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모아

팝콘각! '어벤져스:둠스데이' 역대급 조합..스파이더맨은?

 마블 팬들이여, 심장이 뛸 준비를 하라!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의 새로운 역사를 쓸 '어벤져스: 둠스데이'의 캐스팅 라인업이 드디어 공개됐다. 단순한 '역대급'이라는 수식어로는 부족하다. 상상을 초월하는 조합, 꿈에서나 볼 법한 히어로들의 만남이 현실이 된다.

 

26일(현지시간), 마블 스튜디오는 팬들의 오랜 기다림에 화답하듯, '어벤져스: 둠스데이' 출연진을 깜짝 발표했다. 기존 어벤져스 멤버들은 물론, 새로운 얼굴들과 심지어 다른 유니버스에서 온 히어로들까지 총출동한다.

 

인피니티 사가를 빛낸 주역들은 당연히 돌아온다. 천둥의 신 토르(크리스 헴스워스), 새로운 캡틴 아메리카 샘 윌슨(앤서니 매키), 작지만 강한 앤트맨(폴 러드), 윈터 솔져(세바스찬 스탠), 그리고 여전히 종잡을 수 없는 로키(톰 히들스턴)가 다시 한번 의기투합한다.

 

멀티버스 사가에서 새롭게 MCU에 합류한 히어로들도 빼놓을 수 없다. 샹치(시무 리우), 새로운 팔콘(대니 라미레즈), 옐레나 벨로바/블랙 위도우(플로렌스 퓨), 레드 가디언(데이비드 하버)이 어벤져스와 함께 새로운 위협에 맞선다. 여기에 판타스틱 포의 리더 미스터 판타스틱(페드로 파스칼)과 인비저블 우먼(바네사 커비)까지 합류, 더욱 강력해진 팀을 예고한다.

 


이번 캐스팅 발표의 하이라이트는 단연 엑스맨 유니버스의 전설적인 캐릭터들의 등장이다. 프로페서 X(패트릭 스튜어트), 매그니토(이안 맥켈런), 미스틱(레베카 로메인), 사이클롭스(제임스 마스던)가 MCU에 합류, 팬들을 충격과 흥분의 도가니로 몰아넣었다. 이들이 어떤 역할을 맡게 될지, MCU의 히어로들과 어떤 관계를 맺게 될지는 아직 베일에 싸여 있다.

 

오랫동안 기다려온 갬빗(채닝 테이텀)의 등장과, 닥터 둠으로 MCU에 복귀하는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의 소식은 팬들에게 또 다른 설렘을 안겨준다. 특히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의 복귀는 단순한 카메오 출연 이상의 의미를 지닐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모두의 예상을 깨고 스파이더맨(톰 홀랜드)의 이름은 발표되지 않았다. 팬들은 '혹시?'하는 불안감과 함께 다양한 추측을 내놓고 있다. '스파이더맨 4'(가제)가 '둠스데이' 이후 개봉 예정이라는 점을 들어, 스파이더맨의 부재를 설명하려는 시도도 있다. 하지만, 스파이더맨 없는 어벤져스는 상상하기 어렵다. 과연 톰 홀랜드의 스파이더맨은 어떤 운명을 맞이하게 될까?

 

MCU 페이즈 6의 핵심 이벤트가 될 '어벤져스: 둠스데이'는 2026년 5월 1일 개봉한다. 이어지는 '어벤져스: 시크릿 워즈'는 2027년 5월 7일 개봉 예정이다. 과연 이 두 영화는 MCU의 미래를 어떻게 바꿔놓을 것인가? 전 세계 마블 팬들의 시선이 '어벤져스: 둠스데이'에 쏠리고 있다.

 

지갑도, 발길도 '꽁꽁'…봄과 함께 사라진 400만명, 지역 경제 '직격탄'

 올해 1분기, 소멸 위기에 처한 지방의 인구감소지역에서 무려 400만 명에 가까운 사람들의 발길이 사라졌다. 겨우 살아나나 싶던 지역 경제에 다시 한번 빨간불이 켜진 것이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25년 1분기 생활인구 산정 결과'는 이처럼 암울한 현실을 여실히 보여준다. 생활인구란 단순히 주민등록상 주소지를 둔 사람뿐만 아니라, 한 달에 한 번 이상, 하루 3시간 넘게 지역에 머무는 사실상의 인구를 모두 포함하는 새로운 지표다. 지역의 실질적인 활력을 측정하기 위해 도입됐지만, 이번 결과는 오히려 위기감을 증폭시키고 있다.가장 큰 원인으로는 이례적인 자연 현상이 꼽힌다. 예년보다 길어진 꽃샘추위 탓에 봄꽃 개화 시기가 늦어지면서 상춘객들의 발길이 뜸해졌고, 설상가상으로 경북과 경남, 울산 등지를 휩쓴 역대급 대형 산불이 결정타를 날렸다. 화마가 휩쓸고 간 지역은 물론, 인접 지역까지 여행을 꺼리는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3월 한 달간 야외 활동 인구가 급격히 얼어붙었다. 여기에 작년과 달리 올해는 설 연휴가 1월에 포함되면서 2월과 3월의 방문객 수가 전년 대비 크게 감소하는 통계적 착시까지 더해졌다.실제로 데이터를 뜯어보면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1월에는 설 연휴 효과로 생활인구가 전년보다 303만 명 늘며 반짝 희망을 보였지만, 2월에는 무려 565만 명이, 3월에는 136만 명이 줄어들며 급격한 하락세로 돌아섰다. 1월의 증가분을 모두 반납하고도 모자라, 1분기 전체로는 총 398만 명의 생활인구가 증발해버린 셈이다.특히 산불의 영향은 뚜렷했다. 지난해 3월에는 산수유 축제 등으로 방문객이 몰렸던 전남 구례의 경우, 올해는 인접한 하동 지역의 대형 산불 여파로 방문객이 가장 많이 감소한 지역 중 하나로 꼽히는 불명예를 안았다. 산불이 직접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재난의 공포가 지역 관광 전체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주는 대목이다.이렇게 지역을 찾는 사람들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도 흥미롭다. 관광이나 휴양을 목적으로 짧게 머무는 '단기숙박형' 인구는 30세 미만 여성의 비중이 높았고, 출퇴근이나 통학을 위한 방문은 30~50대 남성이 주를 이뤘다. 이들의 1인당 평균 카드 사용액은 약 12만 2천 원으로 집계되었는데, 방문객 400만 명이 사라졌다는 것은 지역 상권의 매출 역시 막대한 타격을 입었음을 의미한다.결국 이번 통계는 인구감소지역이 자체적인 노력만으로는 극복하기 힘든 외부 충격, 특히 기후 변화와 자연재해에 얼마나 취약한지를 명백히 보여준다. 사람들의 발길이 끊기고 지갑이 닫히면서, 소멸 위기 지역의 시름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