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맨유가 찜한 이강인, EPL 데뷔 초읽기

이강인(24)이 올여름 파리 생제르맹(PSG)을 떠나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EPL) 무대로 진출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스페인 매체 '엘데스마르케'는 1일(한국시간) "이강인의 에이전트 하비에르 가리도가 이적 협상을 위해 영국을 방문했다"고 보도했다. 매체는 하비 게라(발렌시아)의 이적 협상도 함께 진행되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이강인의 이적 가능성이 더욱 유력하다고 전했다.

 

이강인의 이적설은 올겨울부터 꾸준히 제기되어왔다. 특히 흐비차 크바라츠헬리아가 합류한 이후 PSG 내 입지가 더욱 좁아진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루이스 엔리케 감독은 크바라츠헬리아를 왼쪽 윙어로, 브래들리 바르콜라와 우스만 뎀벨레를 각각 오른쪽 윙어와 최전방 공격수로 기용하며 새로운 공격 전술을 구축했다. 또한, 미드필드에서도 파비안 루이스, 비티냐, 주앙 네베스 조합이 안정적으로 자리 잡으면서 이강인의 활용 폭이 제한됐다.

 

현재 이강인에게 관심을 보이고 있는 팀은 EPL의 아스널, 뉴캐슬 유나이티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맨유) 등이다. 이 중에서도 아스널과 맨유가 가장 적극적으로 영입을 타진하고 있다. 최근 맨유가 협상에서 한 발 앞서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1월 미국 매체 '디 애슬레틱'은 아스널의 관심을 보도했지만 이후 구체적인 움직임은 포착되지 않았다. 반면, 맨유는 이강인의 PSG 이적을 최초 보도한 마테오 모레토 기자를 비롯한 여러 현지 매체에서 지속적으로 관심을 보이고 있다.

 

모레토 기자는 "맨유가 이강인의 에이전트 가리도와 만나 대화를 나눴으며, 공식적인 협상은 아니지만 이강인의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탈리아 매체 '투토 메르카토'는 맨유가 2024 트로페 데 샹피옹 결승에서 이강인의 활약을 평가하기 위해 스카우터를 파견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맨유가 오랜 기간 이강인을 관찰하며 관심을 지속적으로 보였음을 의미한다.

 

 

 

PSG는 애초 이강인을 매각할 계획이 없었다. 영국 매체 '디 애슬레틱'은 "PSG는 아시아 시장에서 강한 영향력을 지닌 이강인을 높이 평가하며 매각을 원치 않는다"고 보도한 바 있다. 하지만 몇 개월 사이 팀 내 입지가 좁아지면서 구단의 입장도 변화했다. 프랑스 매체 '르퀴프'의 로익 탄지 기자에 따르면, PSG는 5,000만 유로(약 795억 원) 이상의 이적료 제안이 들어오면 이적을 고려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한편, PSG는 지난달 30일 열린 프랑스 리그 1 27라운드 경기에서 AS 생테티엔을 6-1로 대파하며 우승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 같은 날 치러진 AS 모나코와 OGC 니스 경기에서 모나코가 2-1로 승리하면서 PSG의 조기 우승 확정은 다음 경기로 미뤄졌다. 현재 PSG는 22승 5무(승점 71)로 리그 선두를 확고히 하고 있으며, 2위 모나코(승점 50)와 승점 차가 21점으로 벌어졌다. 남은 7경기에서 단 한 번만 무승부를 기록해도 리그 우승이 확정된다.

 

이강인은 국가대표팀 차출 당시 발목 부상을 당해 이번 경기에는 출전하지 못했다. 하지만 PSG는 리그 1 출범 이후 93년 동안 없었던 '무패 우승'을 달성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번 시즌 PSG는 단 한 차례도 패배하지 않으며 압도적인 경기력을 보이고 있다.

