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모아

팝콘각! '어벤져스:둠스데이' 역대급 조합..스파이더맨은?

 마블 팬들이여, 심장이 뛸 준비를 하라!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의 새로운 역사를 쓸 '어벤져스: 둠스데이'의 캐스팅 라인업이 드디어 공개됐다. 단순한 '역대급'이라는 수식어로는 부족하다. 상상을 초월하는 조합, 꿈에서나 볼 법한 히어로들의 만남이 현실이 된다.

 

26일(현지시간), 마블 스튜디오는 팬들의 오랜 기다림에 화답하듯, '어벤져스: 둠스데이' 출연진을 깜짝 발표했다. 기존 어벤져스 멤버들은 물론, 새로운 얼굴들과 심지어 다른 유니버스에서 온 히어로들까지 총출동한다.

 

인피니티 사가를 빛낸 주역들은 당연히 돌아온다. 천둥의 신 토르(크리스 헴스워스), 새로운 캡틴 아메리카 샘 윌슨(앤서니 매키), 작지만 강한 앤트맨(폴 러드), 윈터 솔져(세바스찬 스탠), 그리고 여전히 종잡을 수 없는 로키(톰 히들스턴)가 다시 한번 의기투합한다.

 

멀티버스 사가에서 새롭게 MCU에 합류한 히어로들도 빼놓을 수 없다. 샹치(시무 리우), 새로운 팔콘(대니 라미레즈), 옐레나 벨로바/블랙 위도우(플로렌스 퓨), 레드 가디언(데이비드 하버)이 어벤져스와 함께 새로운 위협에 맞선다. 여기에 판타스틱 포의 리더 미스터 판타스틱(페드로 파스칼)과 인비저블 우먼(바네사 커비)까지 합류, 더욱 강력해진 팀을 예고한다.

 


이번 캐스팅 발표의 하이라이트는 단연 엑스맨 유니버스의 전설적인 캐릭터들의 등장이다. 프로페서 X(패트릭 스튜어트), 매그니토(이안 맥켈런), 미스틱(레베카 로메인), 사이클롭스(제임스 마스던)가 MCU에 합류, 팬들을 충격과 흥분의 도가니로 몰아넣었다. 이들이 어떤 역할을 맡게 될지, MCU의 히어로들과 어떤 관계를 맺게 될지는 아직 베일에 싸여 있다.

 

오랫동안 기다려온 갬빗(채닝 테이텀)의 등장과, 닥터 둠으로 MCU에 복귀하는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의 소식은 팬들에게 또 다른 설렘을 안겨준다. 특히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의 복귀는 단순한 카메오 출연 이상의 의미를 지닐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모두의 예상을 깨고 스파이더맨(톰 홀랜드)의 이름은 발표되지 않았다. 팬들은 '혹시?'하는 불안감과 함께 다양한 추측을 내놓고 있다. '스파이더맨 4'(가제)가 '둠스데이' 이후 개봉 예정이라는 점을 들어, 스파이더맨의 부재를 설명하려는 시도도 있다. 하지만, 스파이더맨 없는 어벤져스는 상상하기 어렵다. 과연 톰 홀랜드의 스파이더맨은 어떤 운명을 맞이하게 될까?

 

MCU 페이즈 6의 핵심 이벤트가 될 '어벤져스: 둠스데이'는 2026년 5월 1일 개봉한다. 이어지는 '어벤져스: 시크릿 워즈'는 2027년 5월 7일 개봉 예정이다. 과연 이 두 영화는 MCU의 미래를 어떻게 바꿔놓을 것인가? 전 세계 마블 팬들의 시선이 '어벤져스: 둠스데이'에 쏠리고 있다.

 

서울대, '공공성·다양성' 외치며 입시 칼날 뽑았다! 2028 입시 지각변동 예고!

 서울대학교가 2028학년도 대입부터 지역 인재 선발을 대폭 늘리기 위해 수시모집 학생부종합전형(지역균형전형)의 선발 인원을 확대한다고 29일 발표했다. 이는 기존 정시모집의 수능위주전형(지역균형전형)을 폐지하는 대신, 수시 지역균형전형의 문턱을 낮춰 더 많은 지역 학생들이 서울대에 진학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파격적인 변화다. 서울대 측은 이러한 변화가 "공공성과 다양성 실현, 그리고 학교 교육을 성실하게 이수한 우수 인재를 선발한다는 전형의 취지를 충실히 구현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개편은 고교 교육 정상화와 지역 균형 발전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서울대가 적극적으로 응답하는 모습으로 해석된다.특히 수시모집 학생부종합전형(지역균형전형)의 변화가 눈에 띈다. 교육 불균형 해소와 지역별 우수 인재의 균형적 선발을 위해 자율형사립고, 외국어고, 국제고, 과학고, 영재학교 출신 학생들의 지원이 제한된다. 이는 일반고 학생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또한, 고교별 추천 인원도 기존 2명에서 3명으로 늘어나면서 각 고등학교가 더 많은 학생을 추천할 수 있게 됐다. 무엇보다 중요한 변화는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수능 부담을 덜어내고 학교생활기록부 중심의 평가를 강화해, 내신과 학교 활동에 충실한 지역 학생들이 서울대에 진학할 수 있는 길을 넓혀줄 것으로 기대된다.정시모집 수능위주전형(일반전형)에도 큰 변화가 찾아온다. 서울대는 대학 수학을 위한 기본 학업 소양을 검증하기 위해 수능을 계속 활용하되, 고교 학습과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교과역량평가'를 새롭게 도입한다. 이는 정시에서도 단순히 수능 점수만으로 학생을 선발하는 것이 아니라, 고등학교 교과 과정을 얼마나 충실히 이수했는지를 평가하겠다는 의미다. 전형 방식은 1단계에서 수능 100%로 모집 인원의 3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에서는 수능 60점과 교과역량평가 40점의 배점을 반영해 최종 합격자를 가린다. 이는 수능 성적 외에 내신과 학교생활의 중요성을 정시에서도 강조하겠다는 서울대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다만, 수의과대학과 의과대학은 2단계 전형에서 수능 60점, 교과역량평가 20점, 그리고 적성·인성면접 20점을 반영할 예정이다. 이는 의학 계열 특성상 학업 역량뿐만 아니라 인성과 적성까지 종합적으로 평가하겠다는 것으로 보인다. 이번 서울대 입시 개편은 단순히 전형 방식의 변화를 넘어, 대학 입시의 공정성과 다양성을 확보하고, 고교 교육을 정상화하려는 서울대의 철학이 담긴 결과로 평가된다. 2028학년도부터 적용될 이 변화는 향후 대입 지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고등학생들과 학부모들은 물론 교육계 전반의 큰 관심이 쏠릴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