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모아

김수현 논란에 휘말린 정해인, "언팔 좀 해!" 팬들 요구 폭발

 배우 정해인의 SNS가 최근 온라인에서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MBC 예능 프로그램 '굿보이'에 출연하며 지드래곤, 김수현, 임시완, 광희, 이수혁과 함께 '88즈' 멤버로 활약한 그는 김수현과의 SNS 팔로우를 유지하고 있어 논란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

 

김수현은 지난 2월 세상을 떠난 고 김새론 사건과 관련해 유족 측과 심각한 갈등을 겪고 있다. 유족 측은 김수현이 고인과 연인 관계였음을 인정하고 공식 사과를 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그의 사생활을 폭로하는 등 강도 높은 압박을 이어가고 있다. 이 사건은 김수현 개인의 이미지를 넘어 그가 출연 중인 드라마와 광고 활동에까지 영향을 미치며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정해인이 김수현과의 SNS 팔로우를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팬들 사이에서 논란이 불거졌다. 일부 팬들은 정해인에게 "팔로우를 끊어달라"는 요구를 하고 있지만, 정해인은 이에 대해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팬들은 정해인의 침묵에 실망감을 표하며 그의 선택을 비판하거나 우려를 표출하고 있다.

 

같은 '88즈' 멤버인 임시완은 팬들의 요구가 거세지자 자신의 팔로우 목록을 대폭 정리하며 소속사 계정 하나만 남겨둔 상태다. 임시완의 이러한 행동은 일부 팬들로부터 "현명한 선택"이라는 평가를 받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과도한 팬들의 간섭에 굴복한 것"이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정해인의 행동을 두고 다양한 의견이 오가고 있다. "팔로우는 개인적인 선택이다", "친분 관계를 팬들이 강요해서는 안 된다", "정해인이 소신껏 행동하길 바란다"는 의견이 있는 반면, "오빠를 위해서라도 논란이 되는 사람과 거리를 두는 게 좋다", "걱정돼서 하는 말이다"라는 반응도 적지 않다.

 


한편, 김수현은 지난달 31일 기자회견을 열고 고 김새론 유족, 자칭 이모라는 성명 불상자, 그리고 유튜브 채널 '가로세로 연구소' 운영자를 상대로 명예훼손 혐의로 120억 원 상당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그는 유족 측의 주장과 폭로를 강하게 부인하며 모든 의혹에 대해 법적 대응에 나설 것임을 밝혔다. 김수현의 기자회견 이후에도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으며, 그의 이미지와 활동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정해인의 SNS 팔로우 논란은 단순히 개인적인 선택의 문제를 넘어 연예인의 행동과 팬들의 기대 사이에서 어디까지 간섭이 허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로 확산되고 있다. 팬들은 정해인의 선택이 그의 이미지와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우려하며 지켜보고 있으며, 정해인이 앞으로 어떤 결정을 내릴지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연예인의 SNS 활동이 단순한 개인적 행동을 넘어 대중과의 소통 창구로 여겨지는 시대에, 이번 논란은 연예인의 사생활과 팬들의 요구 사이에서 균형을 찾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주는 사례가 되고 있다.

 

'손흥민 패싱' 논란…AFC, 기준이 대체 뭐길래 이런 결과가

 아시아 축구계에 때아닌 논란이 불거졌다. 아시아 축구의 살아있는 전설이자 현재 진행형인 아이콘, 손흥민이 아시아축구연맹(AFC)이 선정하는 올해의 국제선수상 후보 명단에서 제외되는 충격적인 결과가 발표되었기 때문이다. 지난 시즌, 손흥민은 소속팀 토트넘 홋스퍼의 주장 완장을 차고 팀을 이끌며 유럽축구연맹(UEFA) 유로파리그 정상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이는 그의 프로 커리어 사상 첫 메이저 대회 우승 트로피였으며, 아시아 선수로서 유럽 클럽 대항전 우승을 주장으로 이끌었다는 점에서 역사적인 성과로 평가받았다. 부상 등으로 인해 이전 시즌만큼의 폭발적인 득점력을 보여주지 못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팀의 구심점이자 리더로서 일궈낸 값진 성과를 고려하면 이번 후보 제외는 쉽게 납득하기 어려운 결정이라는 평이 지배적이다. 더욱이 아시아 내에서 활약하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하는 'AFC 올해의 선수' 부문 후보들의 면면을 보면 의구심은 더욱 커진다. 말레이시아 리그의 아리프 아이만이 자국 선수 최초로 후보에 오른 것은 주목할 만하지만, 그의 소속팀이 아시아 챔피언스리그 16강에서 탈락했고 말레이시아 대표팀 역시 월드컵 3차 예선 진출에 실패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가 과연 아시아 전체를 통틀어 최상위 3인에 들 만한 활약을 펼쳤는지는 물음표가 붙는다.손흥민이 빠진 국제선수상 후보 자리는 공교롭게도 '차세대 에이스' 이강인이 채웠다. 이강인은 지난 시즌 파리 생제르맹(PSG) 소속으로 유럽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포함한 트레블(3관왕)을 달성하는 화려한 이력을 쌓았다. 하지만 시즌 내내 확고한 주전으로 활약했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팀의 압도적인 전력 덕을 본 측면이 크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이강인과 함께 후보에 오른 이란의 메흐디 타레미나 일본의 구보 다케후사 역시 각자의 리그에서 준수한 활약을 펼쳤지만, 팀의 주장으로서 유럽 대항전 우승이라는 명백한 결과물을 만들어낸 손흥민의 공헌도를 넘어섰다고 단언하기는 힘들다. 결국 AFC의 이번 결정은 개인의 상징적인 성과나 팀 내에서의 리더십과 영향력보다는, 소속팀의 최종 성적이나 표면적인 타이틀 개수에 더 큰 비중을 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한국 축구는 2012년 이근호 이후 아시아 내 올해의 선수 맥이 끊겼고, 국제선수상은 손흥민과 김민재가 명맥을 이어왔다. 이제 팬들의 시선은 생애 첫 후보에 오른 이강인이 과연 수상의 영예를 안으며 선배들의 길을 이을 수 있을지에 쏠리고 있지만, 그와 별개로 아시아 최고의 별이 펼친 역사를 외면한 듯한 AFC의 선택은 두고두고 아쉬움과 논란을 남길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