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흥국생명 vs 정관장 챔프전 5차전.. 김연경 "흥국생명, 기적 보여줘"

 배구 여제 김연경의 은퇴 경기가 눈앞으로 다가왔다. 8일 인천 삼산월드체육관에서 펼쳐지는 흥국생명과 정관장의 챔피언결정전 5차전은 김연경의 마지막 무대이자, 양 팀에게는 챔피언 타이틀의 향방을 결정짓는 중요한 승부처다.

 

당초 흥국생명의 우승으로 끝맺을 것 같았던 시리즈는 예상치 못한 반전 드라마를 써 내려가고 있다. 1, 2차전을 승리하며 챔피언 트로피에 단 1승만을 남겨뒀던 흥국생명은 3, 4차전을 내리 패하며 벼랑 끝에 몰렸다. 정관장의 저력과 투혼은 부상 악재 속에서도 빛났고, 5세트까지 가는 접전 끝에 극적인 승리를 거머쥐며 시리즈를 원점으로 돌렸다.

 

이제 마지막 5차전만이 남았다. 김연경에게는 그 어느 때보다 간절한 무대다. 2005년 프로 데뷔 이후 세 차례 챔피언결정전 우승과 MVP를 거머쥐었던 김연경은 해외 리그에서 활약 후 V리그 복귀 이후 세 번의 준우승에 그쳤다. 특히 2022-2023시즌에는 2승 후 3연패를 당하며 역스윕의 아픔을 겪었기에, 이번 5차전은 그 아픔을 씻어낼 절호의 기회다.

 


김연경은 챔피언결정전 1~4차전에서 팀 내 최다 득점인 99점을 기록하며 에이스의 면모를 유감없이 발휘했다. 47.54%의 높은 공격 성공률은 양 팀 통틀어 1위다. 하지만 길어지는 시리즈와 누적된 피로는 베테랑 김연경에게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마지막 경기에서 김연경이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투혼을 불태울 수 있을지가 흥국생명의 우승을 좌우할 중요한 변수다.

 

흥국생명은 6년 만의 통합 우승과 김연경의 16년 만의 챔피언결정전 MVP를 노린다.  반면 정관장은 13년 만의 챔피언 등극을 꿈꾸며 '악역이 주인공이 되는 드라마'를 쓰겠다는 각오다.  챔피언결정전 1~4차전에서 맹활약하며 116득점을 올린 메가는 아시아 쿼터 선수 최초 챔피언결정전 MVP에 도전한다.  허리 통증에도 불구하고 고비마다 팀을 구해낸 메가의 활약은 정관장에게 큰 힘이 되고 있다.

 

김연경의 은퇴 경기이자, 양 팀의 자존심이 걸린 챔피언결정전 5차전. 과연 어떤 팀이 마지막에 웃게 될까?  김연경은 유종의 미를 거둘 수 있을까?  모든 스토리가 완성될 마지막 무대에 배구 팬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배구 여제'의 라스트 댄스는 어떤 결말을 맞이하게 될까.  흥국생명의 6년 만의 통합우승과 김연경의 MVP 달성이냐, 정관장의 13년 만의 챔피언 등극과 메가의 새 역사 창조냐.  모든 것이 이 한 경기에 달려있다.  치열한 승부가 예상되는 가운데, 팬들은 명승부를 기대하며 마지막 순간을 기다리고 있다.

 

나이 때문에 못 뛴다고?…'마지막 재계약' 도장 찍은 메시, 2026 월드컵 출전 사실상 확정

 '축구의 신' 리오넬 메시(38·인터 마이애미)가 선수 경력의 마지막 페이지를 장식할 최종 계약서에 서명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매체 '마이애미 헤럴드'는 18일, 메시가 소속팀 인터 마이애미와 선수로서의 마지막 재계약을 체결했다고 보도하며, 그의 빛나는 커리어가 마이애미의 분홍색 유니폼과 함께 마무리될 것이라고 전했다. 오는 12월 계약 만료를 앞두고 수개월간 진행된 양측의 협상은 마침내 메시의 동행 결정으로 마침표를 찍었으며, 공식 발표는 10일 내로 이루어질 전망이다.메시는 단순한 선수 한 명 이상의 존재였다. 2023년 7월 합류 이후, 그는 75경기에 출전해 62골 30도움이라는 경이로운 공격 포인트를 쌓아 올리며 팀의 심장으로 자리 잡았다. 지난 시즌에는 리그 최우수선수(MVP)에 등극했고, 38세의 나이가 무색하게 올 시즌 역시 21경기에서 20골 11도움을 기록하며 여전한 기량을 과시하고 있다. 그의 영향력은 경기장 밖에서 더욱 폭발적이었다. 메시 합류 전 연간 5,000만 달러 수준이었던 구단 수익은 그의 등장과 함께 2배 이상 급증했으며, 올 시즌에는 무려 3억 달러(약 4,166억 원)에 육박하는 천문학적인 수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메시는 그야말로 인터 마이애미라는 구단의 가치와 규모를 송두리째 바꿔놓은 '걸어 다니는 기업' 그 자체였다.이번 재계약은 축구 팬들의 가장 큰 관심사인 2026 북중미 월드컵 출전 가능성에 대한 강력한 청신호로 해석된다. 메시는 그동안 나이를 이유로 월드컵 출전에 대해 유보적인 입장을 보여왔다. 그는 "몸 상태가 완벽하지 않다면 월드컵에 나가지 않는 것이 낫다"라며 완전한 컨디션이 전제 조건임을 강조해왔다. 하지만 MLS 무대를 압도하는 현재의 활약과 아르헨티나 대표팀 내에서의 굳건한 존재감을 고려할 때, 부상이라는 변수만 없다면 그의 대표팀 합류는 기정사실화되는 분위기다. 카타르 월드컵 우승의 영광을 함께했던 리오넬 스칼로니 감독 역시 '축구의 신'과 함께 또 한 번의 위대한 도전에 나설 것이 유력하다. 8번의 발롱도르 수상, 클럽 통산 40개의 우승 트로피 등 축구 역사상 가장 위대한 족적을 남긴 메시가 그의 커리어 황혼기에 마지막 월드컵 무대를 밟고 새로운 전설을 쓸 수 있을지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