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짝퉁 아닌 듀프! 프랑스 향수 전문가도 인정한 K뷰티의 충격적 모방력

 고가의 럭셔리 브랜드 대신 비슷한 품질과 디자인을 갖추고 가격은 훨씬 저렴한 '듀프(dupe)' 제품을 찾는 소비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다. '듀프'는 복제품을 의미하는 'Duplication'의 줄임말로, 단순히 로고만 베끼는 '짝퉁'과는 달리 품질과 기능은 유지하면서 가격 부담을 크게 낮춘 대안 제품을 말한다.

 

뷰티 시장에서 듀프 열풍은 이미 가시화되고 있다. 다이소에서 판매된 국내 브랜드 '손앤박'의 립 제품은 샤넬 뷰티의 립 앤 치크 밤과 유사한 발색으로 주목받았다. 6만원대 샤넬 제품과 달리 단돈 3,000원에 판매되면서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고, 이에 힘입어 다이소의 올해 1~9월 뷰티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약 160% 급증했다.

 

최근에는 듀프 제품이 더욱 정교해지는 추세다. 지난해 말 국내와 미국에서 동시에 론칭한 글로벌 뷰티 플랫폼 '와이레스(YLESS)'는 듀프 제품을 주력 상품으로 내세우고 있다. 이들은 샤넬 뷰티의 대표 제품을 모방한 안티에이징 로션과 세럼 등 스킨케어 제품을 출시했는데, 단순히 제형과 사용감뿐 아니라 향까지 유사하게 만들었다는 점이 특징이다.

 

와이레스는 향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프랑스 그라스 지역의 100년 이상된 전문 향료 업체까지 방문했다고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제품의 가격은 오리지널 대비 10분의 1 수준으로, 소비자들에게 큰 매력으로 다가가고 있다.

 


듀프 소비가 확산되는 배경에는 합리적인 소비를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증가가 있다. 제품의 성분과 기능을 꼼꼼히 따져보고 구매를 결정하는 소비자들이 늘면서, 브랜드 가치보다는 실질적인 제품력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에게 듀프 소비는 단순한 대체재 구매를 넘어 새로운 소비 경험으로 인식되고 있다. 미국 시장조사기관 모닝컨설트의 지난해 10월 조사에 따르면, 미국 젠지세대(Gen-Z) 응답자의 69%는 '돈을 많이 쓰지 않고도 럭셔리한 느낌을 가질 수 있다'며 듀프 소비에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와이레스 관계자는 "K뷰티 기술력으로 오리지널 브랜드에 비견될 정도로 과감하게 품질은 높이면서도 가격은 낮춘 제품을 만들 수 있었다"며 "오리지널 제품을 뛰어 넘는 품질과 합리적인 가격으로 듀프 시장에서 명품 듀프, 고급 듀프라는 새로운 카테고리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처럼 듀프 제품은 단순한 저가 대체재를 넘어 독자적인 시장을 형성하며 성장하고 있다. 고품질의 제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소비하고자 하는 현대 소비자들의 니즈를 정확히 충족시키면서, 뷰티 업계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앞으로도 K뷰티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고품질 듀프 제품이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나이 때문에 못 뛴다고?…'마지막 재계약' 도장 찍은 메시, 2026 월드컵 출전 사실상 확정

 '축구의 신' 리오넬 메시(38·인터 마이애미)가 선수 경력의 마지막 페이지를 장식할 최종 계약서에 서명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매체 '마이애미 헤럴드'는 18일, 메시가 소속팀 인터 마이애미와 선수로서의 마지막 재계약을 체결했다고 보도하며, 그의 빛나는 커리어가 마이애미의 분홍색 유니폼과 함께 마무리될 것이라고 전했다. 오는 12월 계약 만료를 앞두고 수개월간 진행된 양측의 협상은 마침내 메시의 동행 결정으로 마침표를 찍었으며, 공식 발표는 10일 내로 이루어질 전망이다.메시는 단순한 선수 한 명 이상의 존재였다. 2023년 7월 합류 이후, 그는 75경기에 출전해 62골 30도움이라는 경이로운 공격 포인트를 쌓아 올리며 팀의 심장으로 자리 잡았다. 지난 시즌에는 리그 최우수선수(MVP)에 등극했고, 38세의 나이가 무색하게 올 시즌 역시 21경기에서 20골 11도움을 기록하며 여전한 기량을 과시하고 있다. 그의 영향력은 경기장 밖에서 더욱 폭발적이었다. 메시 합류 전 연간 5,000만 달러 수준이었던 구단 수익은 그의 등장과 함께 2배 이상 급증했으며, 올 시즌에는 무려 3억 달러(약 4,166억 원)에 육박하는 천문학적인 수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메시는 그야말로 인터 마이애미라는 구단의 가치와 규모를 송두리째 바꿔놓은 '걸어 다니는 기업' 그 자체였다.이번 재계약은 축구 팬들의 가장 큰 관심사인 2026 북중미 월드컵 출전 가능성에 대한 강력한 청신호로 해석된다. 메시는 그동안 나이를 이유로 월드컵 출전에 대해 유보적인 입장을 보여왔다. 그는 "몸 상태가 완벽하지 않다면 월드컵에 나가지 않는 것이 낫다"라며 완전한 컨디션이 전제 조건임을 강조해왔다. 하지만 MLS 무대를 압도하는 현재의 활약과 아르헨티나 대표팀 내에서의 굳건한 존재감을 고려할 때, 부상이라는 변수만 없다면 그의 대표팀 합류는 기정사실화되는 분위기다. 카타르 월드컵 우승의 영광을 함께했던 리오넬 스칼로니 감독 역시 '축구의 신'과 함께 또 한 번의 위대한 도전에 나설 것이 유력하다. 8번의 발롱도르 수상, 클럽 통산 40개의 우승 트로피 등 축구 역사상 가장 위대한 족적을 남긴 메시가 그의 커리어 황혼기에 마지막 월드컵 무대를 밟고 새로운 전설을 쓸 수 있을지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