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모아

김수현 논란에 휘말린 정해인, "언팔 좀 해!" 팬들 요구 폭발

 배우 정해인의 SNS가 최근 온라인에서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MBC 예능 프로그램 '굿보이'에 출연하며 지드래곤, 김수현, 임시완, 광희, 이수혁과 함께 '88즈' 멤버로 활약한 그는 김수현과의 SNS 팔로우를 유지하고 있어 논란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

 

김수현은 지난 2월 세상을 떠난 고 김새론 사건과 관련해 유족 측과 심각한 갈등을 겪고 있다. 유족 측은 김수현이 고인과 연인 관계였음을 인정하고 공식 사과를 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그의 사생활을 폭로하는 등 강도 높은 압박을 이어가고 있다. 이 사건은 김수현 개인의 이미지를 넘어 그가 출연 중인 드라마와 광고 활동에까지 영향을 미치며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정해인이 김수현과의 SNS 팔로우를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팬들 사이에서 논란이 불거졌다. 일부 팬들은 정해인에게 "팔로우를 끊어달라"는 요구를 하고 있지만, 정해인은 이에 대해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팬들은 정해인의 침묵에 실망감을 표하며 그의 선택을 비판하거나 우려를 표출하고 있다.

 

같은 '88즈' 멤버인 임시완은 팬들의 요구가 거세지자 자신의 팔로우 목록을 대폭 정리하며 소속사 계정 하나만 남겨둔 상태다. 임시완의 이러한 행동은 일부 팬들로부터 "현명한 선택"이라는 평가를 받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과도한 팬들의 간섭에 굴복한 것"이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정해인의 행동을 두고 다양한 의견이 오가고 있다. "팔로우는 개인적인 선택이다", "친분 관계를 팬들이 강요해서는 안 된다", "정해인이 소신껏 행동하길 바란다"는 의견이 있는 반면, "오빠를 위해서라도 논란이 되는 사람과 거리를 두는 게 좋다", "걱정돼서 하는 말이다"라는 반응도 적지 않다.

 


한편, 김수현은 지난달 31일 기자회견을 열고 고 김새론 유족, 자칭 이모라는 성명 불상자, 그리고 유튜브 채널 '가로세로 연구소' 운영자를 상대로 명예훼손 혐의로 120억 원 상당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그는 유족 측의 주장과 폭로를 강하게 부인하며 모든 의혹에 대해 법적 대응에 나설 것임을 밝혔다. 김수현의 기자회견 이후에도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으며, 그의 이미지와 활동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정해인의 SNS 팔로우 논란은 단순히 개인적인 선택의 문제를 넘어 연예인의 행동과 팬들의 기대 사이에서 어디까지 간섭이 허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로 확산되고 있다. 팬들은 정해인의 선택이 그의 이미지와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우려하며 지켜보고 있으며, 정해인이 앞으로 어떤 결정을 내릴지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연예인의 SNS 활동이 단순한 개인적 행동을 넘어 대중과의 소통 창구로 여겨지는 시대에, 이번 논란은 연예인의 사생활과 팬들의 요구 사이에서 균형을 찾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주는 사례가 되고 있다.

 

지갑도, 발길도 '꽁꽁'…봄과 함께 사라진 400만명, 지역 경제 '직격탄'

 올해 1분기, 소멸 위기에 처한 지방의 인구감소지역에서 무려 400만 명에 가까운 사람들의 발길이 사라졌다. 겨우 살아나나 싶던 지역 경제에 다시 한번 빨간불이 켜진 것이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25년 1분기 생활인구 산정 결과'는 이처럼 암울한 현실을 여실히 보여준다. 생활인구란 단순히 주민등록상 주소지를 둔 사람뿐만 아니라, 한 달에 한 번 이상, 하루 3시간 넘게 지역에 머무는 사실상의 인구를 모두 포함하는 새로운 지표다. 지역의 실질적인 활력을 측정하기 위해 도입됐지만, 이번 결과는 오히려 위기감을 증폭시키고 있다.가장 큰 원인으로는 이례적인 자연 현상이 꼽힌다. 예년보다 길어진 꽃샘추위 탓에 봄꽃 개화 시기가 늦어지면서 상춘객들의 발길이 뜸해졌고, 설상가상으로 경북과 경남, 울산 등지를 휩쓴 역대급 대형 산불이 결정타를 날렸다. 화마가 휩쓸고 간 지역은 물론, 인접 지역까지 여행을 꺼리는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3월 한 달간 야외 활동 인구가 급격히 얼어붙었다. 여기에 작년과 달리 올해는 설 연휴가 1월에 포함되면서 2월과 3월의 방문객 수가 전년 대비 크게 감소하는 통계적 착시까지 더해졌다.실제로 데이터를 뜯어보면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1월에는 설 연휴 효과로 생활인구가 전년보다 303만 명 늘며 반짝 희망을 보였지만, 2월에는 무려 565만 명이, 3월에는 136만 명이 줄어들며 급격한 하락세로 돌아섰다. 1월의 증가분을 모두 반납하고도 모자라, 1분기 전체로는 총 398만 명의 생활인구가 증발해버린 셈이다.특히 산불의 영향은 뚜렷했다. 지난해 3월에는 산수유 축제 등으로 방문객이 몰렸던 전남 구례의 경우, 올해는 인접한 하동 지역의 대형 산불 여파로 방문객이 가장 많이 감소한 지역 중 하나로 꼽히는 불명예를 안았다. 산불이 직접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재난의 공포가 지역 관광 전체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주는 대목이다.이렇게 지역을 찾는 사람들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도 흥미롭다. 관광이나 휴양을 목적으로 짧게 머무는 '단기숙박형' 인구는 30세 미만 여성의 비중이 높았고, 출퇴근이나 통학을 위한 방문은 30~50대 남성이 주를 이뤘다. 이들의 1인당 평균 카드 사용액은 약 12만 2천 원으로 집계되었는데, 방문객 400만 명이 사라졌다는 것은 지역 상권의 매출 역시 막대한 타격을 입었음을 의미한다.결국 이번 통계는 인구감소지역이 자체적인 노력만으로는 극복하기 힘든 외부 충격, 특히 기후 변화와 자연재해에 얼마나 취약한지를 명백히 보여준다. 사람들의 발길이 끊기고 지갑이 닫히면서, 소멸 위기 지역의 시름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