 

PSG의 다음 목표는 아시아 선수 최초로 '트레블(리그, 컵대회,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달성하는 것이다. PSG는 이번 시즌 리그 1 우승을 사실상 확정지었고, 프랑스 컵 대회인 쿠프 드 프랑스에서도 4강에 진출해 있다. 또한,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에서도 8강에 올라 있으며, 후반기 들어 더욱 강력한 경기력을 보이고 있어 트레블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이강인의 거취가 결정되지 않은 가운데, EPL 구단들이 본격적으로 영입 경쟁에 뛰어들면서 올여름 그의 행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PSG 잔류 가능성이 남아 있지만, 맨유를 비롯한 EPL 클럽들의 적극적인 움직임이 포착되는 만큼, 이강인의 첫 프리미어리그 도전이 가시화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서울 진출 거부하고 1900억 매출... 고집센 성심당, 빵업계 '황제' 등극

 대전을 대표하는 지역 빵집 성심당이 지난해 1900억원이 넘는 매출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더욱 놀라운 것은 전국에 1300여 개 매장을 보유한 대형 프랜차이즈 뚜레쥬르보다 더 높은 영업이익을 올렸다는 점이다.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성심당의 2023년 매출액은 1937억6000만원으로, 전년(1243억원) 대비 56%나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478억원으로, 전년(315억원)보다 50% 늘어났다. 이는 뚜레쥬르 운영사인 CJ푸드빌의 지난해 영업이익 299억원(별도 기준)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성심당의 성장세는 최근 몇 년간 가파르게 상승해왔다. 2020년 488억원이었던 매출액은 2021년 628억원, 2022년 817억원을 거쳐 2023년에는 1243억원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1000억원 대를 돌파했다. 대형 프랜차이즈가 아닌 단일 빵집으로는 최초로 매출 1000억원을 넘어선 기록이다.이러한 호실적에 힘입어 성심당의 매장 수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20년 말 10개에 불과했던 매장은 지난해 말 기준 16개로 늘어났다. 그러나 주목할 점은 성심당이 대전이라는 지역적 한계를 뛰어넘지 않고도 이 같은 성과를 이루었다는 것이다.1956년 문을 연 성심당은 67년이 넘는 역사 동안 '당일 생산, 당일 판매' 원칙을 고수하며 대전에서만 매장을 운영해오고 있다. 이러한 원칙은 신선함과 품질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어 성심당만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성심당이 전국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은 2012년 대전역에 분점을 낸 이후부터다. 특히 2014년에는 프란치스코 교황 방한 당시 성심당의 치아바타와 바게트가 아침 식사로 제공되면서 더욱 유명해졌다. 이런 명성은 입소문을 타고 전국으로 퍼져 대전을 방문하는 관광객들 사이에서 '성심당 빵은 꼭 사 가야 할 기념품'으로 자리 잡았다.성심당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2021년부터는 매년 대전관광공사 주최, 대전시의 후원으로 '대전 빵축제'가 열리고 있다. 이 축제는 성심당을 중심으로 대전의 다양한 빵집들이 참여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으며, 대전을 '빵의 도시'로 브랜딩하는 데 일조하고 있다.성심당의 성공 비결은 지역 기반을 단단히 하면서도 품질에 타협하지 않는 경영 철학에 있다. 전국 체인으로 확장하는 대신 대전이라는 지역에 집중하여 신선한 제품을 제공하는 전략이 소비자들의 꾸준한 지지를 얻은 것이다. 또한 전통적인 빵과 함께 트렌드를 반영한 신제품 개발에도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며 다양한 연령층의 고객을 확보했다.성심당의 대표 상품인 '튀김소보로'를 비롯해 '미니꽈배기', '판타롱부추빵' 등은 대전을 방문하는 이들이 반드시 구매하는 인기 품목으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시그니처 제품들은 성심당만의 독특한 레시피와 노하우로 만들어져 타 브랜드가 쉽게 모방할 수 없는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대형 프랜차이즈들이 전국적인 확장과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시장을 장악하는 추세 속에서, 성심당은 지역 기반 빵집으로서 차별화된 전략으로 성공을 거둔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앞으로도 성심당이 대전을 넘어 한국을 대표하는 베이커리 브랜드로서 어떤 행보를 보일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