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모아

수면 자세가 ‘스트레스 지수’ 신호?

 수면 자세가 단순한 잠버릇을 넘어 신체와 정신의 상태를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스트레스가 심할 때 무의식적으로 특정한 자세로 잠드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신체적 불편을 초래하거나 수면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분석이다. 미국 필라델피아 앤코라 정신병원의 임상 심리학자 카일 오스본 박사는 지난 1일(현지시각) 영국 매체 데일리메일과의 인터뷰에서 "스트레스와 수면의 질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스트레스는 수면에 영향을 미치고 수면 부족은 다시 스트레스를 악화시키는 악순환을 만든다"고 설명했다. 오스본 박사는 스트레스와 관련된 대표적인 수면 자세 다섯 가지를 소개하며 각 자세가 나타내는 심리적, 신체적 의미를 분석했다.

 

첫 번째는 '미라 자세'다. 양팔을 가슴 위에 가지런히 올리고 다리를 곧게 뻗은 채 똑바로 누워 자는 자세로, 마치 미라처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이 자세는 척추 정렬을 돕고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증을 줄이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 하지만 심리적으로 불안, 긴장, 방어적인 감정 상태를 반영할 수 있다. 편안함을 갈구하거나 무의식적으로 자신을 보호하려는 심리가 작용한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두 번째는 '나무 타는 자세'다. 엎드린 채 팔을 위로 90도 각도로 뻗고 한쪽 다리만 구부린 상태로 자는 자세로, 몸에 긴장이 쌓여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기 어려울 때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는 긴장된 몸을 풀려는 무의식적인 반응일 수 있지만, 척추와 목에 무리를 주고 수면무호흡, 요통, 목뼈 통증 등을 악화시킬 수 있다. 또한 얼굴이 베개에 눌린 상태로 장시간 있을 경우 피부에 자극을 주거나 주름을 유발할 위험도 있다. 팔을 머리 위로 올리고 자면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손이나 팔 저림 현상이 나타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세 번째는 '베개 여러 개 겹쳐 베는 자세'다. 머리 아래에 여러 개의 베개를 쌓아 자는 습관은 심리적으로 안정을 느끼게 해줄 수 있지만, 신체적으로 다양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머리를 과도하게 높이면 목에 부담이 가해져 통증이나 불편함이 생길 수 있으며, 이는 결국 수면의 질 저하로 이어진다. 수면 부족이 지속되면 비만, 당뇨, 심혈관 질환, 면역력 저하, 인지 기능 저하 등의 건강 문제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 전문가들은 목과 머리가 자연스럽게 정렬되도록 베개는 한 개만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권고한다.

 

네 번째는 '태아 자세'다. 몸을 옆으로 누운 채 다리를 가슴 쪽으로 깊게 끌어안고 팔을 가슴에 모으는 자세로, 태아의 자세와 비슷해 이러한 명칭이 붙었다. 혈액순환에 도움을 줄 수 있지만, 무릎과 고관절이 과도하게 구부러진 채 유지되면 관절 주변 인대에 부담을 줄 수 있다. 또한, 이 자세는 스트레스나 불안감이 심할 때 무의식적으로 나타나는 자기 위안의 형태로 해석되기도 한다. 감정적으로 민감하거나 예민한 상태일 때 자주 나타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플라밍고 자세'가 있다. 등을 바닥에 대고 누운 상태에서 한쪽 다리만 접어 몸쪽으로 끌어당기는 자세로, 플라밍고가 한쪽 다리로 서 있는 모습과 유사해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이 자세는 척추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이고 특정 부위에 집중되는 무게를 완화해 일시적으로 편안함을 줄 수 있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이 자세가 자율신경계의 흥분 상태나 스트레스 반응을 반영한 결과일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한다. 또한, 등을 대고 자는 자세 자체가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역류성 식도염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오스본 박사는 "수면 자세는 우리가 인지하지 못하는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의 신호일 수 있다"며 "평소 자신의 수면 자세를 점검하고, 불편한 자세로 인해 신체적 문제를 겪고 있다면 이를 교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규칙적인 수면 습관을 유지하고,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우리 동네 땅 밑은 괜찮을까? 20년 넘은 상하수관 40%, 정비는 '하세월'

 전국 상하수관로 10개 중 4개꼴로 20년이 넘은 노후 관로이며, 이렇게 낡은 관로를 정비하는 데 최대 11년이 걸리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지반 침하로 인한 싱크홀 발생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지적된다.25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박홍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환경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3년 기준 20년 이상 된 하수관은 전체(17만2496㎞)의 43.7%인 7만5837㎞에 달했다. 특히 30년 이상 된 관로는 전체의 25.9%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대구(74%), 광주(67.1%), 서울(66.1%) 등 대도시의 노후 하수관 비율이 높았다.상수관도 사정은 비슷하다. 2023년 기준 20년 지난 상수관은 전체(24만6126㎞)의 38.2%인 9만3969㎞로 집계됐다.노후 상하수관은 관 이음새나 본체에 균열이 생겨 물이 새기 쉽다. 이때 흘러나온 물이 주변 흙을 씻어내 땅속에 빈 공간을 만들고, 결국 지반이 무너져 내리는 싱크홀로 이어진다. 실제로 최근 10년간 발생한 크고 작은 싱크홀의 절반이 상하수관 손상 때문이었다. 다만 깊이 5m 이상의 대형 싱크홀은 지하 공사가 원인인 경우가 많다는 분석도 있다.환경부는 하수관로 내구연한을 20년으로 보고, 20년 이상 된 관로를 정비 대상으로 관리한다. 지자체는 정밀조사 후 결함 구간을 매년 정비하며, 환경부는 조사 및 사업비 일부를 지원한다.문제는 정비 대상으로 지정돼도 실제 공사가 완료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는 점이다. 하수관로의 경우 설계에만 3년, 인허가 및 입찰 1~2년, 공사 6년 등 최대 11년이 걸린 사례가 있으며, 평균적으로 약 5년이 소요된다.상수관 정비도 마찬가지다. 최근 정밀조사 결과 전체의 약 7.7%가 교체·보수 필요한 노후관으로 확인됐지만, 올해 1월 기준 정비 완료율은 16.9%에 불과하다. 공사 중이거나 설계·준비 단계인 곳이 대부분이다. 상수관 정비 사업 기간은 약 5~7년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환경부 관계자는 정비 사업 지연에 대해 "재원이 한정돼 있어 지자체의 수요와 재정자립도 등을 고려해 순차적으로 지원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박 의원은 "상하수도 노후화가 지반 침하의 주범이지만 정비까지 수년이 걸리는 것이 현실"이라며 "국민 안전을 위해 노후 상하수도관 정비에 대한 더 적극적인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