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모아

짜게 먹으면 복부 비만 부른다

음식을 먹을 때 나트륨(소금)을 많이 섭취하는 사람들이 적게 섭취하는 사람들에 비해 비만, 특히 복부 비만에 걸릴 위험이 3배에서 6배 높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발표됐다. 이 연구는 핀란드 헬싱키 보건복지연구소(FIHW)의 애니카 산탈라티 박사팀이 주도했으며, 유럽 비만 연구 협회(EASO)에서 공개한 결과에 따르면, 남녀 5000여 명을 대상으로 나트륨 섭취량과 소변 내 나트륨 농도, 그리고 일반 및 복부 비만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나트륨 섭취가 많은 사람일수록 비만에 걸릴 확률이 높다는 상관관계를 확인했다고 한다. 이 연구 결과는 오는 5월 11일부터 14일까지 스페인 말라가에서 열리는 EASO 유럽 비만학회(ECO 2025)에서 공식 발표될 예정이다.

 

연구팀은 핀란드에서 진행된 '국가 건강 연구'(National FinHealth 2017 Study) 데이터를 기반으로 5000명 이상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했다. 이 연구에서는 남성 2222명과 여성 2792명을 대상으로 나트륨 섭취량과 소변 내 나트륨 농도에 따른 일반 비만 및 복부 비만의 발생 위험을 평가했다. 나트륨 섭취량과 소변 나트륨 농도를 기준으로 상위 25%부터 하위 25%까지 4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나이, 성별, 생활 습관 등 다양한 변수의 영향을 보정한 통계 모델을 사용하여 나트륨 섭취와 비만 간의 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나트륨 섭취량이 WHO(세계보건기구) 권장량인 하루 5g 이하보다 적은 그룹은 여성의 하위 25% 그룹만 해당했으며, 전체적으로 나트륨 섭취량이 많은 상위 25% 그룹은 하위 25% 그룹에 비해 2.3배 많은 양의 나트륨을 섭취했다. 특히, 나트륨 섭취가 많거나 소변 내 나트륨 농도가 높은 사람들은 일반 비만과 복부 비만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여성의 경우, 나트륨 섭취량이 상위 25%에 속하는 그룹은 하위 25% 그룹에 비해 일반 비만 위험이 4.3배, 복부 비만 위험은 3.4배 더 높았다. 또, 소변 나트륨 농도가 상위 25%인 그룹은 하위 25% 그룹보다 비만의 위험이 4.8배 더 높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반면, 남성의 경우 소변 나트륨 농도가 상위 25%인 그룹은 하위 25% 그룹보다 일반 비만 위험이 6배, 복부 비만 위험이 4.7배 더 높았으나, 나트륨 섭취량에 따른 비만 위험 증가 패턴은 여성과 비슷했으나 그룹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 연구는 나트륨 섭취와 비만 간의 연관성을 명확히 입증한 결과를 제시했으나, 그 메커니즘이나 성별 차이 등은 여전히 명확하지 않다고 연구팀은 언급했다. 향후 연구에서는 나트륨 섭취가 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구체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장내 미생물, 체성분 변화, 포만감 조절 등의 생리학적 메커니즘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나트륨은 우리 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과도하게 섭취하면 여러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비만은 심혈관 질환, 당뇨병, 고혈압 등 다양한 만성 질환의 원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나트륨 섭취와 비만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일반 비만은 체질량지수(BMI)를 기준으로 측정되며, BMI가 30㎏/㎡ 이상일 경우 비만으로 분류된다. 복부 비만은 내부 장기에 지방이 축적되어 허리둘레가 비정상적으로 커진 상태를 의미하며, 심혈관 질환 및 대사 질환의 위험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이번 연구는 나트륨 섭취가 비만과 복부 비만의 주요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결과로,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하고 나트륨 섭취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비만 예방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연구팀은 향후 연구를 통해 나트륨이 비만을 유발하는 정확한 생리적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더 나아가 나트륨 섭취가 어떻게 비만과 관련되는지를 심층적으로 연구할 필요성이 있음을 강조했다.

 

 

 

결혼도, 출산도 늘었다고? '착시효과'였다...사망자가 훨씬 많아 '비상'

 오랜 인구 절벽의 공포 속에서 한 줄기 희망과 같은 소식이 들려왔다. 끝없이 추락하던 출생아 수와 혼인 건수가 마침내 동반 상승하며 반등의 신호탄을 쏘아 올린 것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7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 7월 전국에서 태어난 아기는 총 2만 1803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1223명, 비율로는 5.9%나 증가했다. 이는 단순한 수치 증가를 넘어, 저출생 극복에 대한 실낱같은 기대를 품게 하는 의미 있는 변화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 역시 0.80명으로, 지난해보다 0.04명 늘어나며 바닥을 다지고 올라서는 모습을 보였다.결혼하는 커플이 늘어난 것이 출생아 수 증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7월 한 달간 혼인 건수는 2만 394건으로, 전년 대비 무려 1583건(8.4%)이나 급증했다. 결혼이 출산의 선행 지표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혼인 건수의 증가는 향후 출생아 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한다. 여기에 더해 가정이 해체되는 이혼 건수는 7826건으로 작년보다 113건(-1.4%) 줄어들어, 사회의 기본 단위인 가정이 좀 더 안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긍정적 신호도 함께 포착되었다.하지만 이 반가운 소식 이면에는 여전히 짙은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다. 이번 출생아 수 증가는 오롯이 '첫째 아이'의 증가분에 기댄 '절반의 성공'이었기 때문이다. 전체 출생아 중 첫째 아이가 차지하는 비중은 작년보다 1.6%포인트 늘어난 반면, 둘째 아이의 비중은 정확히 그만큼인 1.6%포인트 감소했다. 셋째 아이 이상 역시 0.1%포인트 줄어들었다. 이는 결혼한 부부들이 첫 아이를 낳는 것까지는 결심하지만, 양육 부담과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인해 둘째, 셋째를 낳는 것은 극도로 주저하고 있다는 현실을 명확히 보여준다. '아이 하나도 벅차다'는 사회적 분위기가 통계로 다시 한번 증명된 셈이다.더욱 근본적인 문제는 따로 있다. 출생아 수가 반짝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 인구는 여전히 줄어들고 있다는 사실이다. 7월 한 달간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훌쩍 뛰어넘으면서, 인구는 6175명 '자연 감소'했다. 태어나는 생명보다 세상을 떠나는 이들이 훨씬 더 많아 인구 총량이 줄어드는 구조적 문제가 전혀 해결되지 않은 것이다. 결국 이번 출생아 및 혼인 건수 증가는 인구 소멸이라는 거대한 흐름을 되돌리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그저 가뭄의 단비 같은 일시적 현상일 수 있다는 우려를 지울 수 없다. '딱 한 명'으로 끝나는 출산과 고령화에 따른 사망자 급증이라는 두 개의 거대한 벽을 넘어서지 못한다면, 이번의 반등은 그저 스쳐 지나가는 통계적 착시에 그칠 수 있다는 경고의 목소리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