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블

'봄 향기' 가득한 부천 페스타, 문화와 맛을 동시에

부천시는 오는 29일부터 4월 6일까지 부천종합운동장과 진달래 동산 일대에서 ‘부천 페스타(B-festa)-봄꽃여행’ 행사를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부천 페스타’는 부천시의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통합한 축제로, 계절별로 진행되는 다양한 테마 행사 중 첫 번째인 ‘봄꽃여행’이 이번에 개최된다. ‘부천 페스타’는 부천의 문화적 다양성과 매력을 시민들에게 널리 알리고, 방문객들에게 색다른 문화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부천 페스타’는 계절별로 테마를 정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봄에는 ‘봄꽃·가족’을 주제로 한 행사로 시작되며, 여름에는 ‘모험’, 가을에는 ‘화합’, 겨울에는 ‘낭만’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축제가 펼쳐진다. 이번 봄꽃여행 행사에서는 부천의 매력을 한껏 느낄 수 있는 문화적 경험을 제공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들이 마련될 예정이다.

 

행사 기간 동안, 부천시민들은 5개의 구역으로 나뉜 행사장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다. 플리마켓존에서는 부천의 예술인들이 직접 만든 도자기 공예품, 일러스트 굿즈 등 개성 넘치는 예술 작품들이 전시되고 판매된다. 이곳에서는 방문객들이 예술 작품을 구경하고 구매할 수 있는 기회뿐만 아니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마련된다. 예를 들어, 진달래꽃을 테마로 한 에코백 만들기나 수세미 만들기 체험 등은 방문객들이 손쉽게 참여할 수 있는 즐길 거리다. 또한, 물품판매존에서는 지역의 중소기업과 골목 상권, 전통시장에서 활동하는 상인들이 참여하여 다양한 제품을 판매한다. 이곳에서는 화장품, 마사지기, 생활용품 등 다양한 물품들이 준비되어 있으며, 상인들의 판로 개척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푸드트럭존에서는 축제 분위기를 한층 더 돋울 수 있는 다양한 먹거리가 제공된다. 치킨, 타코야끼 등 축제에서 빠질 수 없는 음식을 즐길 수 있으며, 선착순으로 부천 맛집 10% 할인 쿠폰도 제공된다. 방문객들은 이곳에서 다양한 먹거리를 즐기며, 축제의 열기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버스킹존에서는 원형광장 무대에서 다양한 공연들이 진행된다. 이곳은 공연을 사랑하는 시민들에게 활력을 주는 공간이 될 것이며, 축제의 분위기를 더욱 뜨겁게 달굴 예정이다. 공연은 음악과 다양한 공연 형식으로 다채롭게 꾸며질 예정이며, 시민들이 일상에서 벗어나 새로운 문화적 경험을 느낄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한다.

 

부천시는 이번 행사를 통해 부천시가 가진 문화적 자원을 널리 알리고, 시민들에게 문화적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며, 관광 산업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부천시의 문화적 매력을 한껏 느낄 수 있는 이번 ‘부천 페스타-봄꽃여행’은 단순한 축제를 넘어, 지역 주민들이 참여하고 체험할 수 있는 다채로운 문화 행사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이 행사에서는 다양한 공연과 체험,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판매 프로그램이 함께 진행되며, 부천을 방문하는 이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선사할 것이다.

 

조용익 부천시장은 “이번 ‘부천 페스타-봄꽃여행’을 통해 부천의 매력을 한껏 느낄 수 있는 문화 행사를 준비했다”며, “이번 행사가 부천이 관광 경쟁력을 가진 거점 도시로 도약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 기대한다”고 밝혔다. 부천시는 이번 행사를 통해 시민들에게 다양한 문화적 체험을 제공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봄꽃여행’이라는 테마 아래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부천을 찾는 모든 사람들에게 잊지 못할 기억을 선사할 것이다.

 

역시 '이것'이 대세…국민 10명 중 7명은 고민 없이 '신용카드' 선택했다.

 행정안전부는 전 국민에게 1인당 15만원을 지급하는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업이 국민들의 폭발적인 관심 속에 성공적으로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29일 밝혔다. 신청 접수 6주 만에 전체 대상자의 98.2%에 달하는 4,969만 명이 신청을 완료했으며, 이를 통해 시중에 풀린 지원금은 전날 자정 기준으로 총 9조 8억 원에 이른다. 이는 사실상 대상자 대부분이 신청에 참여하며 높은 정책 호응도를 보여준 결과로 풀이된다.지급 유형별 통계를 살펴보면, 국민들의 선호도가 명확하게 드러났다. 전체 신청 건수 중 69.3%에 해당하는 3,444만 건이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 충전 방식을 선택해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이는 별도의 카드 발급이나 복잡한 절차 없이 기존에 사용하던 결제 수단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는 편의성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뒤이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지역사랑상품권이 920만 건(18.5%)으로 2위를 기록했으며, 특정 카드사나 은행에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선불카드가 606만 건(12.2%)으로 그 뒤를 이었다.지역별 신청률에서는 미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라남도는 98.72%의 신청률을 기록하며 전국에서 가장 높은 참여율을 보였고, 울산(98.68%)과 대구(98.62%) 역시 높은 신청률로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반면, 전국에서 가장 많은 인구가 밀집한 서울특별시는 891만 명이 신청했음에도 불구하고 신청률은 97.56%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해 눈길을 끌었다. 다만, 수도권 전체로 확대해 보면 경기도가 1,331만 명(98.09%), 인천광역시가 297만 명(98.30%)의 높은 참여율을 보여 수도권 시민들의 관심 역시 뜨거웠음을 증명했다.이번 지원금이 단순 지급에 그치지 않고 실제 민생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신용·체크카드로 지급된 총액 5조 9,715억 원 중, 이미 4조 6,968억 원이 실제 소비로 이어져 78.7%라는 높은 사용률을 보였다. 이는 지급된 지원금이 잠자고 있는 것이 아니라, 가계의 생활비 부담을 덜고 지역 상권의 매출을 증대시키는 등 정책 본연의 효과를 내고 있음을 시사하는 긍정적인 신호다. 정부는 아직 신청하지 않은 국민들의 참여를 독려하는 한편, 지급된 지원금이 연말까지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소비 활성화 분위기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