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9회말 2아웃, 기적은 시작됐다! 이정후, MLB 개막전 역전 드라마 '주연'

 "KBO 7시즌? MLB 2년 차? 상관없다!" 이정후(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가 메이저리그 개막전부터 짜릿한 역전 드라마를 쓰며 '바람의 손자'다운 존재감을 과시했다.

 

지난해 어깨 부상으로 조기 시즌 아웃된 아픔을 딛고 돌아온 이정후. 28일(한국시간) 미국 신시내티 그레이트 아메리칸 볼 파크에서 열린 신시내티 레즈와의 2025 MLB 개막전에서 3번 타자 중견수로 선발 출전, 2타수 무안타 2볼넷 2득점으로 팀의 6-4 역전승을 이끌었다.

 

9회말 2아웃, 2-3 패색이 짙던 순간, 이정후가 드라마의 서막을 열었다. 신시내티 마무리 이안 지보를 상대로 끈질긴 승부 끝에 볼넷을 골라낸 것. 0-2 불리한 카운트에서 시작해 풀카운트 접전, 그리고 8구째 승리. '출루 머신'의 귀환을 알리는 순간이었다.

 

이정후의 출루는 나비효과가 됐다. 맷 채프먼의 안타로 3루, 패트릭 베일리의 안타로 홈을 밟으며 3-3 동점. 그리고 윌머 플로레스의 역전 쓰리런! 샌프란시스코는 9회말 2아웃에서 4점을 뽑아내는 기적을 연출했다.

 


이날 이정후는 '104마일 파이어볼러' 헌터 그린 등 신시내티 투수진을 상대로 쉽지 않은 경기를 펼쳤다. 첫 타석 삼진, 두 번째 타석 볼넷(후속타자 홈런으로 득점), 세 번째 타석 삼진. 하지만 마지막 타석에서 결정적인 볼넷을 얻어내며 팀 승리의 발판을 마련했다.

 

"몸 상태는 정말 좋다. 개막전 준비는 다 됐다." 시범경기 마지막 경기 후 인터뷰에서 이정후는 자신감을 숨기지 않았다. 스프링캠프 초반 4할 맹타, 허리 통증 후 빠른 회복, 그리고 실전 감각 회복까지. 그의 말은 허언이 아니었다.

 

MLB닷컴은 이정후를 샌프란시스코의 '키 플레이어'로 꼽으며, 그의 활약이 팀의 가을 야구 운명을 좌우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정후는 개막전부터 그 기대에 부응하며, 2025시즌 샌프란시스코의 '희망'으로 떠올랐다.

 

"어느 타선에서든 팀이 원하는 모습을 보여드리겠다." 3번 타자로 변신한 이정후는 팀을 위해 뛸 준비가 됐다. 샌프란시스코는 하루 휴식 후 30일, 신시내티와 다시 격돌한다. '바람의 DNA'를 증명한 이정후, 그의 질주가 시작됐다.

 

우리 동네 땅 밑은 괜찮을까? 20년 넘은 상하수관 40%, 정비는 '하세월'

 전국 상하수관로 10개 중 4개꼴로 20년이 넘은 노후 관로이며, 이렇게 낡은 관로를 정비하는 데 최대 11년이 걸리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지반 침하로 인한 싱크홀 발생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지적된다.25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박홍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환경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3년 기준 20년 이상 된 하수관은 전체(17만2496㎞)의 43.7%인 7만5837㎞에 달했다. 특히 30년 이상 된 관로는 전체의 25.9%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대구(74%), 광주(67.1%), 서울(66.1%) 등 대도시의 노후 하수관 비율이 높았다.상수관도 사정은 비슷하다. 2023년 기준 20년 지난 상수관은 전체(24만6126㎞)의 38.2%인 9만3969㎞로 집계됐다.노후 상하수관은 관 이음새나 본체에 균열이 생겨 물이 새기 쉽다. 이때 흘러나온 물이 주변 흙을 씻어내 땅속에 빈 공간을 만들고, 결국 지반이 무너져 내리는 싱크홀로 이어진다. 실제로 최근 10년간 발생한 크고 작은 싱크홀의 절반이 상하수관 손상 때문이었다. 다만 깊이 5m 이상의 대형 싱크홀은 지하 공사가 원인인 경우가 많다는 분석도 있다.환경부는 하수관로 내구연한을 20년으로 보고, 20년 이상 된 관로를 정비 대상으로 관리한다. 지자체는 정밀조사 후 결함 구간을 매년 정비하며, 환경부는 조사 및 사업비 일부를 지원한다.문제는 정비 대상으로 지정돼도 실제 공사가 완료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는 점이다. 하수관로의 경우 설계에만 3년, 인허가 및 입찰 1~2년, 공사 6년 등 최대 11년이 걸린 사례가 있으며, 평균적으로 약 5년이 소요된다.상수관 정비도 마찬가지다. 최근 정밀조사 결과 전체의 약 7.7%가 교체·보수 필요한 노후관으로 확인됐지만, 올해 1월 기준 정비 완료율은 16.9%에 불과하다. 공사 중이거나 설계·준비 단계인 곳이 대부분이다. 상수관 정비 사업 기간은 약 5~7년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환경부 관계자는 정비 사업 지연에 대해 "재원이 한정돼 있어 지자체의 수요와 재정자립도 등을 고려해 순차적으로 지원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박 의원은 "상하수도 노후화가 지반 침하의 주범이지만 정비까지 수년이 걸리는 것이 현실"이라며 "국민 안전을 위해 노후 상하수도관 정비에 대한 더 적극적인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