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블

돌아온 벚꽃 시즌, 석촌호수에서 제대로 놀자

서울 송파구 석촌호수의 벚꽃이 드디어 꽃망울을 터뜨리기 직전으로 다가왔다. 1100여 그루의 벚나무가 호수를 따라 이어져 있는 석촌호수는 전국적인 벚꽃 명소로 유명하다. 매년 봄, 수많은 사람들이 벚꽃을 즐기기 위해 이곳을 찾으며, 특히 벚꽃이 만개하는 시점은 연중 가장 아름다운 순간으로 꼽힌다. 석촌호수 주변을 거닐며 벚꽃놀이를 즐길 수 있는 것은 물론, 바로 옆에 위치한 롯데월드에서 놀이기구를 타며 벚꽃을 감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곳은 더욱 특별하다.

 

롯데월드 어드벤처의 실외 공간인 매직아일랜드에서 벚꽃을 즐기는 것은 봄나들이의 진수다. 특히, 매직아일랜드의 오버브릿지와 메인브릿지 초입은 벚꽃 인증샷을 찍기에 최적의 장소로, 사진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벚꽃이 만개한 석촌호수를 배경으로 한 멋진 사진을 남기기에 이만한 곳이 없다. 꽃이 만개하는 동안, 이곳을 찾는 사람들이 많은 이유는 봄날의 아름다운 자연을 마음껏 담아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석촌호수에서 벚꽃을 가까이서 감상하고 싶다면 ‘문보트’를 타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문보트’는 초승달 모양의 보트로, 호수 위를 유영하면서 방향키로 조종하며 호수 가장자리에 핀 벚꽃을 가까이서 볼 수 있다. 꽃이 흩날리는 순간을 맞으며 로맨틱한 벚꽃놀이를 즐길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보다 짜릿한 벚꽃 구경을 원한다면 매직아일랜드에 있는 ‘자이로스윙’을 추천한다. 자이로스윙은 발판이 없는 원형 의자에 앉아, 최고 32m까지 올라가며 석촌호수를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다. 이 어트랙션은 정점에서 벚꽃이 만개한 석촌호수를 감상하며, 하강할 때는 마치 호수로 다이빙하는 듯한 짜릿한 기분을 느낄 수 있어 스릴을 즐기는 이들에게 특히 인기다.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는 요즘 가장 인기 있는 벚꽃놀이 명소 중 하나다. 123층에 위치한 서울스카이에서는 벚꽃이 만개한 석촌호수는 물론, 북쪽의 한강변, 서쪽의 탄천변 등 서울의 다양한 풍경을 한눈에 담을 수 있다. 360도 파노라마 뷰를 제공하는 서울스카이에서 벚꽃을 감상하며 봄을 만끽할 수 있다. 특히, 서울스카이에서는 고공에서 바라보는 벚꽃의 경치가 매우 인상적이다.

 

좀 더 짜릿하고 특별한 경험을 원한다면 서울스카이 ‘스카이브릿지 투어’를 이용해보자. 이 고공 어트랙션은 롯데월드타워 최상단에 위치한 다리를 건너는 경험을 제공한다. 541m 높이에서 벚꽃이 활짝 핀 석촌호수를 내려다보며 아찔한 스릴을 느낄 수 있는 특별한 체험이다. 이 경험은 고공에서 벚꽃을 감상하며 짜릿한 스릴을 즐길 수 있어, 다른 어떤 벚꽃놀이와도 비교할 수 없는 매력을 자랑한다.

 

해가 진 후에는 구름 위에 있는 프리미엄 라운지 ‘123라운지’에서 여유롭게 벚꽃 야경을 즐길 수 있다. 새로 출시된 하이볼 2종과 페어링 와인을 즐기며, 벚꽃이 만개한 석촌호수의 야경을 감상하는 이 경험은 더욱 특별하다. 벚꽃이 밤이 되어도 그 아름다움을 잃지 않으며, 고요한 밤하늘과 함께하는 벚꽃은 또 다른 매력을 발산한다.

 

서울 송파구 석촌호수와 롯데월드에서는 벚꽃을 다양한 방법으로 즐길 수 있는 특별한 기회가 제공된다. 놀이기구에서 벚꽃을 감상하고, 보트 위에서 꽃비를 맞으며, 고공에서 서울의 벚꽃 뷰를 감상할 수 있는 이곳은 봄을 더욱 특별하게 만들어 준다. 4월 한 달 동안 석촌호수와 롯데월드는 벚꽃놀이와 함께하는 다양한 액티비티를 제공하며, 많은 이들에게 잊을 수 없는 봄날의 추억을 선사할 것이다.

 

'공짜 휴일'의 민낯…내수 진작 효과는 '0', 정부의 민망한 성적표

 정부가 경기 부양과 국민 휴식권 보장을 명분으로 종종 지정했던 '임시공휴일'이 실제로는 내수 소비 증진에 별다른 효과를 내지 못한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추석 연휴를 앞두고 10월 10일 임시공휴일 지정이 최종 무산된 가운데, 한국은행이 발표한 보고서는 임시공휴일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기존의 통념을 정면으로 반박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임시공휴일이 포함된 긴 연휴는 소비의 총량을 늘리기보다는, 연휴 직전에 소비를 집중시키고 연휴 이후에는 오히려 소비를 위축시키는 '기간 간 대체 효과'를 유발하는 데 그쳤다. 실제로 임시공휴일이 있었던 과거 명절 기간의 카드 사용액을 분석한 결과, 연휴 직전에는 소비가 평소보다 10% 이상 급증했지만 연휴가 끝난 뒤에는 되레 5~8% 감소하는 패턴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결국 연휴 전후 약 4주간의 전체 카드 사용액을 합산해보면 임시공휴일이 없던 명절과 비교해 총소비 규모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던 것이다. 이는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하루의 영업일이 줄어드는 효과와 연휴 기간 대면 소비가 늘어나는 효과가 서로 상쇄된 결과로 풀이된다.특히 임시공휴일의 '약발'이 먹히지 않는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로 해외여행의 급증이 지목됐다. 연휴가 길어질수록 국내에 머물며 소비하기보다는 해외로 떠나는 여행객이 늘어나면서, 내수 진작 효과가 해외에서 발생하는 소비로 상쇄되어 버린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사례로 임시공휴일이 포함됐던 2025년 설 연휴 기간에는 역대 최고 수준의 출국자 수를 기록하며, 외식 등 국내 대면 서비스 소비는 오히려 평소 명절보다 감소하는 기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물론 이번 연구는 분석 대상이 된 임시공휴일 사례가 많지 않고, 당시의 경제 여건이나 날씨 등 다른 변수들을 완벽하게 통제하지 못했다는 명백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연구를 진행한 조병수 차장 역시 "임시공휴일 지정의 효과에 대해 일반화하기는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하지만 '임시공휴일=내수 활성화'라는 단순한 공식을 재고하고, 보다 정교한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 결과는 의미가 작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