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뇌섹남녀 다 모였다! 지드래곤, 카이스트에서 '힙'하게 AI 논하다

 가수 지드래곤(본명 권지용)이 한국과학기술원(KAIST·카이스트) 강단에 올라 인공지능(AI)과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한다. 소속사 갤럭시코퍼레이션은 지드래곤이 9일 오후 대전 카이스트에서 열리는 '이노베이트 코리아 2025' 스페셜 토크쇼에 참석한다고 밝혔다.

 

'AI엔터테크의 미래'를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행사에서 지드래곤은 AI 기술이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가져올 혁신적인 변화와 가능성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펼칠 예정이다. 이승섭 카이스트 교수와 최용호 갤럭시코퍼레이션 대표가 함께 패널로 참여하여 더욱 풍성한 이야기를 나눌 것으로 기대된다.

 

지드래곤의 카이스트 기계공학과 초빙교수 임명(지난해 6월)은 단순한 유명인 영입을 넘어선 전략적 선택이다. 이는 카이스트가 AI 기술과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해석된다.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선두주자인 지드래곤의 참여는 K-팝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AI 기술을 활용한 혁신적인 콘텐츠 개발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소속사 갤럭시코퍼레이션과 카이스트 간의 K-팝 글로벌 확산 MOU 체결은 이러한 비전을 더욱 구체화한다. 양측의 협력은 AI 엔터테크 산업의 혁신을 가속화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즉, 지드래곤의 초빙은 단순한 이벤트가 아닌, 카이스트의 미래 지향적인 비전을 담은 중요한 전략적 결정인 것이다.

 

'이노베이트 코리아 2025'는 AI, 테크, 과학,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를 융합한 대규모 포럼으로, 지드래곤의 토크쇼 외에도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다. 특히, 바둑기사 이세돌이 참여하는 웨어러블 로봇 시연은 최첨단 기술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배우 이정재의 토크쇼는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새로운 트렌드를 엿볼 수 있게 해준다. 이처럼 풍성한 구성은 참가자들에게 다양한 볼거리와 함께 깊이 있는 통찰력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지드래곤의 참여는 AI 기술과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융합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높이고, 젊은 세대에게 과학 기술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심어주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카이스트와 갤럭시코퍼레이션의 협력을 통해 AI엔터테크 분야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혁신적인 기술이 개발될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지드래곤은 단순한 가수를 넘어, AI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형태의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제작에 참여하고, 젊은 과학 인재 양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의 이번 카이스트 강연은 AI엔터테크 산업의 미래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다.

 

'이노베이트 코리아 2025'는 AI 기술이 우리 삶과 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 미래 사회의 변화를 예측하고,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드래곤의 참여는 이번 행사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더욱 높이고, AI엔터테크 산업의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힘' 뺀 국군의 날? 이재명 정부, '간소화'로 던진 안보 메시지

 이재명 정부 첫 국군의 날 행사는 윤석열 정부와 달리 대폭 간소화된 모습으로 진행됐다. 2년 연속 서울 도심에서 열렸던 시가행진은 생략됐고, 병력, 장비, 예산도 작년보다 현저히 감소했다. 이는 군사력 강조보다 남북 긴장 완화와 신뢰 구축을 지향하는 현 정부의 안보관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1일 계룡대 연병장에서 열린 건군 77주년 행사에는 998명의 병력이 참여, 지난해 5천여 명의 5분의 1 규모였다. K2전차, 무인잠수정, F-35A 등 장비 약 40종 100여 대가 참가해, 작년 83종 340여 대 대비 크게 줄었다. 예산도 작년 72억 원의 3분의 1 수준인 27억 원이 투입됐다. 행사기획단은 "간결하게 하겠다는 의지"라고 전했다.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도심 시가행진의 생략이다. 윤석열 정부는 2023년 10년 만에 시가행진을 재개, 지난해에도 2년 연속 도심 시가행진을 벌이며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국민 참여를 독려했다. 통상 5년 주기 시가행진이 2년 연속 열린 것은 전두환 정권 이후 40년 만이었다. 기획단은 시가행진이 기획 단계부터 배제됐다고 설명했다.'국민과 함께하는 선진강국' 슬로건 아래 민군 통합 태권도 시범, 합동 전통악 공연이 진행됐다. 주요 부대 열병식, 회전익·고정익 편대비행, 블랙이글스 고난도 비행이 이어졌고, K9 자주포, K2 전차 등 주요 무기체계가 전시됐다.기념식에서는 '채상병 사건' 수사로 알려진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이 헌법적 가치 수호 유공으로 보국훈장 삼일장을 수여받았다. 강병국 육군 상사, 김경철 해군본부 정보작전참모부장(소장), 박지원 공군본부 정책관리과장(대령) 등도 포상받았으며, 육군 제6보병사단 등 4개 부대도 대통령 부대표창을 받았다.올해 총지휘는 비육사 출신 최장식 육군 소장(학군 30기)이 맡아, 문재인 정부 이후 7년 만의 비육사 출신 제병지휘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