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성덕대왕신종 울림에 소름! 국립중앙박물관 '공간_사이' 가보니

 국립중앙박물관이 새로운 감각 전시실 ‘공간_사이’를 선보이며 관람객들에게 유물 감상의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다. 이번 전시는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가장 큰 종으로 깊고 은은한 울림을 전하는 국보 ‘성덕대왕신종’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시각·청각·촉각을 활용해 유물을 다채롭게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다.

 

'공간_사이'는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3층, 청자실과 금속공예실 사이에 위치해 있다. 금속공예실의 주요 전시품인 한국의 범종 소리와 울림을 색다르게 느낄 수 있도록 설계된 이 전시 공간은 다양한 세대와 국적, 장애 유무, 박물관 경험 정도가 서로 다른 관람객들을 하나로 잇는 의미를 담고 있다.

 

전시실에 들어서면 성덕대왕신종의 깊고 은은한 소리가 관람객을 맞이한다. 중앙에는 높이 4m, 폭 4m 크기의 대형 LED 화면이 설치되어 있어 성덕대왕신종 소리의 특징인 ‘맥놀이’를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맥놀이는 소리의 강약이 반복되며 길고 은은하게 이어지는 현상으로, 성덕대왕신종 소리의 핵심적인 매력 중 하나다. 관람객들은 이 화면을 통해 소리의 물리적 특성을 시각적으로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전시실에는 소리에 집중할 수 있는 ‘청음 의자’가 마련되어 있다. 이 의자는 소리의 압력을 전달하는 진동기 기계를 통해 관람객이 몸으로 소리를 느낄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를 통해 관람객은 단순히 소리를 듣는 것을 넘어, 소리를 몸으로 체험하며 성덕대왕신종의 울림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다.

 

촉각적 체험도 전시의 중요한 요소다. 전시실에는 성덕대왕신종을 축소한 모형과 범종 제작에 사용되는 재료인 구리와 주석 등을 손으로 만져볼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었다. 이로써 관람객은 범종 제작 과정과 재료의 특성을 직접 체험하며 한국 전통 공예의 정수를 느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시실은 다양한 관람객의 접근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었다. 한국 수어와 음성 해설, 큰 글씨와 영어 번역이 함께 제공되어 장애 유무와 관계없이 누구나 전시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수어 작업에는 변강석 강남대 수화언어통번역학과 초빙교수와 그의 팀 ‘수어민들레’가 참여해 전문성을 더했다. 음성 해설은 애니메이션 ‘세일러문’과 영화 ‘타이타닉’의 목소리로 잘 알려진 최덕희 성우가 맡아 관람객들에게 친숙한 목소리로 전시 내용을 전달한다.

 

박물관 관계자는 “다양한 관람객이 전시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노력했다”며 “‘모두가 함께하는 박물관’을 만들려는 방향성이 이번 전시를 통해 한 단계 더 발전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번 전시는 단순히 유물을 감상하는 것을 넘어, 관람객이 오감을 통해 유물의 본질을 느끼고 이해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한다. 성덕대왕신종의 깊은 울림과 한국 전통 공예의 아름다움을 경험할 수 있는 ‘공간_사이’는 박물관 전시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며 관람객들에게 잊지 못할 시간을 선사할 것이다.

 

손흥민 부르다 논란된 MLS 해설가, 알고보니 손흥민이 직접 '쏘니라고 불러달라' 요청했다

 미국 메이저리그사커(MLS)에서 손흥민(33, LAFC)을 부르는 호칭을 두고 뜻밖의 논란이 일었다. 미국 '에센셜리 스포츠'는 "MLS 해설가가 손흥민의 로스엔젤레스(LA)FC 데뷔전에서 '쏘니'라고 부른 데 대한 반발에 성명을 냈다"고 보도했다.손흥민은 지난 10일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파이어와의 원정 경기에서 LAFC 유니폼을 입고 데뷔전을 치렀다. 후반 16분 교체 출전한 손흥민은 빠른 적응력을 보이며 폭발적인 질주로 후반 31분 페널티킥을 얻어내는 활약을 펼쳤다. 비록 직접 키커로 나서지는 않았지만, 그가 얻어낸 페널티킥으로 LAFC는 2-2 동점을 만들며 승점 1점을 획득했다.경기 이후 LAFC 전담 캐스터인 맥스 브레토스가 중계 도중 손흥민을 '쏘니'라고 부른 것이 논란이 됐다. 일부 팬들은 손흥민을 이름이나 성으로 부르지 않고 별명으로 부른 것에 불쾌감을 표했다. 프리미어리그 시절 현지 중계진이 대부분 손흥민을 '쏘니' 대신 이름이나 성으로만 불렀기에 다소 어색하게 느껴진 것이다.이에 브레토스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중계 도중 손흥민을 '쏘니'라고 불렀다는 우려가 있었다. 난 그에게 어떻게 불리길 원하는지 물었고, '쏘니'가 그의 대답이었다"라며 해명했다. 이 해명에 대부분의 팬들은 "절대 바꾸지 말고 앞으로도 '쏘니'라고 불러줘", "이런 건 사과할 필요도 없다", "신경 쓰지 마라" 등의 지지 댓글을 남겼다. 물론 "지난 10년간 영국에선 아무도 쏘니라고 하지 않았다", "유니폼엔 '손'이라고 적혀 있는데?"와 같은 반대 의견도 있었다.손흥민 본인은 이 논란에 전혀 개의치 않는 모습이었다. LAFC 공식 유튜브 영상에서 그는 특유의 미소를 지으며 손흥민 대신 쏘니라고 불러도 괜찮다고 직접 밝혔다. 에센셜리 스포츠는 "미국인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스타를 독특한 별명으로 부르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며 이 논란이 크게 문제될 것이 없다고 설명했다.사소한 호칭 논란과 별개로, 손흥민의 MLS 합류는 미국 축구계에 엄청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MLS 전문 언론인 파비안 렌켈에 따르면, LA를 제외하고 구글에서 손흥민을 가장 많이 검색한 지역은 샌프란시스코 베이 에어리어, 시카고, 샌디에이고, 시애틀, 뉴욕시 순이었다. 그는 이를 "MLS 역대급으로 큰 화제로, 리오넬 메시의 합류가 불러일으켰던 열기에 버금가는 수준"이라고 평가했다.에센셜리 스포츠도 "손흥민 영입은 이미 대박으로 보인다. 미국 축구계는 뜨거운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LAFC의 상품 판매가 급증했다"고 전했다. 더 나아가 "일각에서는 손흥민이 이미 두 시즌 동안 인터 마이애미에서 활약 중인 '아르헨티나 슈퍼스타' 메시보다 MLS에서 더 큰 유명인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며 손흥민 효과의 폭발적인 잠재력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