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오만전 졸전'에…독일 "김민재 없다고 오만 못 이기면 월드컵 자격 없다" 저격

 독일 축구 웹진 '바바리안 풋볼 워크스'가 홍명보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의 김민재(바이에른 뮌헨) 차출 불발 관련 발언을 문제 삼으며 홍 감독의 자질을 비판하고 나섰다. 오만전 무승부라는 결과까지 겹치면서 논란은 더욱 확산되는 모양새다.

 

21일(현지시간) 바바리안 풋볼 워크스는 홍 감독이 김민재의 부상을 두고 바이에른 뮌헨을 비판한 것에 대해 "논란을 일으켰다"며 "대표팀 감독이 핵심 선수를 활용하지 못하는 것은 이해하지만, 홍 감독은 그런 말을 할 자격이 없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홍 감독은 3월 A매치를 앞두고 김민재를 발탁했으나 부상으로 차출이 불발되자 "바이에른 뮌헨이 선수 부상 예방 차원에서 보호를 제대로 하지 않아 중요한 경기에서 핵심 선수를 빼고 경기를 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졌다"고 말했다. 또한 "김민재는 작년부터 계속 부상 시그널이 있었고, 우리는 충분히 인지하고 있었다"며 선수 보호 차원에서 휴식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김민재가 세계적인 수비수인 만큼 홍 감독의 인터뷰는 독일 전역으로 퍼져나갔고, 바이에른 뮌헨 팬들은 격한 반응을 보였다. 일부 팬들은 홍 감독 역시 김민재의 부상 위험을 인지하고도 계속 풀타임 출전시켰다며 "김민재에게 1,700만 유로(약 270억 원)의 연봉을 주는 건 소속팀인데, 홍 감독의 불평은 선을 넘었다"고 비판했다..

 


특히 매체는 홍 감독이 부임 1년이 다 되도록 김민재를 대체할 선수를 찾지 못한 점을 지적하며, "김민재가 부상으로 고생하고 있다면 다른 재능 있는 선수를 찾아봤어야 했다"고 꼬집었다.

 

더불어 "한국은 가장 쉬운 조에 속해 있다. FIFA 랭킹 23위의 한국이 김민재가 없다고 80위 오만이나 이라크, 팔레스타인과 같은 팀을 이기지 못하면 월드컵에 갈 자격이 없다"고 비판의 수위를 높였다. 이는 오만전 무승부라는 결과와 맞물려 홍 감독의 전술적 역량에 대한 의문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바바리안 풋볼 워크스는 지난해 홍 감독의 선임 과정까지 언급하며 "사실 홍 감독은 대표팀 감독이 되어서는 안 됐다"고 주장했다. 매체는 "재앙 같던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이 떠난 후 대한축구협회는 후임을 찾았고, 당시 K리그 챔피언 울산 HD를 이끌던 홍 감독은 대표팀 감독을 맡지 않겠다고 했으나 비공식 대화 이후 국가대표팀으로 떠났다"고 설명했다.

 

이번 논란은 단순한 선수 차출 문제를 넘어 감독의 자질, 전술 역량, 그리고 대표팀 운영 방식에 대한 의문으로 번지고 있다. 홍명보 감독이 이러한 비판을 극복하고 대표팀을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빵 혀 핥기"에 소비자 불안 확산하자, 빵집 '덮개' 씌웠다!

 최근 SNS를 통해 확산된 한 어린아이의 '빵 혀 핥기' 영상이 사회적 공분을 일으킨 가운데, 해당 빵집이 자진하여 오픈형 진열 방식을 개선하고 모든 빵에 덮개를 씌우기로 결정했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해프닝을 넘어 오픈형 진열 방식의 위생 문제에 대한 논쟁에 다시 불을 지피고 있다.문제의 영상은 지난 12일 서울의 한 유명 빵집에서 촬영된 것으로, 한 남자아이가 진열된 빵에 혀를 대는 모습이 담겨 있었다. 해당 영상은 SNS를 통해 빠르게 확산되었고, 네티즌들은 아이의 행동뿐만 아니라 이를 방관한 보호자와 오픈형 진열 방식의 위생 문제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논란이 거세지자 해당 빵집은 16일부터 진열된 모든 빵에 덮개를 씌우는 등 자진 개선에 나섰다. 빵집 측은 "이번 일로 인해 고객님들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앞으로 더욱 철저한 위생 관리로 고객님들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이번 사건을 계기로 오픈형 진열 방식의 위생 문제가 다시 한번 도마 위에 올랐다. 오픈형 진열은 빵의 신선함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고객의 접근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지만, 먼지, 세균, 벌레 등 외부 오염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실제로 많은 네티즌들은 "오픈된 빵은 먼지가 쌓일 것 같아 꺼려진다", "아이들이 만지거나 기침하는 경우도 있을 것 같아 불안하다" 등의 의견을 제시하며 오픈형 진열 방식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하지만 현재 식품위생법상 빵을 오픈형으로 진열하는 것에 대한 명확한 규정은 없는 상황이다. 다만,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식품의 위생적인 취급에 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각 지방자치단체는 자체적으로 식품 위생 관련 조례를 제정하여 관리하고 있다.이번 논란과 관련하여 해당 빵집 관할 구청은 "해당 빵집에 위생 관리를 강화하도록 권고했으며, 앞으로도 빵을 오픈 진열하는 제과점에 대해 포장을 권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구청 관계자는 "법적으로 의무 사항은 아니지만, 소비자 신뢰를 고려하여 위생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이번 '빵 혀 핥기' 논란은 식품 위생에 대한 소비자들의 높아진 관심과 함께 오픈형 진열 방식에 대한 개선 요구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빵집의 자진 개선 노력과 함께 정부 차원의 위생 관리 강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