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모아

제니, 빌보드 '위민 인 뮤직' 찢었다! 글로벌 포스상 수상

 블랙핑크 제니가 K팝 솔로 가수 최초로 '빌보드 위민 인 뮤직'에서 상을 받으며, '글로벌 퀸'의 위엄을 과시했다. 솔로 활동으로도 막강한 영향력을 증명하며 K팝의 역사를 새로 쓰고 있다는 평가다.

 

29일(현지 시각) 제니는 미국 로스앤젤레스 유튜브 시어터에서 개최된 '빌보드 위민 인 뮤직 2025'에서 '글로벌 포스상'(Global Force Award) 트로피를 품에 안았다.

 

제니는 "아름다운 여성들로 가득한 이 자리에서 '글로벌 포스상'을 받게 되어 영광"이라며 벅찬 소감을 밝혔다. 이어 "전 세계 모든 여성들에게서 영감을 얻는다"며 "앞으로도 많은 이들에게 좋은 영향을 주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포부를 전해 팬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빌보드 위민 인 뮤직'은 음악 산업에 큰 족적을 남긴 여성 아티스트, 크리에이터, 프로듀서 등을 선정해 시상하는 행사다. 빌보드 측은 "제니는 솔로 활동을 시작하며 폭발적인 글로벌 영향력을 증명했다"고 극찬하며 제니의 수상 배경을 설명했다.

 

제니의 첫 솔로 정규 앨범 'Ruby'(루비)는 발매와 동시에 전 세계 차트를 휩쓸며 '제니 파워'를 입증했다. 'Ruby'는 빌보드 메인 앨범 차트 '빌보드 200'에 2주 연속 진입했고, 타이틀곡 'like JENNIE'(라이크 제니)는 빌보드 '글로벌(미국 제외)' 차트와 '글로벌 200' 차트에서 2주 연속 TOP 10에 랭크되는 기염을 토했다.

 


영국 오피셜 앨범 차트 'TOP 100'에서는 3위로 데뷔하며 K팝 여성 솔로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 올해 최초로 3주 연속 차트에 이름을 올린 K팝 아티스트라는 타이틀까지 거머쥐며 독보적인 존재감을 과시했다.

 

제니는 4월 13일과 20일, 미국 최대 음악 축제 '코첼라 밸리 뮤직 앤드 아츠 페스티벌' 무대에 오른다. 솔로 아티스트로서 코첼라를 뜨겁게 달굴 제니의 활약에 전 세계 팬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 수상으로 제니는 K팝 여성 솔로 아티스트의 위상을 한층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글로벌 퀸'을 넘어 '글로벌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한 제니. 앞으로 그가 보여줄 무한한 가능성과 음악적 성장에 기대가 모아진다.

 

청년들 76%가 "한국에 좋은 일자리 없다" 절망

 미취업 청년 2명 중 1명(50.4%)은 '양질의 일자리 부족'과 '경력 위주 채용'을 구직활동의 가장 큰 장벽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희망하는 최소 연봉은 평균 3468만원으로, 현실과 기대 사이의 괴리가 심화되고 있다.한국경제인협회가 22일 발표한 미취업 청년 500명 대상 일자리 인식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구직활동 중인 청년들은 '양질의 일자리 부족'(30.0%)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았다. 이어 '경력직 위주의 채용 구조'(20.4%), '과도한 자격요건 및 스펙 요구'(19.6%), '지속적 실패로 인한 자신감 저하 및 구직의욕 감소'(14.6%), '일자리의 수도권 집중'(6.7%) 순으로 응답했다.특히 주목할 점은 경력직 위주 채용과 과도한 자격요건을 합치면 40%에 달한다는 점이다. 이는 신입 구직자들이 소위 '경력 역설'에 갇혀 있음을 보여준다. 경력이 없으면 취업이 어렵고, 취업이 안 되니 경력을 쌓을 수 없는 악순환이 청년들을 좌절시키고 있는 것이다.현재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미취업 청년들의 경우, '자격증 또는 취업을 위한 시험 준비'(19.6%)가 가장 큰 이유였다. 그러나 그 뒤를 이어 '적합한 일자리 부족'(17.3%), '과도한 스펙·경력 요구'(13.8%), '계속된 취업 실패'(9.2%) 등 비자발적 요인이 40% 이상을 차지했다. '일정 기간 휴식'(16.5%)이라는 응답도 상당수였는데, 이는 지속된 취업 실패로 인한 번아웃 현상과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분석된다.청년들이 생각하는 '양질의 일자리' 조건으로는 '급여 수준'(31.8%)이 단연 1위를 차지했다. 이어서 '고용 안정성'(17.9%), '일과 삶의 균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