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오만전 졸전'에…독일 "김민재 없다고 오만 못 이기면 월드컵 자격 없다" 저격

 독일 축구 웹진 '바바리안 풋볼 워크스'가 홍명보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의 김민재(바이에른 뮌헨) 차출 불발 관련 발언을 문제 삼으며 홍 감독의 자질을 비판하고 나섰다. 오만전 무승부라는 결과까지 겹치면서 논란은 더욱 확산되는 모양새다.

 

21일(현지시간) 바바리안 풋볼 워크스는 홍 감독이 김민재의 부상을 두고 바이에른 뮌헨을 비판한 것에 대해 "논란을 일으켰다"며 "대표팀 감독이 핵심 선수를 활용하지 못하는 것은 이해하지만, 홍 감독은 그런 말을 할 자격이 없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홍 감독은 3월 A매치를 앞두고 김민재를 발탁했으나 부상으로 차출이 불발되자 "바이에른 뮌헨이 선수 부상 예방 차원에서 보호를 제대로 하지 않아 중요한 경기에서 핵심 선수를 빼고 경기를 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졌다"고 말했다. 또한 "김민재는 작년부터 계속 부상 시그널이 있었고, 우리는 충분히 인지하고 있었다"며 선수 보호 차원에서 휴식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김민재가 세계적인 수비수인 만큼 홍 감독의 인터뷰는 독일 전역으로 퍼져나갔고, 바이에른 뮌헨 팬들은 격한 반응을 보였다. 일부 팬들은 홍 감독 역시 김민재의 부상 위험을 인지하고도 계속 풀타임 출전시켰다며 "김민재에게 1,700만 유로(약 270억 원)의 연봉을 주는 건 소속팀인데, 홍 감독의 불평은 선을 넘었다"고 비판했다..

 


특히 매체는 홍 감독이 부임 1년이 다 되도록 김민재를 대체할 선수를 찾지 못한 점을 지적하며, "김민재가 부상으로 고생하고 있다면 다른 재능 있는 선수를 찾아봤어야 했다"고 꼬집었다.

 

더불어 "한국은 가장 쉬운 조에 속해 있다. FIFA 랭킹 23위의 한국이 김민재가 없다고 80위 오만이나 이라크, 팔레스타인과 같은 팀을 이기지 못하면 월드컵에 갈 자격이 없다"고 비판의 수위를 높였다. 이는 오만전 무승부라는 결과와 맞물려 홍 감독의 전술적 역량에 대한 의문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바바리안 풋볼 워크스는 지난해 홍 감독의 선임 과정까지 언급하며 "사실 홍 감독은 대표팀 감독이 되어서는 안 됐다"고 주장했다. 매체는 "재앙 같던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이 떠난 후 대한축구협회는 후임을 찾았고, 당시 K리그 챔피언 울산 HD를 이끌던 홍 감독은 대표팀 감독을 맡지 않겠다고 했으나 비공식 대화 이후 국가대표팀으로 떠났다"고 설명했다.

 

이번 논란은 단순한 선수 차출 문제를 넘어 감독의 자질, 전술 역량, 그리고 대표팀 운영 방식에 대한 의문으로 번지고 있다. 홍명보 감독이 이러한 비판을 극복하고 대표팀을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493일, 두 번의 수술, 그리고 눈물의 포효…조규성의 '인간승리', 이제 남은 건 국대 복귀뿐

 무려 493일, 16개월이 넘는 기나긴 침묵을 깨고 '꽃미남 스트라이커' 조규성의 발끝이 드디어 폭발했다. 덴마크컵 3라운드 올보르와의 경기, 팀이 1-0으로 앞서던 후반 13분 교체 투입된 그는 그라운드를 밟는 감각부터 되새기는 듯 보였다. 그리고 후반 34분, 동료가 오른쪽에서 낮게 깔아준 크로스를 특유의 동물적인 위치 선정으로 찾아 들어가 침착한 오른발 슈팅으로 마무리했다. 득점 직후, 그는 그동안의 모든 설움과 고통을 토해내듯 원정 팬들을 향해 달려가 포효했다. 2024년 5월 이후 처음으로 맛보는 골이자, 축구 인생을 송두리째 흔들었던 끔찍한 부상 터널의 끝을 알리는 부활의 신호탄이었다.조규성에게 지난 1년은 그야말로 악몽과도 같은 시간이었다. 모든 것은 2023-24시즌 종료 후 받은 무릎 수술에서부터 시작됐다. 사실 아시안컵을 앞둔 2023년 12월부터 무릎 반월판에 통증을 안고 있었지만, 그는 팀을 위해 6개월간 고통을 참고 뛰는 투혼을 발휘했다. 시즌이 끝나고 예정대로 수술대에 올랐지만, 누구도 예상치 못한 합병증이 그의 발목을 잡았다. 재활을 위해 찾은 이탈리아에서 원인 모를 감염이 발생한 것이다. 무릎은 비정상적으로 부어올랐고, 세 차례나 주사기로 물을 빼내야 했다. 결국 감염된 박테리아를 제거하기 위한 두 번째 수술을 받아야만 했다. 한 달간 병상에 누워있는 동안 몸무게는 12kg이나 빠졌고, 극심한 고통에 하루 서너 번씩 진통제를 맞으며 밤잠을 설치기 일쑤였다. 그 스스로 "살면서 제일 힘든 시기였다"고 고백할 만큼, 선수 생명마저 위협받았던 최악의 위기였다.그 지옥 같던 시간을 이겨내고 올 시즌 팀에 복귀한 그는 짧게 자른 머리로 비장한 각오를 드러냈다. 그리고 복귀 후 4경기 만에 터진 이번 득점은 단순한 1골 이상의 의미를 가졌다. 경기 후 인터뷰에서 그는 "오랫동안 머릿속으로 그렸던 그림"이라며 "이 순간을 1년 넘게 기다렸다"고 벅찬 감정을 숨기지 못했다. 동료들 역시 라커룸에서 축제 분위기를 만들며 그의 귀환을 진심으로 축하해줬다. 이 한 방의 골은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준비하는 홍명보호에도 강력한 메시지를 던졌다. 손흥민과 호흡을 맞출 최전방 스트라이커 자리를 두고 주민규, 오세훈, 오현규 등이 치열한 경쟁을 펼치는 가운데, 부상 전까지 대표팀의 부동의 주전이었던 조규성이 자신의 존재감을 다시 한번 각인시킨 것이다. 물론 아직 30여 분을 소화하는 데 그쳐 90분 풀타임을 뛸 몸 상태를 만드는 것이 당면 과제다. 하지만 선수 생명을 위협했던 최악의 부상을 털어내고 마침내 포효한 그의 발끝에 축구 팬들의 시선이 다시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