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모아

제니, 빌보드 '위민 인 뮤직' 찢었다! 글로벌 포스상 수상

 블랙핑크 제니가 K팝 솔로 가수 최초로 '빌보드 위민 인 뮤직'에서 상을 받으며, '글로벌 퀸'의 위엄을 과시했다. 솔로 활동으로도 막강한 영향력을 증명하며 K팝의 역사를 새로 쓰고 있다는 평가다.

 

29일(현지 시각) 제니는 미국 로스앤젤레스 유튜브 시어터에서 개최된 '빌보드 위민 인 뮤직 2025'에서 '글로벌 포스상'(Global Force Award) 트로피를 품에 안았다.

 

제니는 "아름다운 여성들로 가득한 이 자리에서 '글로벌 포스상'을 받게 되어 영광"이라며 벅찬 소감을 밝혔다. 이어 "전 세계 모든 여성들에게서 영감을 얻는다"며 "앞으로도 많은 이들에게 좋은 영향을 주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포부를 전해 팬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빌보드 위민 인 뮤직'은 음악 산업에 큰 족적을 남긴 여성 아티스트, 크리에이터, 프로듀서 등을 선정해 시상하는 행사다. 빌보드 측은 "제니는 솔로 활동을 시작하며 폭발적인 글로벌 영향력을 증명했다"고 극찬하며 제니의 수상 배경을 설명했다.

 

제니의 첫 솔로 정규 앨범 'Ruby'(루비)는 발매와 동시에 전 세계 차트를 휩쓸며 '제니 파워'를 입증했다. 'Ruby'는 빌보드 메인 앨범 차트 '빌보드 200'에 2주 연속 진입했고, 타이틀곡 'like JENNIE'(라이크 제니)는 빌보드 '글로벌(미국 제외)' 차트와 '글로벌 200' 차트에서 2주 연속 TOP 10에 랭크되는 기염을 토했다.

 


영국 오피셜 앨범 차트 'TOP 100'에서는 3위로 데뷔하며 K팝 여성 솔로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 올해 최초로 3주 연속 차트에 이름을 올린 K팝 아티스트라는 타이틀까지 거머쥐며 독보적인 존재감을 과시했다.

 

제니는 4월 13일과 20일, 미국 최대 음악 축제 '코첼라 밸리 뮤직 앤드 아츠 페스티벌' 무대에 오른다. 솔로 아티스트로서 코첼라를 뜨겁게 달굴 제니의 활약에 전 세계 팬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 수상으로 제니는 K팝 여성 솔로 아티스트의 위상을 한층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글로벌 퀸'을 넘어 '글로벌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한 제니. 앞으로 그가 보여줄 무한한 가능성과 음악적 성장에 기대가 모아진다.

 

'공짜 휴일'의 민낯…내수 진작 효과는 '0', 정부의 민망한 성적표

 정부가 경기 부양과 국민 휴식권 보장을 명분으로 종종 지정했던 '임시공휴일'이 실제로는 내수 소비 증진에 별다른 효과를 내지 못한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추석 연휴를 앞두고 10월 10일 임시공휴일 지정이 최종 무산된 가운데, 한국은행이 발표한 보고서는 임시공휴일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기존의 통념을 정면으로 반박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임시공휴일이 포함된 긴 연휴는 소비의 총량을 늘리기보다는, 연휴 직전에 소비를 집중시키고 연휴 이후에는 오히려 소비를 위축시키는 '기간 간 대체 효과'를 유발하는 데 그쳤다. 실제로 임시공휴일이 있었던 과거 명절 기간의 카드 사용액을 분석한 결과, 연휴 직전에는 소비가 평소보다 10% 이상 급증했지만 연휴가 끝난 뒤에는 되레 5~8% 감소하는 패턴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결국 연휴 전후 약 4주간의 전체 카드 사용액을 합산해보면 임시공휴일이 없던 명절과 비교해 총소비 규모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던 것이다. 이는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하루의 영업일이 줄어드는 효과와 연휴 기간 대면 소비가 늘어나는 효과가 서로 상쇄된 결과로 풀이된다.특히 임시공휴일의 '약발'이 먹히지 않는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로 해외여행의 급증이 지목됐다. 연휴가 길어질수록 국내에 머물며 소비하기보다는 해외로 떠나는 여행객이 늘어나면서, 내수 진작 효과가 해외에서 발생하는 소비로 상쇄되어 버린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사례로 임시공휴일이 포함됐던 2025년 설 연휴 기간에는 역대 최고 수준의 출국자 수를 기록하며, 외식 등 국내 대면 서비스 소비는 오히려 평소 명절보다 감소하는 기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물론 이번 연구는 분석 대상이 된 임시공휴일 사례가 많지 않고, 당시의 경제 여건이나 날씨 등 다른 변수들을 완벽하게 통제하지 못했다는 명백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연구를 진행한 조병수 차장 역시 "임시공휴일 지정의 효과에 대해 일반화하기는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하지만 '임시공휴일=내수 활성화'라는 단순한 공식을 재고하고, 보다 정교한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 결과는 의미가 작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