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뉴진스, 무라카미 다카시 MLB 굿즈 '착샷' 공개..단순 선물? 아니면..

 독자 행보를 선언하며 팀명을 엔제이지(NJZ)로 변경한 뉴진스가 세계적인 팝아트 거장 무라카미 다카시와 다시 한번 협업할 가능성이 제기되며 팬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뉴진스는 21일, 자체 개설한 인스타그램 계정(@njz_official)에 메이저리그 LA 다저스와 시카고 컵스 유니폼을 입은 사진을 여러 장 게시했다. 유니폼에는 각각 오타니 쇼헤이(다저스)와 댄스비 스완슨(컵스) 선수의 번호와 이름이 새겨져 있었다.

 

이 유니폼은 지난 18~19일 일본 도쿄돔에서 열린 메이저리그 개막전 다저스-컵스 전을 기념하여 무라카미 다카시가 특별 제작한 한정판 굿즈다. 무라카미 다카시 특유의 꽃무늬 디자인이 유니폼 곳곳에 새겨져 있으며, 개막전 당시 그가 직접 착용하고 시구에 나서 화제를 모았다.

 

무라카미 다카시는 뉴진스의 열렬한 팬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난해 뉴진스의 일본 데뷔 싱글 '슈퍼내추럴'의 앨범, 뮤직비디오, 굿즈 제작에 참여했다. 또한, 같은 해 6월 도쿄돔에서 개최된 뉴진스 팬미팅 '버니즈 캠프'를 직접 관람하기도 했다.

 


이러한 배경 때문에 무라카미 다카시가 단순한 팬심으로 선물을 보냈을 가능성도 있지만, 팬들 사이에서는 단순한 선물을 넘어선 또 다른 협업을 예고하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일반적으로 연예인이나 인플루언서가 선물을 받은 경우, 선물 제공자의 계정을 태그하고 감사 인사를 남기는 것이 관례다. 그러나 뉴진스는 이번 게시물에 "고 고, 레츠 고"라는 의미심장한 문구만 남겨 궁금증을 자아냈다.

 

최근 뉴진스는 해당 계정을 통해 새로운 굿즈를 암시하는 사진을 여러 차례 공개한 바 있다. 멤버 개인 명의로 지난달 6일 엔제이지(NJZ) 상표권을 출원한 사실도 알려졌다. 21일부터 열리는 국제 뮤직 페스티벌 '컴플렉스콘 홍콩'에 엔제이지 부스가 별도로 마련되는 만큼, 새로운 굿즈가 공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뉴진스는 23일 컴플렉스콘 홍콩 마지막 날 공연에 출연하여 엔제이지 팀명으로 첫 신곡을 발표할 예정이다.

 

한편, 어도어가 엔제이지의 독자 활동을 막기 위해 제기한 활동 금지 가처분 신청 등의 결과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법조계 일각에서는 홍콩 공연 이후 결과가 발표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한 변호사는 "이미 공연 티켓이 매진된 상황에서 법원이 인용이든 기각이든 결정을 내리는 데 부담을 느낄 수 있다"며 "공연이 끝난 다음 주에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톱10 휩쓸던 한국 여자 골프, 이젠 '단 한 명도 없다'

 세계 여자 골프 랭킹 톱10에서 한국 선수의 이름이 사라졌다. 단 한 명도 톱10에 들지 못한 것은 전례 없는 일로, 과거 세계 최강으로 불리며 톱10 절반 이상을 차지했던 한국 여자 골프의 위상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는 평가다.22일(한국시간) 발표된 여자 골프 세계랭킹에서 한국 선수가 상위 10위권에 전멸하는 충격적인 결과가 나왔다. 지난주 9위였던 유해란이 12위로 3계단 하락하며 톱10 밖으로 밀려났기 때문이다.올 시즌 초 7위로 출발했던 유해란은 3월에 9위로 내려앉았고, 이달 초까지 10위를 지키며 한국 선수 중 유일하게 톱10 자리를 유지해왔다. 하지만 이번 순위 발표에서 추가 하락하며 결국 톱10 밖으로 밀려났다.다른 한국 선수들의 상황도 녹록지 않다. 고진영은 지난주보다 2계단 상승했지만 11위에 머물렀고, 김효주는 13위, 양희영은 16위에 그치며 모두 톱10 진입에 실패했다.한국 여자 골프는 2010년대 중후반 세계 톱10에 5~6명씩 이름을 올리며 압도적인 강세를 보였다. 그러나 2023년부터 조금씩 변화가 감지되기 시작했고, 톱10 내 한국 선수 비중이 줄어들었다. 작년 1월에는 고진영(6위)과 김효주(7위) 두 명만이 톱10에 포함됐으나, 그마저도 오래 지키지 못하고 순위 경쟁에서 밀려나더니 결국 '톱10 전무'라는 참담한 결과를 피하지 못했다. 현재 세계랭킹 톱10에는 미국 선수가 4명으로 가장 많고, 태국, 뉴질랜드, 중국, 호주, 일본, 잉글랜드 선수가 각 1명씩 포진해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국 선수 중에서는 윤이나의 상승세가 눈에 띈다. 윤이나는 3주 연속 2계단씩 순위를 끌어올리며 21위까지 도약했다. 올 초 29위였던 윤이나는 2월 22일자 발표에서 24위까지 올랐다가 3월에는 27위로 잠시 주춤했으나, 4월 들어 대회에 연속 출전하며 25위, 23위, 그리고 21위로 매주 꾸준히 순위를 높이고 있다.윤이나의 가파른 순위 상승은 세계랭킹 산정 방식의 '최소 대회 수(35개)' 규정 덕분이다. 세계랭킹은 최근 2년 동안 참가한 대회에서 획득한 포인트를 평균으로 나누는데, 최소 출전 대회를 35개로 정하고 있다. 2023년 대회에 나오지 못한 윤이나는 2024년과 올해 참가한 대회가 총 32개로 아직 35개에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대회를 추가할수록 포인트만 쌓여 평균 점수가 높아지는 유리한 상황이다. 35개 대회를 채운 이후부터는 평점을 나누는 대회 수도 함께 올라간다. 윤이나는 최근 출전한 3개 대회에서 JM이글 LA챔피언십 공동 16위, T모바일 매치플레이 공동 35위, 포드 챔피언십 공동 22위를 기록했다.한편, 최근 LPGA 투어 JM이글 LA 챔피언십에서 프로 첫 우승을 차지한 잉그리드 린드블라드는 무려 182계단 껑충 뛰어 42위에 자리했다.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 넥센 세인트나인 마스터즈 우승자인 방신실도 10계단 상승한 64위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