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모아

전공의 파업 딛고 안방극장 컴백, '전공의생활' tvN 구원투수 될까

 슬기로운 의사생활'의 감동을 잇는 스핀오프 드라마, tvN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이 1년여의 기다림 끝에 드디어 안방극장을 찾는다. 오는 4월 12일 첫 방송을 앞둔 이 드라마는 레지던트들의 성장기를 그리며, 최근 의학 드라마 열풍에 힘입어 시청자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다. 특히, 잇따른 시청률 부진으로 고심하고 있는 tvN에게는 이번 드라마의 성공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애초 지난해 5월 방영 예정이었던 '전공의생활'은 의대 증원 정책에 대한 의료계의 반발 시위로 인해 무기한 연기되는 아픔을 겪었다. 전공의를 주인공으로 내세운 드라마인 만큼, 당시 부정적인 여론의 영향을 피할 수 없었던 것이다.

 

하지만 최근 넷플릭스 '중증외상센터'와 디즈니+ '하이퍼 나이프'가 잇따라 흥행에 성공하며 의학 드라마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졌다. 특히 '중증외상센터'는 국내 의료 현실을 날카롭게 조명하며 글로벌적인 인기를 얻었고, '하이퍼 나이프'는 독특한 메디컬 스릴러 장르로 시청자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전공의생활'은 다시 한번 시청자들을 만날 기회를 얻게 되었다.

 

'전공의생활'은 '슬기로운 의사생활'의 세계관을 공유하며, 더욱 확장된 스토리를 선보일 예정이다. 특히, '슬의생'의 주역이었던 '99즈' 조정석, 전미도, 정경호, 유연석, 김대명의 특별 출연은 팬들에게 큰 선물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신원호 PD는 "다들 너무 흔쾌히 응해줬다. 마치 자기 작품처럼 생각해줘서 너무 고마웠다"며 출연진에 대한 고마움을 표했다.

 


이번 드라마는 율제병원 본원이 아닌 종로 율제병원을 배경으로 이야기가 펼쳐지며, 산부인과를 중심으로 다양한 에피소드를 선보일 예정이다. 신 PD는 "산과와 부인과의 이야기를 모두 다루며 신선함을 더해보자는 계획"이라며 "인생이 가장 잘 보이는 과가 아닐까 싶다"고 덧붙였다.

 

'전공의생활'은 의학적인 내용뿐만 아니라, 사회 초년생 레지던트들의 성장 과정을 현실적으로 그려낼 예정이다. 배우 고윤정을 비롯해 신시아, 강유석, 정준원 등이 출연하여 1년 차 레지던트들의 좌충우돌 성장기를 통해 시청자들에게 깊은 공감과 감동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청자들의 기대감은 벌써부터 뜨겁다. 컨슈머인사이트의 조사 결과, '전공의생활'은 넷플릭스 기대작들을 제치고 인지율과 시청 의향률 모두 1위를 차지하며 흥행을 예고했다.

 

tvN 역시 '전공의생활'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올해 들어 '별들에게 물어봐', '감자연구소' 등 기대작들이 연이어 부진하면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과연 '전공의생활'이 시청자들의 기대에 부응하고, tvN의 '구원투수' 역할을 해낼 수 있을지, 오는 4월 12일 첫 방송에 시청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힘' 뺀 국군의 날? 이재명 정부, '간소화'로 던진 안보 메시지

 이재명 정부 첫 국군의 날 행사는 윤석열 정부와 달리 대폭 간소화된 모습으로 진행됐다. 2년 연속 서울 도심에서 열렸던 시가행진은 생략됐고, 병력, 장비, 예산도 작년보다 현저히 감소했다. 이는 군사력 강조보다 남북 긴장 완화와 신뢰 구축을 지향하는 현 정부의 안보관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1일 계룡대 연병장에서 열린 건군 77주년 행사에는 998명의 병력이 참여, 지난해 5천여 명의 5분의 1 규모였다. K2전차, 무인잠수정, F-35A 등 장비 약 40종 100여 대가 참가해, 작년 83종 340여 대 대비 크게 줄었다. 예산도 작년 72억 원의 3분의 1 수준인 27억 원이 투입됐다. 행사기획단은 "간결하게 하겠다는 의지"라고 전했다.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도심 시가행진의 생략이다. 윤석열 정부는 2023년 10년 만에 시가행진을 재개, 지난해에도 2년 연속 도심 시가행진을 벌이며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국민 참여를 독려했다. 통상 5년 주기 시가행진이 2년 연속 열린 것은 전두환 정권 이후 40년 만이었다. 기획단은 시가행진이 기획 단계부터 배제됐다고 설명했다.'국민과 함께하는 선진강국' 슬로건 아래 민군 통합 태권도 시범, 합동 전통악 공연이 진행됐다. 주요 부대 열병식, 회전익·고정익 편대비행, 블랙이글스 고난도 비행이 이어졌고, K9 자주포, K2 전차 등 주요 무기체계가 전시됐다.기념식에서는 '채상병 사건' 수사로 알려진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이 헌법적 가치 수호 유공으로 보국훈장 삼일장을 수여받았다. 강병국 육군 상사, 김경철 해군본부 정보작전참모부장(소장), 박지원 공군본부 정책관리과장(대령) 등도 포상받았으며, 육군 제6보병사단 등 4개 부대도 대통령 부대표창을 받았다.올해 총지휘는 비육사 출신 최장식 육군 소장(학군 30기)이 맡아, 문재인 정부 이후 7년 만의 비육사 출신 제병지휘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