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모아

시민들, 애쓰는 소방관 위한 깜짝 기부 릴레이

경북 의성을 비롯한 경북 일대에서 발생한 산불 진화에 나선 소방대원들을 향한 온정의 손길이 이어지고 있다. 어려운 여건 속에서 불길과 싸우는 소방관들을 위해 지역 주민들은 자발적으로 숙소와 음식, 기부금을 제공하며 힘을 보태고 있다.

 

25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경북 의성에서 펜션을 운영하는 30대 여성 A씨가 자신의 펜션을 소방대원들에게 무료로 제공하겠다는 게시글을 올렸다. A씨는 "밤낮으로 고생 중인 소방대원님들을 위해 숙소 안에 일회용 칫솔과 치약, 간단한 식사도 준비했다. 편하게 쉬다 가시라"며 펜션의 위치와 출입 비밀번호를 공개했다. 또한 "의성 옥산면에서 산불 진화에 힘쓰시는 소방대원님들이 잠시라도 쉬어갈 수 있도록 돕고 싶었다"고 전했다.

 

A씨가 공개한 사진에는 컵밥과 라면, 깨끗한 침구류 등이 준비된 모습이 담겨 있었다. 이에 대해 네티즌들은 "정말 선한 영향력이다", "이런 분들이 있어서 세상이 따뜻하다"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A씨는 "우리 마을 주민들도 힘닿는 데까지 소방관들을 돕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불길이 번진 안동에서는 한 40대 여성 B씨가 편의점 선결제를 통해 소방대원들에게 생필품을 지원하기도 했다. 그는 "배달 플랫폼을 통해 아무 편의점이나 선결제한 뒤 필요한 분들께 나눠줄 수 있느냐고 물었더니 편의점 사장님도 흔쾌히 동참해 주셨다"고 전했다. "큰 기부가 아니더라도 생수 10병씩만 사서 보내주면 금세 몇천 병이 모일 것"이라며 다른 이들의 동참을 요청하기도 했다.

 

이뿐만 아니라 이재민을 위한 지원도 이어지고 있다. 안동의 한 호텔은 공식 SNS 계정을 통해 "고령층 피해가 심각한 상황이라 걱정이다. 피난처가 마땅치 않은 분들을 위해 객실을 제공할 예정이니 편하게 연락주시기 바란다"며 도움의 손길을 내밀었다.

 

 

 

한편, 열악한 근무환경 속에서 목숨을 걸고 진화에 나서는 소방관들을 위한 기부 행렬도 계속되고 있다. 27일 오전 11시 기준 네이버 해피빈 모금 플랫폼에 개설된 '소방관과 산불진화대원의 보호장비 지원을 위한 모금 사업'에는 11억 원이 넘는 기부금이 모였다. 이를 주관하는 전국재해구호협회는 "소방관들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온몸을 내던지고 있지만, 정작 자신들의 생명을 보호할 장비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라며 기부를 독려했다. 특히 산불 현장에서 사용되는 방화복과 장갑이 유독물질과 발암물질에 오염되지만, 방화복 전용 세탁시설이 부족해 오염된 장비를 재사용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 문제로 지적됐다.

 

전국재해구호협회는 "방화복을 제대로 세탁하지 못하는 단순한 이유로 수많은 소방관들이 암과 폐질환에 시달리고 있다"며 기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국민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이어지면서 모금 목표액은 20억 원까지 상향 조정됐다.

 

이러한 자발적인 지원 사례는 과거에도 있었다. 2019년 강원도 고성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했을 당시에도 지역 주민들과 기업들이 소방관들을 위해 무료 숙소를 제공하고, 음식과 생필품을 지원한 바 있다. 당시 한 편의점 사장은 자신의 가게를 개방해 소방관들이 무료로 물과 음식을 가져갈 수 있도록 했으며, 지역 주민들은 김밥과 주먹밥을 만들어 전달하는 등 각자의 방식으로 도움을 줬다.

