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쿼드러플 살코 성공! 차준환, 올림픽 티켓 잡았다

 한국 피겨 스케이팅을 대표하는 차준환(23)이 2025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세계선수권대회에서 남자 싱글 7위를 기록하며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 올림픽 출전권 1+1장을 확보했다.

 

30일(한국시간)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서 열린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차준환은 프리 스케이팅에서 기술점수(TES) 93.22점, 예술점수(PCS) 86.11점을 받아 총점 179.33점을 기록했다. 쇼트 프로그램에서 받은 86.41점을 합한 최종 점수는 265.74점으로, 그는 7위에 올라 한국 피겨의 저력을 보여줬다.

 

이번 대회는 올림픽 출전권 배분이 걸린 중요한 무대였다. 한국은 차준환의 선전으로 최소 한 장의 출전권을 확보했으며, 추가 출전권 1장은 오는 9월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올림픽 예선전을 통해 결정된다.

 

프리 스케이팅에서 차준환은 프로그램 '광인을 위한 발라드'에 맞춰 첫 점프인 쿼드러플 살코를 완벽히 성공시키며 높은 점수를 얻었다. 그러나 이어진 쿼드러플 토루프에서 두 바퀴 점프로 처리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이후 그는 트리플 악셀과 다양한 콤비네이션 점프를 깨끗하게 수행하며 흔들림 없는 연기를 보여줬다.

 


한편, 대회 우승은 318.56점을 기록한 미국의 일리야 말리닌에게 돌아갔다. 그는 초고난도 기술인 쿼드러플 악셀을 포함해 4회전 점프 6개를 성공시키며 압도적인 연기로 2년 연속 세계선수권 정상에 올랐다. 은메달은 샤이도로프 미카일(카자흐스탄)이, 동메달은 가기야마 유마(일본)가 차지했다.

 

한국 피겨는 이번 대회에서 남자 싱글뿐만 아니라 여자 싱글과 아이스 댄스에서도 올림픽 출전권을 따내며 고무적인 성과를 거뒀다. 여자 싱글에서는 이해인(9위)과 김채연(10위)이 나란히 톱10에 오르며 2장의 출전권을 확보했고, 아이스 댄스에서는 임해나-권예조 조가 18위로 1장의 출전권을 얻었다.

 

대한빙상경기연맹은 국내 선발전을 통해 올림픽에 출전할 최종 국가대표를 선정할 예정이다. 차준환을 비롯한 한국 피겨 선수들의 활약이 밀라노 올림픽에서 어떤 결과를 만들어낼지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반도체, 바이오, AI…삼성이 6만 개 일자리로 점찍은 미래는 바로 '이곳'

 국내 재계의 맏형 삼성이 대한민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청년들에게 희망을 주기 위한 대규모 고용 계획을 발표하며 사회적 책무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삼성은 18일 공식 발표를 통해, 향후 5년간 총 6만 명에 달하는 인력을 신규로 채용하겠다는 통 큰 계획을 세상에 알렸다. 이는 단순한 일자리 확대를 넘어, 미래 성장 동력으로 점찍은 핵심 사업 분야를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동시에 심각한 취업난을 겪고 있는 청년 세대에게 새로운 기회의 문을 활짝 열어주겠다는 삼성의 확고한 메시지로 풀이된다.이번 채용 계획의 핵심은 '선택과 집중'이다. 삼성은 명실상부한 글로벌 1위 사업이자 국가 기간 산업의 중추인 반도체 부문을 필두로, 미래 먹거리로 확실히 자리매김한 바이오 산업, 그리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기술로 급부상한 인공지능(AI) 분야에 채용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명확히 밝혔다. 이는 곧 삼성이 바라보는 미래 산업의 청사진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대목이다. 초격차 기술을 유지하고 발전시켜야 하는 반도체 분야의 인재를 대거 확보하고, 삼성바이오로직스를 중심으로 한 바이오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하며, 모든 기술의 기반이 될 AI 전문가를 적극적으로 영입하여 미래 시장의 패권을 확실히 장악하겠다는 전략적 포석이 깔려있는 것이다.특히 이번 발표에서 주목할 부분은 청년 고용 확대를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이다. 삼성은 단순히 신입사원을 뽑는 기존 방식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채용연계형 인턴 제도'와 '기술인재 채용'이라는 두 가지 트랙을 병행하여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대학생들에게 직무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인턴십의 규모를 이전보다 대폭 늘려, 취업에 목마른 청년들이 돈 주고도 못 살 실무 역량을 쌓을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인턴십 과정을 통해 그 능력과 잠재력이 검증된 우수 인력에 대해서는 정규직으로 전환 채용하는 문을 활짝 열어두겠다는 방침이다. 이는 단순한 스펙 쌓기를 넘어, 실질적인 취업으로 이어지는 확실한 다리를 놓아주겠다는 점에서 취업 준비생들에게는 가뭄의 단비와 같은 소식이 될 전망이다.이러한 대규모 채용 계획의 배경에는 '인재제일(人材第一)'이라는 삼성의 변치 않는 경영 철학이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삼성은 이미 1957년, 국내 기업 최초로 공개채용 제도를 도입하며 학벌이나 지연에 얽매이지 않고 오직 실력으로 인재를 선발하는 문화를 정착시킨 바 있다. 현재의 어려운 경제 상황 속에서도 이러한 공채 제도의 근간을 굳건히 유지하며 인재 확보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겠다는 의지를 다시 한번 천명한 것이다. 실제로 이번 발표와는 별개로, 삼성전자와 삼성물산,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19개에 달하는 주요 계열사들은 이미 우수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하반기 공개채용 절차를 순조롭게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 계획은 여기에 더해 미래를 향한 삼성의 강력한 투자 의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행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