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모아

시민들, 애쓰는 소방관 위한 깜짝 기부 릴레이

경북 의성을 비롯한 경북 일대에서 발생한 산불 진화에 나선 소방대원들을 향한 온정의 손길이 이어지고 있다. 어려운 여건 속에서 불길과 싸우는 소방관들을 위해 지역 주민들은 자발적으로 숙소와 음식, 기부금을 제공하며 힘을 보태고 있다.

 

25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경북 의성에서 펜션을 운영하는 30대 여성 A씨가 자신의 펜션을 소방대원들에게 무료로 제공하겠다는 게시글을 올렸다. A씨는 "밤낮으로 고생 중인 소방대원님들을 위해 숙소 안에 일회용 칫솔과 치약, 간단한 식사도 준비했다. 편하게 쉬다 가시라"며 펜션의 위치와 출입 비밀번호를 공개했다. 또한 "의성 옥산면에서 산불 진화에 힘쓰시는 소방대원님들이 잠시라도 쉬어갈 수 있도록 돕고 싶었다"고 전했다.

 

A씨가 공개한 사진에는 컵밥과 라면, 깨끗한 침구류 등이 준비된 모습이 담겨 있었다. 이에 대해 네티즌들은 "정말 선한 영향력이다", "이런 분들이 있어서 세상이 따뜻하다"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A씨는 "우리 마을 주민들도 힘닿는 데까지 소방관들을 돕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불길이 번진 안동에서는 한 40대 여성 B씨가 편의점 선결제를 통해 소방대원들에게 생필품을 지원하기도 했다. 그는 "배달 플랫폼을 통해 아무 편의점이나 선결제한 뒤 필요한 분들께 나눠줄 수 있느냐고 물었더니 편의점 사장님도 흔쾌히 동참해 주셨다"고 전했다. "큰 기부가 아니더라도 생수 10병씩만 사서 보내주면 금세 몇천 병이 모일 것"이라며 다른 이들의 동참을 요청하기도 했다.

 

이뿐만 아니라 이재민을 위한 지원도 이어지고 있다. 안동의 한 호텔은 공식 SNS 계정을 통해 "고령층 피해가 심각한 상황이라 걱정이다. 피난처가 마땅치 않은 분들을 위해 객실을 제공할 예정이니 편하게 연락주시기 바란다"며 도움의 손길을 내밀었다.

 

 

 

한편, 열악한 근무환경 속에서 목숨을 걸고 진화에 나서는 소방관들을 위한 기부 행렬도 계속되고 있다. 27일 오전 11시 기준 네이버 해피빈 모금 플랫폼에 개설된 '소방관과 산불진화대원의 보호장비 지원을 위한 모금 사업'에는 11억 원이 넘는 기부금이 모였다. 이를 주관하는 전국재해구호협회는 "소방관들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온몸을 내던지고 있지만, 정작 자신들의 생명을 보호할 장비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라며 기부를 독려했다. 특히 산불 현장에서 사용되는 방화복과 장갑이 유독물질과 발암물질에 오염되지만, 방화복 전용 세탁시설이 부족해 오염된 장비를 재사용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 문제로 지적됐다.

 

전국재해구호협회는 "방화복을 제대로 세탁하지 못하는 단순한 이유로 수많은 소방관들이 암과 폐질환에 시달리고 있다"며 기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국민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이어지면서 모금 목표액은 20억 원까지 상향 조정됐다.

 

이러한 자발적인 지원 사례는 과거에도 있었다. 2019년 강원도 고성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했을 당시에도 지역 주민들과 기업들이 소방관들을 위해 무료 숙소를 제공하고, 음식과 생필품을 지원한 바 있다. 당시 한 편의점 사장은 자신의 가게를 개방해 소방관들이 무료로 물과 음식을 가져갈 수 있도록 했으며, 지역 주민들은 김밥과 주먹밥을 만들어 전달하는 등 각자의 방식으로 도움을 줬다.

