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모아

80대 노인, 늦게 자고 낮잠 많이 자면 뇌 망가져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UCSF) 연구팀이 80대 노인의 수면 패턴과 치매 위험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야간 수면 시간이 줄어들고 낮 동안 졸음이 증가하는 노인의 경우 안정적인 수면 패턴을 유지하는 노인보다 치매 발병 위험이 두 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지난 19일(현지시간) 미국신경학회(AAN) 학술지인 '신경학(Neurology)'에 '24시간 수면-각성 활동의 5년 변화와 최고령 노년 여성의 치매 위험(Five-Year Changes in 24-Hour Sleep-Wake Activity and Dementia Risk in Oldest Old Women)'이라는 제목으로 발표됐다. 연구를 주도한 웨 렁 박사팀은 수면과 인지 기능 간의 관계를 장기간 추적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연구팀은 경도 인지 장애(MCI)나 치매 진단을 받지 않은 80대 여성 733명을 대상으로 5년 동안 이들의 수면 패턴과 치매 위험을 추적했다. 연구 시작과 종료 시 참가자들은 손목 착용형 장치를 통해 3일 동안 야간 수면 시간과 질, 주간 낮잠 시간, 일주기 리듬 패턴 등을 측정했다. 그 결과 참가자들은 세 그룹으로 나뉘었다.

 

첫 번째 그룹(44%)은 수면 패턴이 안정적인 노인들이었고, 두 번째 그룹(35%)은 야간 수면 시간이 감소하고 수면의 질이 떨어진 노인들이었다. 마지막 세 번째 그룹(21%)은 밤잠과 낮잠 시간이 모두 증가하면서 일주기 리듬이 악화한 '주간 졸음 증가' 그룹이었다.

 

 

 

연구팀은 5년간의 추적 관찰을 통해 참가자 절반 이상(56%)에서 수면 패턴 변화가 관찰됐으며, 이들 중 164명(22%)이 경도 인지 장애, 93명(13%)이 치매 진단을 받았다고 밝혔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안정적인 수면 패턴을 유지한 그룹에서는 8%(25명)가 치매 진단을 받았으나, 야간 수면 감소 그룹에서는 15%(39명), 주간 졸음 증가 그룹에서는 19%(29명)가 치매를 진단받아 수면 패턴의 변화가 치매 발병률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됐다.

 

이 연구 결과는 불규칙한 수면이 노년층의 인지 기능 저하와 연관이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80대 여성의 수면 패턴이 5년 만에 크게 변화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화가 치매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다만, 연구진은 "이 연구가 주간 졸음이 직접적으로 치매를 유발한다는 인과관계를 입증한 것은 아니며, 다만 강한 연관성을 시사하는 결과일 뿐이다"고 설명했다. 또한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주로 백인 여성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일반화에 한계가 있을 수 있음을 인정했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인종과 성별을 포함한 대규모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고령자의 수면 건강이 단순한 생활 습관이 아닌, 인지 기능 유지와 치매 예방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노년기 수면 패턴의 변화를 면밀히 관찰하고 조기에 대응하는 것이 치매 예방을 위한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다고 조언하고 있다.

 

5월 2일 임시공휴일 지정 놓고 '기대 vs 우려' 교차

 오는 5월 초 다가오는 황금연휴를 앞두고 5월 2일 '임시공휴일' 지정 여부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5월 1일부터 6일까지 최장 6일의 연휴가 가능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올해 5월은 이미 5월 1일 근로자의 날을 시작으로, 5월 5일 석가탄신일 및 어린이날이 겹쳐 5월 6일이 대체공휴일로 지정되어 있다. 만약 5월 2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된다면, 근로자의 날인 5월 1일부터 대체공휴일인 5월 6일까지 이어지는 '황금연휴'가 완성된다.하지만 정부는 아직 5월 2일 임시공휴일 지정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정부는 올 초 내수 활성화를 목표로 설 연휴 직전인 1월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한 바 있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임시공휴일 지정 이후 내수 진작 효과보다는 해외여행 수요 증가가 더욱 두드러졌다. 실제로 지난 설 연휴 기간 내국인 출국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7.3%, 전월 대비 9.4% 증가했으며, 지난해 10월 1일 임시공휴일 지정 시에도 출국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 16.6% 늘어난 바 있다.또한 정부는 오는 6월 3일 조기 대통령 선거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예정이어서, 연이은 공휴일 지정에 대한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이 가운데 직장인들은 5월 2일 임시공휴일 지정을 기대하며 "하루 연차 쓰기 눈치 보인다", "할 거면 빨리해라" 등의 반응을 보이는 반면, 자영업자 등은 "공휴일이 많아서 돈 나갈 곳도 많다", "또 쉬냐 이제 아이 맡길 곳도 찾기 어렵다", "다 해외 여행 가서 의미 없다"며 악영향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지정 여오전 11:33 2025-04-22부는 여당, 기획재정부 등 관계 부처의 협의와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이러한 절차상 늦어도 이번 주 안에 결론이 나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5월 2일 임시공휴일 지정은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