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모아

80대 노인, 늦게 자고 낮잠 많이 자면 뇌 망가져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UCSF) 연구팀이 80대 노인의 수면 패턴과 치매 위험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야간 수면 시간이 줄어들고 낮 동안 졸음이 증가하는 노인의 경우 안정적인 수면 패턴을 유지하는 노인보다 치매 발병 위험이 두 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지난 19일(현지시간) 미국신경학회(AAN) 학술지인 '신경학(Neurology)'에 '24시간 수면-각성 활동의 5년 변화와 최고령 노년 여성의 치매 위험(Five-Year Changes in 24-Hour Sleep-Wake Activity and Dementia Risk in Oldest Old Women)'이라는 제목으로 발표됐다. 연구를 주도한 웨 렁 박사팀은 수면과 인지 기능 간의 관계를 장기간 추적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연구팀은 경도 인지 장애(MCI)나 치매 진단을 받지 않은 80대 여성 733명을 대상으로 5년 동안 이들의 수면 패턴과 치매 위험을 추적했다. 연구 시작과 종료 시 참가자들은 손목 착용형 장치를 통해 3일 동안 야간 수면 시간과 질, 주간 낮잠 시간, 일주기 리듬 패턴 등을 측정했다. 그 결과 참가자들은 세 그룹으로 나뉘었다.

 

첫 번째 그룹(44%)은 수면 패턴이 안정적인 노인들이었고, 두 번째 그룹(35%)은 야간 수면 시간이 감소하고 수면의 질이 떨어진 노인들이었다. 마지막 세 번째 그룹(21%)은 밤잠과 낮잠 시간이 모두 증가하면서 일주기 리듬이 악화한 '주간 졸음 증가' 그룹이었다.

 

 

 

연구팀은 5년간의 추적 관찰을 통해 참가자 절반 이상(56%)에서 수면 패턴 변화가 관찰됐으며, 이들 중 164명(22%)이 경도 인지 장애, 93명(13%)이 치매 진단을 받았다고 밝혔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안정적인 수면 패턴을 유지한 그룹에서는 8%(25명)가 치매 진단을 받았으나, 야간 수면 감소 그룹에서는 15%(39명), 주간 졸음 증가 그룹에서는 19%(29명)가 치매를 진단받아 수면 패턴의 변화가 치매 발병률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됐다.

 

이 연구 결과는 불규칙한 수면이 노년층의 인지 기능 저하와 연관이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80대 여성의 수면 패턴이 5년 만에 크게 변화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화가 치매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다만, 연구진은 "이 연구가 주간 졸음이 직접적으로 치매를 유발한다는 인과관계를 입증한 것은 아니며, 다만 강한 연관성을 시사하는 결과일 뿐이다"고 설명했다. 또한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주로 백인 여성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일반화에 한계가 있을 수 있음을 인정했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인종과 성별을 포함한 대규모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고령자의 수면 건강이 단순한 생활 습관이 아닌, 인지 기능 유지와 치매 예방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노년기 수면 패턴의 변화를 면밀히 관찰하고 조기에 대응하는 것이 치매 예방을 위한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다고 조언하고 있다.

 

‘에이스’의 배신?… 감보아, 최종전 등판 직전 “아파서 못 던져요”

 롯데 자이언츠가 정규 시즌 최종전 선발 투수를 알렉 감보아에서 빈스 벨라스케즈로 긴급 교체했다. 당초 9월 30일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 파크에서 열리는 시즌 마지막 경기의 선발은 감보아로 예정되어 있었다. 하지만 29일 SSG 랜더스와의 경기를 앞두고 김태형 감독은 취재진에게 벨라스케즈의 선발 등판을 예고하며 갑작스러운 변경 소식을 전했다. 이는 감보아가 29일 훈련 중 팔꿈치에 통증을 느껴 투구가 어렵다는 의사를 밝혔기 때문이다. 결국 9월부터 조짐을 보였던 감보아의 팔꿈치 문제가 시즌 마지막 등판을 앞두고 다시 한번 발목을 잡은 셈이다. 이미 한 차례 팔꿈치 불편함으로 로테이션을 거른 바 있는 감보아는 복귀 후에도 2경기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우려를 낳았었다.이번 선발 교체는 롯데의 올 시즌 외국인 투수 잔혹사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다. 대체 외국인 투수로 8월에 합류한 벨라스케즈는 선발 등판한 6경기에서 퀄리티스타트 없이 1승 4패로 부진하며 이미 한 차례 보직을 이동한 바 있다. 대량 실점이 반복되자 김태형 감독은 그를 불펜으로 돌리는 특단의 조치를 내렸고, 벨라스케즈는 9월 16일 삼성 라이온즈전부터 중간 계투로 등판해왔다. 가장 최근 등판은 28일 두산 베어스전으로, 8회말 2사 상황에 등판해 아웃카운트 단 1개만을 잡고 경기를 마쳤다. 이처럼 불펜으로만 나서던 그가 갑작스럽게 선발 등판을 준비하게 된 것은 팀의 계획에 없던 돌발 상황이었다. 의도치 않게 두산전 등판이 선발 등판 전 불펜 피칭이 된 셈이다.시즌 중반까지 롯데의 ‘에이스’ 역할을 했던 감보아의 갑작스러운 이탈은 아쉬움을 남긴다. 5월 대체 선수로 합류한 그는 7월까지 안정적인 투구를 선보이며 롯데의 상위권 순위 경쟁에 큰 힘을 보탰다. 하지만 9월 들어 급격히 무너지는 모습을 보였다. 연타를 허용하며 대량 실점하는 경기가 잦아졌고, 이는 선발 경험이 많지 않은 그의 체력적인 한계로 분석되었다. 한 차례 휴식 후 "괜찮다"며 마운드에 복귀했지만, 결국 다시 통증을 호소하며 시즌을 조기에 마감하게 되었다. 롯데로서는 시즌 내내 외국인 투수 문제로 골머리를 앓았고, 마지막 경기까지 예상치 못한 변수로 인해 깔끔한 마무리를 하지 못하게 되었다.이미 포스트시즌 진출이 좌절된 롯데는 한화와의 최종전에서 유종의 미를 거두고자 했다. 하지만 시즌 내내 팀을 괴롭혔던 외국인 투수 문제가 마지막까지 발목을 잡으며 씁쓸한 뒷맛을 남겼다. 김태형 감독은 "감보아가 나갈 수 없어 벨라스케즈가 준비한다"고 담담하게 밝혔지만, 그의 표정에는 아쉬움이 역력했다. 5강 탈락이 확정된 상황에서 치르는 최종전이지만, 팬들에게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자 했던 롯데의 계획은 시작부터 꼬여버렸다. 올 시즌 롯데의 외국인 투수 농사는 결국 실패로 끝났고, 이는 다음 시즌을 준비하는 롯데에게 무거운 과제를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