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모아

머리 다친 후 뇌졸중?..1년 지나도 위험해

서울대병원 연구팀이 50세 미만 외상성 뇌손상(TBI) 환자들의 뇌졸중 발생 위험을 분석한 결과, 외상성 뇌손상 환자들이 일반인보다 약 1.9배 더 높은 뇌졸중 위험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연구는 18세에서 49세 사이의 외상성 뇌손상 환자군과 연령 및 성별이 일치하는 일반인 대조군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총 104만 명을 7년 이상 추적 관찰했다. 이를 통해 뇌졸중 발생률을 조사하고, 외상성 뇌손상과 뇌졸중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외상성 뇌손상은 교통사고나 낙상, 스포츠 사고 등 외부 충격으로 인해 뇌에 발생하는 손상으로, 경미한 뇌진탕부터 뇌부종, 뇌출혈, 두개골 골절 등 다양한 형태를 포함한다. 연구팀은 외상성 뇌손상 환자군과 일반인 대조군을 7년 동안 추적하며, 이들 각각의 뇌졸중 발생률을 비교했다. 그 결과, 외상성 뇌손상 환자군의 1000인년(1000명 기준으로 1년간 관찰했을 때 뇌졸중 발생 확률)당 뇌졸중 발생률은 3.82%로 나타났으며, 이는 대조군의 1.61%보다 훨씬 높은 수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계산한 결과, 외상성 뇌손상 환자들의 전체 뇌졸중 위험은 일반인보다 1.89배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뇌졸중의 유형별로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뇌출혈의 위험이 2.63배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지주막하출혈이 1.94배, 뇌경색이 1.60배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외상성 뇌손상 후 1년 이상이 지난 환자들만 따로 분석했을 때도 뇌졸중 위험이 여전히 높다는 점에 주목했다. 1년 이상 경과한 환자들의 뇌졸중 위험은 대조군보다 1.09배, 뇌출혈 위험은 1.2배 높았다. 이는 외상성 뇌손상 후 장기적으로도 뇌졸중 예방에 대한 관리가 지속적으로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연구팀은 외상성 뇌손상의 유형에 따라 뇌진탕, 뇌진탕 외 손상(뇌부종, 출혈 등), 두개골 골절로 나누어 하위 분석을 진행했다. 그 결과, 뇌출혈의 위험이 가장 높은 그룹은 뇌진탕 외 손상군으로, 뇌출혈 위험이 대조군에 비해 약 9배 높았다. 두개골 골절군은 뇌출혈 위험이 5배 증가했으며, 뇌진탕군도 약 2배 높은 위험을 보였다. 이는 비교적 경미한 뇌진탕이라도 뇌출혈의 위험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 연구 결과는 스포츠나 사고로 뇌진탕을 경험한 사람들에게도 중요한 경고를 제공한다. 특히 청장년층이 뇌진탕을 경험할 경우, 증상이 가벼워 보일 수 있지만, 이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뇌진탕 후에는 주기적인 건강 관리와 뇌졸중 예방을 위한 노력들이 필요하며, 혈당, 혈압, 콜레스테롤 등을 철저히 관리하고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통해 뇌 건강을 점검해야 한다는 것이다.

 

서울대병원 이자호 교수는 “특히 외상성 뇌손상을 경험한 청장년층은 자신의 뇌졸중 위험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뇌졸중 예방에 대한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또한, 외상성 뇌손상을 경험한 후, 정기적인 검진과 건강 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며, 건강한 생활습관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뇌졸중 예방을 위한 조기 관리가 중요하며, 뇌졸중 발생 위험이 높은 외상성 뇌손상 환자들에게는 이러한 예방적 조치가 필수적이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인 ‘미국심장협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에 실리며 주목을 받았다. 연구팀은 외상성 뇌손상 환자들이 뇌졸중 위험을 간과하지 않도록, 예방적 조치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기 위해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 결과는 외상성 뇌손상 환자들에게 뇌졸중 예방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손흥민 패싱' 논란…AFC, 기준이 대체 뭐길래 이런 결과가

 아시아 축구계에 때아닌 논란이 불거졌다. 아시아 축구의 살아있는 전설이자 현재 진행형인 아이콘, 손흥민이 아시아축구연맹(AFC)이 선정하는 올해의 국제선수상 후보 명단에서 제외되는 충격적인 결과가 발표되었기 때문이다. 지난 시즌, 손흥민은 소속팀 토트넘 홋스퍼의 주장 완장을 차고 팀을 이끌며 유럽축구연맹(UEFA) 유로파리그 정상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이는 그의 프로 커리어 사상 첫 메이저 대회 우승 트로피였으며, 아시아 선수로서 유럽 클럽 대항전 우승을 주장으로 이끌었다는 점에서 역사적인 성과로 평가받았다. 부상 등으로 인해 이전 시즌만큼의 폭발적인 득점력을 보여주지 못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팀의 구심점이자 리더로서 일궈낸 값진 성과를 고려하면 이번 후보 제외는 쉽게 납득하기 어려운 결정이라는 평이 지배적이다. 더욱이 아시아 내에서 활약하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하는 'AFC 올해의 선수' 부문 후보들의 면면을 보면 의구심은 더욱 커진다. 말레이시아 리그의 아리프 아이만이 자국 선수 최초로 후보에 오른 것은 주목할 만하지만, 그의 소속팀이 아시아 챔피언스리그 16강에서 탈락했고 말레이시아 대표팀 역시 월드컵 3차 예선 진출에 실패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가 과연 아시아 전체를 통틀어 최상위 3인에 들 만한 활약을 펼쳤는지는 물음표가 붙는다.손흥민이 빠진 국제선수상 후보 자리는 공교롭게도 '차세대 에이스' 이강인이 채웠다. 이강인은 지난 시즌 파리 생제르맹(PSG) 소속으로 유럽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포함한 트레블(3관왕)을 달성하는 화려한 이력을 쌓았다. 하지만 시즌 내내 확고한 주전으로 활약했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팀의 압도적인 전력 덕을 본 측면이 크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이강인과 함께 후보에 오른 이란의 메흐디 타레미나 일본의 구보 다케후사 역시 각자의 리그에서 준수한 활약을 펼쳤지만, 팀의 주장으로서 유럽 대항전 우승이라는 명백한 결과물을 만들어낸 손흥민의 공헌도를 넘어섰다고 단언하기는 힘들다. 결국 AFC의 이번 결정은 개인의 상징적인 성과나 팀 내에서의 리더십과 영향력보다는, 소속팀의 최종 성적이나 표면적인 타이틀 개수에 더 큰 비중을 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한국 축구는 2012년 이근호 이후 아시아 내 올해의 선수 맥이 끊겼고, 국제선수상은 손흥민과 김민재가 명맥을 이어왔다. 이제 팬들의 시선은 생애 첫 후보에 오른 이강인이 과연 수상의 영예를 안으며 선배들의 길을 이을 수 있을지에 쏠리고 있지만, 그와 별개로 아시아 최고의 별이 펼친 역사를 외면한 듯한 AFC의 선택은 두고두고 아쉬움과 논란을 남길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