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뉴진스, 무라카미 다카시 MLB 굿즈 '착샷' 공개..단순 선물? 아니면..

 독자 행보를 선언하며 팀명을 엔제이지(NJZ)로 변경한 뉴진스가 세계적인 팝아트 거장 무라카미 다카시와 다시 한번 협업할 가능성이 제기되며 팬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뉴진스는 21일, 자체 개설한 인스타그램 계정(@njz_official)에 메이저리그 LA 다저스와 시카고 컵스 유니폼을 입은 사진을 여러 장 게시했다. 유니폼에는 각각 오타니 쇼헤이(다저스)와 댄스비 스완슨(컵스) 선수의 번호와 이름이 새겨져 있었다.

 

이 유니폼은 지난 18~19일 일본 도쿄돔에서 열린 메이저리그 개막전 다저스-컵스 전을 기념하여 무라카미 다카시가 특별 제작한 한정판 굿즈다. 무라카미 다카시 특유의 꽃무늬 디자인이 유니폼 곳곳에 새겨져 있으며, 개막전 당시 그가 직접 착용하고 시구에 나서 화제를 모았다.

 

무라카미 다카시는 뉴진스의 열렬한 팬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난해 뉴진스의 일본 데뷔 싱글 '슈퍼내추럴'의 앨범, 뮤직비디오, 굿즈 제작에 참여했다. 또한, 같은 해 6월 도쿄돔에서 개최된 뉴진스 팬미팅 '버니즈 캠프'를 직접 관람하기도 했다.

 


이러한 배경 때문에 무라카미 다카시가 단순한 팬심으로 선물을 보냈을 가능성도 있지만, 팬들 사이에서는 단순한 선물을 넘어선 또 다른 협업을 예고하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일반적으로 연예인이나 인플루언서가 선물을 받은 경우, 선물 제공자의 계정을 태그하고 감사 인사를 남기는 것이 관례다. 그러나 뉴진스는 이번 게시물에 "고 고, 레츠 고"라는 의미심장한 문구만 남겨 궁금증을 자아냈다.

 

최근 뉴진스는 해당 계정을 통해 새로운 굿즈를 암시하는 사진을 여러 차례 공개한 바 있다. 멤버 개인 명의로 지난달 6일 엔제이지(NJZ) 상표권을 출원한 사실도 알려졌다. 21일부터 열리는 국제 뮤직 페스티벌 '컴플렉스콘 홍콩'에 엔제이지 부스가 별도로 마련되는 만큼, 새로운 굿즈가 공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뉴진스는 23일 컴플렉스콘 홍콩 마지막 날 공연에 출연하여 엔제이지 팀명으로 첫 신곡을 발표할 예정이다.

 

한편, 어도어가 엔제이지의 독자 활동을 막기 위해 제기한 활동 금지 가처분 신청 등의 결과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법조계 일각에서는 홍콩 공연 이후 결과가 발표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한 변호사는 "이미 공연 티켓이 매진된 상황에서 법원이 인용이든 기각이든 결정을 내리는 데 부담을 느낄 수 있다"며 "공연이 끝난 다음 주에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빵 혀 핥기"에 소비자 불안 확산하자, 빵집 '덮개' 씌웠다!

 최근 SNS를 통해 확산된 한 어린아이의 '빵 혀 핥기' 영상이 사회적 공분을 일으킨 가운데, 해당 빵집이 자진하여 오픈형 진열 방식을 개선하고 모든 빵에 덮개를 씌우기로 결정했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해프닝을 넘어 오픈형 진열 방식의 위생 문제에 대한 논쟁에 다시 불을 지피고 있다.문제의 영상은 지난 12일 서울의 한 유명 빵집에서 촬영된 것으로, 한 남자아이가 진열된 빵에 혀를 대는 모습이 담겨 있었다. 해당 영상은 SNS를 통해 빠르게 확산되었고, 네티즌들은 아이의 행동뿐만 아니라 이를 방관한 보호자와 오픈형 진열 방식의 위생 문제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논란이 거세지자 해당 빵집은 16일부터 진열된 모든 빵에 덮개를 씌우는 등 자진 개선에 나섰다. 빵집 측은 "이번 일로 인해 고객님들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앞으로 더욱 철저한 위생 관리로 고객님들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이번 사건을 계기로 오픈형 진열 방식의 위생 문제가 다시 한번 도마 위에 올랐다. 오픈형 진열은 빵의 신선함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고객의 접근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지만, 먼지, 세균, 벌레 등 외부 오염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실제로 많은 네티즌들은 "오픈된 빵은 먼지가 쌓일 것 같아 꺼려진다", "아이들이 만지거나 기침하는 경우도 있을 것 같아 불안하다" 등의 의견을 제시하며 오픈형 진열 방식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하지만 현재 식품위생법상 빵을 오픈형으로 진열하는 것에 대한 명확한 규정은 없는 상황이다. 다만,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식품의 위생적인 취급에 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각 지방자치단체는 자체적으로 식품 위생 관련 조례를 제정하여 관리하고 있다.이번 논란과 관련하여 해당 빵집 관할 구청은 "해당 빵집에 위생 관리를 강화하도록 권고했으며, 앞으로도 빵을 오픈 진열하는 제과점에 대해 포장을 권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구청 관계자는 "법적으로 의무 사항은 아니지만, 소비자 신뢰를 고려하여 위생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이번 '빵 혀 핥기' 논란은 식품 위생에 대한 소비자들의 높아진 관심과 함께 오픈형 진열 방식에 대한 개선 요구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빵집의 자진 개선 노력과 함께 정부 차원의 위생 관리 강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