 

이번 산불은 지난 22일 오전 11시 24분쯤 경북 의성군 안평면에서 시작된 뒤 강풍을 타고 안동, 청송, 영양, 영덕 등으로 확산됐다. 닷새째 불길을 잡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지만, 강풍 등의 영향으로 진화 작업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가운데 26일 오후 의성에서 산불 진화 작업을 수행하던 강원도 임차 S-76B 중형 헬기가 추락해 박현우 기장이 숨지는 안타까운 사고도 발생했다. 의성군은 희생자를 기리기 위해 분향소를 설치하고 오는 29일까지 운영할 예정이다.

 

소방대원들의 헌신적인 노력과 시민들의 따뜻한 연대가 더해지면서 산불 피해 복구와 피해자 지원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서로를 돕는 이러한 움직임이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기대된다.

 

추미애의 ‘질서유지권’ 발동, 나경원·송석준·조배숙 강제 퇴장… 법사위 아수라장

 22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검찰개혁 입법청문회'는 시작부터 전운이 감돌았다. 회의 시작 전부터 조희대 대법원장의 '한덕수 국무총리 회동설'을 두고 여야는 날카롭게 대립했다. 더불어민주당은 해당 의혹을 "수사로 밝혀야 할 중대한 사안"이라고 규정한 반면, 국민의힘은 "민주당이 만들어낸 가짜 녹취 의혹이야말로 수사 대상"이라며 정면으로 맞받아쳤다. 이러한 팽팽한 긴장감은 회의장 안으로 그대로 이어졌고, 결국 폭발하고 말았다. 국민의힘 소속 법사위원들이 각자의 노트북 앞에 '정치 공작, 가짜뉴스 공장 민주당'이라는 문구가 적힌 피켓을 부착한 것이 갈등의 도화선이 됐다. 해당 피켓에는 과거 국회 대치 상황에서 박찬대 민주당 의원이 경호원들을 지휘하는 듯한 모습과, 서영교 의원이 조 대법원장 관련 의혹을 제기하는 모습이 담긴 사진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를 발견한 추미애 법사위원장은 즉각 문제를 제기했다. 추 위원장은 노트북을 포함한 국회 비품을 '공공기물'로 규정하며, "노트북에 붙여 놓은 정치 구호는 명백한 회의 진행 방해 행위"라고 선언했다. 이어 국회 행정직원들에게 국민의힘 의원들 앞에 놓인 '불법 유인물'을 즉시 철거하고, 사진 촬영을 통해 증거를 수집하라고 지시하며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이에 국민의힘 의원들은 거세게 반발했다. 나경원 의원은 "함부로 손대지 말라. 이것은 우리 당의 정당한 정치 행위"라고 맞서며 피켓 철거를 단호히 거부했다. 양측의 입장이 한 치의 양보도 없이 맞서자, 추 위원장은 "정치 행위는 회의장 밖에서 하라"고 일축하며 회의 개의를 미뤘다. 예정된 시간보다 약 20분 늦게 시작된 회의에서 추 위원장은 국회법을 근거로 유인물 철거를 재차 요구하며 두 차례 경고했다. 그럼에도 피켓이 철거되지 않자, 추 위원장은 질서유지권을 발동하여 송석준, 조배숙, 나경원 의원을 차례로 호명하며 퇴장을 명령했다. 나 의원은 "피켓을 정리하려던 참인데 발언 기회조차 주지 않고 퇴장시키는 것이 말이 되느냐"며 강하게 항의했지만, 추 위원장은 "그렇게 행동하는 것이 윤석열 오빠에게 무슨 도움이 되느냐"는 조롱 섞인 발언으로 응수했다. 이 발언은 험악했던 회의장 분위기에 기름을 부었고, 결국 여야의 격렬한 충돌 속에서 회의는 시작 20분 만에 정회됐다. 이후 국회 직원들이 강제로 피켓을 철거하고 오전 11시 20분경 회의가 속개됐지만, 갈등은 끝나지 않았다. 추 위원장은 퇴장 명령에 불응한 나 의원을 향해 "국회선진화법을 위반하고 있다"며 재차 퇴장을 명령했고, 나 의원은 "국민의힘 의원 5명 중 3명을 퇴장시켜 발언권을 원천 봉쇄했다"고 반발했다. 결국 여야의 고성이 오가는 아수라장 속에서 회의는 재개된 지 약 15분 만인 11시 36분에 다시 중단되며 사실상 파행을 맞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