스 독일 라이프치히 예술대학 교수가 집필한 이 책은 백남준의 대표작 '굿모닝, 미스터 오웰(1984년)'이 지난해 40주년을 맞이한 것을 기념하여 비디오 아트의 출현에서 백남준 연구의 최근 담론까지를 망라하고 있다. 이 책은 백남준 예술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원하는 독자들에게 훌륭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한편 용인 백남준아트센터와 세종문화회관에서 동시에 개최되는 이번 전시는 백남준 예술의 다양한 측면을 조명하며, 그의 예술 세계를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한다. 백남준의 예술을 사랑하는 이들은 물론, 현대 미술에 관심 있는 모든 이들에게 놓쳐서는 안 될 전시가 될 것이다.

 

'언터처블'의 귀환... 6년 만에 마운드 오른 윤석민, 전성기 소환한 소름돋는 슬라이더!

 은퇴와 함께 팬들의 기억 속에서 멀어졌던 야구 레전드들이 다시 그라운드로 돌아와 진한 땀과 눈물을 쏟아냈다. 지난 22일 방송된 JTBC '최강야구' 2025 시즌 첫 회에서는 이종범 감독이 이끄는 새로운 팀 '브레이커스'의 탄생과 대학리그의 신흥 강호 동원과학기술대학교와의 첫 공식 경기가 그려지며 야구 팬들의 심장을 다시 뛰게 만들었다. 단순히 예능을 넘어, 야구를 잊지 못해 다시 뭉친 선수들의 절실함과 진심이 브라운관을 가득 채우며 묵직한 울림을 선사했다.방송은 야구를 향한 변치 않는 애정을 고백하는 레전드들의 모습으로 시작부터 뭉클함을 자아냈다. "이제는 뒤가 없다"며 비장한 각오를 다진 투수 윤석민부터 "잊고 싶어도 잊히지 않는 게 야구"라며 담담히 속내를 털어놓은 이대형까지, 이들의 한마디 한마디에는 야구에 대한 그리움이 짙게 배어 있었다. 특히 주장 완장을 찬 김태균은 끝내 눈물을 보이며 "팬분들께 우승의 기쁨을 드리겠다"고 맹세해 새로운 시즌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화려했던 선수 시절을 뒤로하고 각자의 삶을 살아가던 이들의 모습은 먹먹함을 더했다. 레미콘 기사로 일하던 타자 윤석민은 "'다시 야구를 할 수 있나?'라는 생각에 너무 기뻤다"며 순수한 기쁨을 드러냈고, 고깃집을 운영하며 생계를 꾸리던 이현승은 "이제 팬들이 나를 모른다"는 씁쓸한 현실을 고백하며 다시 '선수'로 기억되고 싶다는 간절한 바람을 전했다.새롭게 지휘봉을 잡은 이종범 감독은 "제 결정에 실망한 분도 계신 것 같아 죄송스럽다"며 진심 어린 사과로 입을 열었다. 그는 "때론 친근하게, 때론 강하게 팀을 하나로 이끄는 리더십으로 승리하는 팀을 만들겠다"며 굳은 각오를 다졌다. 이런 그의 다짐에 화답하듯, 야구계의 큰 어른인 김응용 전 감독이 시구자로 나서 "욕 먹어도 괜찮아. 네가 좋은 거 즐겁게 하면 되는 거야"라는 따뜻한 조언을 건네 이종범 감독의 어깨를 다독였다.이날 공개된 2025 시즌의 목표는 브레이커스의 여정이 결코 순탄치 않을 것임을 예고했다. 고교, 대학, 독립리그 최강팀들과 맞붙는 '최강 컵 대회'에서 우승해야만 '최강'이라는 칭호를 얻을 수 있다는 것. 첫 경기부터 막중한 임무가 주어졌다. 승리 시 상대 팀의 선수를 영입할 수 있는 '선수 영입전'으로 치러진 동원과기대와의 경기. 선발투수 오주원의 호투와 2회말 터진 나주환의 첫 안타, 허도환의 역사적인 첫 득점, 그리고 이종범 감독의 용병술이 빛난 강민국의 2타점 적시타 등을 묶어 4점을 선취하며 기세를 올렸다.하지만 위기는 예상보다 빨리 찾아왔다. 5:1로 앞서가던 4회초, 선발 오주원의 체력이 떨어지기 시작했고, 동원과기대 박민구에게 투런 홈런을 허용하며 5:3까지 추격을 당했다. 팽팽한 긴장감이 감도는 순간, 이종범 감독의 선택은 6년 만에 선수로 마운드에 오르는 '언터처블' 윤석민이었다. "오늘이 마지막이라고 생각하고 후회 없이 던지겠다"는 각오와 함께 마운드에 오른 그는 6년의 공백이 무색하게 전성기를 떠올리게 하는 날카로운 슬라이더로 삼구삼진을 잡아내며 위기를 막아냈다. 레전드의 화려한 부활을 알린 짜릿한 순간이었지만, 경기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과연 브레이커스가 첫 승리를 거머쥐고 88년 만의 월드컵 본선 진출이라는 쾌거를 이룰 수 있을지, 다음 이야기에 대한 궁금증이 폭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