 

이번 산불은 지난 22일 오전 11시 24분쯤 경북 의성군 안평면에서 시작된 뒤 강풍을 타고 안동, 청송, 영양, 영덕 등으로 확산됐다. 닷새째 불길을 잡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지만, 강풍 등의 영향으로 진화 작업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가운데 26일 오후 의성에서 산불 진화 작업을 수행하던 강원도 임차 S-76B 중형 헬기가 추락해 박현우 기장이 숨지는 안타까운 사고도 발생했다. 의성군은 희생자를 기리기 위해 분향소를 설치하고 오는 29일까지 운영할 예정이다.

 

소방대원들의 헌신적인 노력과 시민들의 따뜻한 연대가 더해지면서 산불 피해 복구와 피해자 지원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서로를 돕는 이러한 움직임이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 세입자'는 갱신으로 안도, '신규 세입자'는 매물 찾아 삼만리… 갈라진 임대차 시장

 정부의 6·27 부동산 대책이 시행된 지 두 달이 지나면서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아파트 전세 시장이 급격하게 얼어붙고 있다. 신규로 전셋집을 구하려는 수요자들은 급감한 매물과 치솟은 호가에 발을 동동 구르는 반면, 기존 세입자들은 계약갱신요구권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주거 안정에 나서는 양극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갭투자를 억제하려던 정책이 전세 공급 자체를 위축시키는 부작용을 낳으면서, 임대차 시장의 구조적 왜곡과 신규 세입자의 주거비 부담 가중이라는 새로운 문제점을 낳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대책 시행 이후인 올해 7월부터 8월까지 전국 아파트 전세 계약 건수는 총 8만 9220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나 감소했다. 특히 신규 계약은 5만 5368건에 그치며 전년 동기 대비 28.6%라는 가파른 감소세를 보였다. 서울(-30.4%)과 경기(-33.4%) 등 수도권의 감소 폭은 더욱 두드러졌다. 이는 갭투자가 어려워지자 다주택자들이 전세 공급을 꺼리면서 나타난 직접적인 결과로 풀이된다. 반면, 같은 기간 갱신 계약은 3만 3852건으로 23.7% 급증했으며, 이 중 임차인이 법적 권리인 갱신요구권을 사용한 경우는 1만 7477건으로 무려 83.2%나 폭증했다. 전세 매물 품귀 현상으로 임대인 우위 시장이 형성되자, 기존 세입자들이 새로운 집을 구하는 대신 현재 거주지에 머무르는 것을 택하고 있는 것이다.신규 세입자와 기존 세입자 간의 '가격 격차'는 이러한 시장의 이중 구조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지난 두 달간 서울의 동일 아파트, 동일 면적에서 체결된 계약을 비교한 결과, 신규 계약의 평균 전셋값은 6억 3716만원으로 갱신 계약 평균가(5억 8980만원)보다 4736만원, 비율로는 8.7%나 더 높았다. 불과 1년 전만 해도 이 가격 차이가 1.7%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하면, 신규 세입자가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지불해야 하는 '입장료'가 엄청나게 비싸진 셈이다. 어렵게 전세 매물을 찾아도 이미 크게 오른 가격을 감당해야 하는 신규 세입자들의 부담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전세 시장에서 밀려난 수요자들은 결국 월세 시장으로 발길을 돌리는 '풍선 효과'도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같은 기간 아파트 월세 계약은 8만 2615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 증가하며 전세 시장의 위축과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는 높은 전셋값과 매물 부족에 지친 임차인들이 울며 겨자 먹기로 월세를 선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 전문가는 "정부 대책이 전세 시장의 공급 부족과 신규 세입자의 주거비 부담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며 "법적 권리로 주거를 연장하는 기존 세입자와 높은 비용을 치르고 시장에 진입해야 하는 신규 세입자 간의 격차가 벌어지면서 임대차 시장의 양극화가 고착될 수 있다"고 깊은 우려를 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