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모아

80대 노인, 늦게 자고 낮잠 많이 자면 뇌 망가져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UCSF) 연구팀이 80대 노인의 수면 패턴과 치매 위험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야간 수면 시간이 줄어들고 낮 동안 졸음이 증가하는 노인의 경우 안정적인 수면 패턴을 유지하는 노인보다 치매 발병 위험이 두 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지난 19일(현지시간) 미국신경학회(AAN) 학술지인 '신경학(Neurology)'에 '24시간 수면-각성 활동의 5년 변화와 최고령 노년 여성의 치매 위험(Five-Year Changes in 24-Hour Sleep-Wake Activity and Dementia Risk in Oldest Old Women)'이라는 제목으로 발표됐다. 연구를 주도한 웨 렁 박사팀은 수면과 인지 기능 간의 관계를 장기간 추적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연구팀은 경도 인지 장애(MCI)나 치매 진단을 받지 않은 80대 여성 733명을 대상으로 5년 동안 이들의 수면 패턴과 치매 위험을 추적했다. 연구 시작과 종료 시 참가자들은 손목 착용형 장치를 통해 3일 동안 야간 수면 시간과 질, 주간 낮잠 시간, 일주기 리듬 패턴 등을 측정했다. 그 결과 참가자들은 세 그룹으로 나뉘었다.

 

첫 번째 그룹(44%)은 수면 패턴이 안정적인 노인들이었고, 두 번째 그룹(35%)은 야간 수면 시간이 감소하고 수면의 질이 떨어진 노인들이었다. 마지막 세 번째 그룹(21%)은 밤잠과 낮잠 시간이 모두 증가하면서 일주기 리듬이 악화한 '주간 졸음 증가' 그룹이었다.

 

 

 

연구팀은 5년간의 추적 관찰을 통해 참가자 절반 이상(56%)에서 수면 패턴 변화가 관찰됐으며, 이들 중 164명(22%)이 경도 인지 장애, 93명(13%)이 치매 진단을 받았다고 밝혔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안정적인 수면 패턴을 유지한 그룹에서는 8%(25명)가 치매 진단을 받았으나, 야간 수면 감소 그룹에서는 15%(39명), 주간 졸음 증가 그룹에서는 19%(29명)가 치매를 진단받아 수면 패턴의 변화가 치매 발병률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됐다.

 

이 연구 결과는 불규칙한 수면이 노년층의 인지 기능 저하와 연관이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80대 여성의 수면 패턴이 5년 만에 크게 변화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화가 치매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다만, 연구진은 "이 연구가 주간 졸음이 직접적으로 치매를 유발한다는 인과관계를 입증한 것은 아니며, 다만 강한 연관성을 시사하는 결과일 뿐이다"고 설명했다. 또한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주로 백인 여성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일반화에 한계가 있을 수 있음을 인정했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인종과 성별을 포함한 대규모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고령자의 수면 건강이 단순한 생활 습관이 아닌, 인지 기능 유지와 치매 예방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노년기 수면 패턴의 변화를 면밀히 관찰하고 조기에 대응하는 것이 치매 예방을 위한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다고 조언하고 있다.

 

서울대, '공공성·다양성' 외치며 입시 칼날 뽑았다! 2028 입시 지각변동 예고!

 서울대학교가 2028학년도 대입부터 지역 인재 선발을 대폭 늘리기 위해 수시모집 학생부종합전형(지역균형전형)의 선발 인원을 확대한다고 29일 발표했다. 이는 기존 정시모집의 수능위주전형(지역균형전형)을 폐지하는 대신, 수시 지역균형전형의 문턱을 낮춰 더 많은 지역 학생들이 서울대에 진학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파격적인 변화다. 서울대 측은 이러한 변화가 "공공성과 다양성 실현, 그리고 학교 교육을 성실하게 이수한 우수 인재를 선발한다는 전형의 취지를 충실히 구현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개편은 고교 교육 정상화와 지역 균형 발전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서울대가 적극적으로 응답하는 모습으로 해석된다.특히 수시모집 학생부종합전형(지역균형전형)의 변화가 눈에 띈다. 교육 불균형 해소와 지역별 우수 인재의 균형적 선발을 위해 자율형사립고, 외국어고, 국제고, 과학고, 영재학교 출신 학생들의 지원이 제한된다. 이는 일반고 학생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또한, 고교별 추천 인원도 기존 2명에서 3명으로 늘어나면서 각 고등학교가 더 많은 학생을 추천할 수 있게 됐다. 무엇보다 중요한 변화는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수능 부담을 덜어내고 학교생활기록부 중심의 평가를 강화해, 내신과 학교 활동에 충실한 지역 학생들이 서울대에 진학할 수 있는 길을 넓혀줄 것으로 기대된다.정시모집 수능위주전형(일반전형)에도 큰 변화가 찾아온다. 서울대는 대학 수학을 위한 기본 학업 소양을 검증하기 위해 수능을 계속 활용하되, 고교 학습과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교과역량평가'를 새롭게 도입한다. 이는 정시에서도 단순히 수능 점수만으로 학생을 선발하는 것이 아니라, 고등학교 교과 과정을 얼마나 충실히 이수했는지를 평가하겠다는 의미다. 전형 방식은 1단계에서 수능 100%로 모집 인원의 3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에서는 수능 60점과 교과역량평가 40점의 배점을 반영해 최종 합격자를 가린다. 이는 수능 성적 외에 내신과 학교생활의 중요성을 정시에서도 강조하겠다는 서울대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다만, 수의과대학과 의과대학은 2단계 전형에서 수능 60점, 교과역량평가 20점, 그리고 적성·인성면접 20점을 반영할 예정이다. 이는 의학 계열 특성상 학업 역량뿐만 아니라 인성과 적성까지 종합적으로 평가하겠다는 것으로 보인다. 이번 서울대 입시 개편은 단순히 전형 방식의 변화를 넘어, 대학 입시의 공정성과 다양성을 확보하고, 고교 교육을 정상화하려는 서울대의 철학이 담긴 결과로 평가된다. 2028학년도부터 적용될 이 변화는 향후 대입 지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고등학생들과 학부모들은 물론 교육계 전반의 큰 관심이 쏠릴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