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모아

용과 하나면 끝, 피로·다이어트 건강 UP

최근 미국의 영양학자들이 용과를 건강에 매우 유익한 과일로 추천하고 있으며, 특히 위장 건강과 다이어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하고 있다. 하버드 T.H. 찬 공중보건대학의 영양사 테레사 펑 박사는 용과를 건강한 식단에 다양성을 더하는 훌륭한 과일로 소개했다. 그는 특히 용과철에 손질된 냉동 용과를 선택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전했다. 이어 클리블랜드 클리닉의 영양사 조이스 프레스콧은 용과가 섬유질의 훌륭한 공급원이라고 설명하며, "섬유질은 위장과 심혈관 건강에 도움이 되며, 체중 감량을 원하는 사람들에게도 유익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용과를 직접 구매해 섭취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용과는 다양한 음식점이나 카페에서 쉽게 접할 수 있지만, 그 효능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용과는 그 독특한 외형 덕분에 ‘용의 과일(dragon fruit)’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이 과일은 여러 건강 효능을 지니고 있어 많은 이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다. 용과는 피로 해소, 심혈관 질환 예방, 장 건강 개선, 미백, 항비만, 체중 조절 등 다양한 건강상의 이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용과에 포함된 비타민 B2, B3는 에너지 대사를 촉진하고 피로감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비타민 C, 베타시아닌,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항산화 성분이 체내 활성산소를 제거해 세포의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용과는 심혈관 건강에도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약학 및 약학 과학 저널에 실린 연구에 따르면, 용과의 씨앗에는 오메가-3와 오메가-6와 같은 심장 건강에 좋은 지방산이 풍부하게 들어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용과는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혈당이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며 장 건강 개선에도 효과적이다. 용과에 함유된 섬유질은 장의 운동을 원활하게 만들어 변비 예방에도 유익하다.

 

미백과 항비만 효과도 용과의 또 다른 장점이다. 용과에 풍부한 비타민 C는 콜라겐 생성을 촉진시켜 피부를 맑고 탄력 있게 만들어준다. 베타시아닌과 플라보노이드 등 항산화 성분은 세포 노화를 방지하는 데 도움을 주어 피부 건강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이다. 특히 붉은빛을 띠는 적색종 용과는 피부 미용에 더욱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제주도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적색종 용과는 피부를 칙칙하게 만드는 멜라닌 생성과 관련된 효소 활성을 억제하고 세포 내 지방 축적을 줄여 피부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용과는 또한 낮은 칼로리로 다이어트에 적합한 과일로 알려져 있다. 100g당 50~60kcal로 칼로리가 낮아 다이어트 중에도 부담 없이 섭취할 수 있다.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포만감이 오래 가기 때문에 과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다이어트를 하거나 체중 관리 중인 사람들에게 유용한 과일로 꼽힌다. 그러나 과다 섭취 시에는 복부 팽만이나 설사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하루에 100~150g 정도만 섭취하는 것이 적당하다.

 

용과는 또한 식이섬유와 수분 함량이 높아 과도하게 섭취하면 위장에 부담을 줄 수 있다. 복통이나 설사와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당량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신장 기능이 저하된 사람이나 혈액 희석제를 복용 중인 사람은 용과 섭취를 주의해야 한다. 용과가 신장에 무리를 주거나 약물의 효과를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붉은빛을 띠는 용과를 먹은 후에는 소변이나 대변이 붉게 변할 수 있지만, 이는 베타시아닌 색소의 영향으로 인체에 해롭지 않으므로 걱정할 필요는 없다.

 

용과는 다양한 건강 효능을 지닌 과일로, 피로 해소, 심혈관 질환 예방, 장 건강 개선, 피부 미백, 다이어트 등 여러 면에서 유익하다. 낮은 칼로리와 풍부한 섬유질 덕분에 다이어트나 체중 관리에 유용하며, 항산화 성분들이 체내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세포 노화를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용과를 적당량 섭취하면 건강을 챙기면서도 맛있게 즐길 수 있는 과일이 될 것이다. 다만 과다 섭취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적당량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정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

 

결혼도, 출산도 늘었다고? '착시효과'였다...사망자가 훨씬 많아 '비상'

 오랜 인구 절벽의 공포 속에서 한 줄기 희망과 같은 소식이 들려왔다. 끝없이 추락하던 출생아 수와 혼인 건수가 마침내 동반 상승하며 반등의 신호탄을 쏘아 올린 것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7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 7월 전국에서 태어난 아기는 총 2만 1803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1223명, 비율로는 5.9%나 증가했다. 이는 단순한 수치 증가를 넘어, 저출생 극복에 대한 실낱같은 기대를 품게 하는 의미 있는 변화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 역시 0.80명으로, 지난해보다 0.04명 늘어나며 바닥을 다지고 올라서는 모습을 보였다.결혼하는 커플이 늘어난 것이 출생아 수 증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7월 한 달간 혼인 건수는 2만 394건으로, 전년 대비 무려 1583건(8.4%)이나 급증했다. 결혼이 출산의 선행 지표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혼인 건수의 증가는 향후 출생아 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한다. 여기에 더해 가정이 해체되는 이혼 건수는 7826건으로 작년보다 113건(-1.4%) 줄어들어, 사회의 기본 단위인 가정이 좀 더 안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긍정적 신호도 함께 포착되었다.하지만 이 반가운 소식 이면에는 여전히 짙은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다. 이번 출생아 수 증가는 오롯이 '첫째 아이'의 증가분에 기댄 '절반의 성공'이었기 때문이다. 전체 출생아 중 첫째 아이가 차지하는 비중은 작년보다 1.6%포인트 늘어난 반면, 둘째 아이의 비중은 정확히 그만큼인 1.6%포인트 감소했다. 셋째 아이 이상 역시 0.1%포인트 줄어들었다. 이는 결혼한 부부들이 첫 아이를 낳는 것까지는 결심하지만, 양육 부담과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인해 둘째, 셋째를 낳는 것은 극도로 주저하고 있다는 현실을 명확히 보여준다. '아이 하나도 벅차다'는 사회적 분위기가 통계로 다시 한번 증명된 셈이다.더욱 근본적인 문제는 따로 있다. 출생아 수가 반짝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 인구는 여전히 줄어들고 있다는 사실이다. 7월 한 달간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훌쩍 뛰어넘으면서, 인구는 6175명 '자연 감소'했다. 태어나는 생명보다 세상을 떠나는 이들이 훨씬 더 많아 인구 총량이 줄어드는 구조적 문제가 전혀 해결되지 않은 것이다. 결국 이번 출생아 및 혼인 건수 증가는 인구 소멸이라는 거대한 흐름을 되돌리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그저 가뭄의 단비 같은 일시적 현상일 수 있다는 우려를 지울 수 없다. '딱 한 명'으로 끝나는 출산과 고령화에 따른 사망자 급증이라는 두 개의 거대한 벽을 넘어서지 못한다면, 이번의 반등은 그저 스쳐 지나가는 통계적 착시에 그칠 수 있다는 경고의 목소리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