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마법 양탄자 타고 부산 가자! 뮤지컬 '알라딘', 드림씨어터에 뿅!

 지난해 11월 한국 초연 이후 연일 매진 행렬을 이어가며 폭발적인 흥행을 기록 중인 뮤지컬 '알라딘'이 서울에 이어 부산 관객들을 만난다.

 

제작사 에스앤코는 뮤지컬 '알라딘' 부산 공연이 오는 7월 11일부터 9월 28일까지 부산 드림씨어터에서 펼쳐진다고 밝혔다.

 

이번 부산 공연에는 토니상 수상에 빛나는 연출 겸 안무가 케이시 니콜로가 "월드 클래스"라고 극찬한 '알라딘' 역의 김준수, 서경수, 박강현을 비롯해, '지니' 역의 정성화, 정원영, 강홍석, '자스민' 역의 이성경, 민경아, 최지혜 등 서울 공연의 흥행을 이끈 주역 37명이 그대로 무대에 올라 환상적인 무대를 선사할 예정이다.

 

1992년 개봉한 디즈니 애니메이션 '알라딘'은 램프의 요정 지니와 좀도둑 알라딘, 자스민 공주의 사랑과 모험을 그린 작품으로, 전 세계적인 사랑을 받아왔다. 뮤지컬 '알라딘'은 이러한 원작의 감동을 그대로 살리면서도, 더욱 화려하고 스펙터클한 무대 연출로 관객들의 눈과 귀를 사로잡는다.

 

특히, 알란 멘켄의 주옥같은 명곡 'A Whole New World', 'Friend Like Me' 등은 환상적인 무대 연출, 관능적인 안무, 섬세한 일루전과 특수 효과와 어우러져 잊지 못할 명장면들을 탄생시키며 관객들의 기립 박수를 이끌어낸다.

 


또한, 뮤지컬 '알라딘'은 원작 애니메이션에는 등장하지 않았던 알라딘의 세 친구 카심, 오마르, 밥칵을 등장시켜 이야기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고, 극의 재미를 더한다. 이들은 알라딘의 든든한 조력자로서 유쾌한 웃음과 감동을 선사한다.

 

에스앤코 관계자는 "서울과 함께 '알라딘'의 도시로 확정된 부산은 최근 글로벌 문화 콘텐츠가 집중되며 문화 예술의 랜드마크로 급부상하고 있다"며, "개관 6주년을 앞둔 국내 최대 뮤지컬 전용 극장 드림씨어터는 뮤지컬에 최적화된 공연장으로, '알라딘'의 스펙터클한 세계를 완벽하게 구현할 것"이라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한편, 설화를 바탕으로 한 매혹적인 스토리와 탁월한 공연 예술로 생명력을 불어넣은 뮤지컬 '알라딘'의 서울 공연은 오는 6월 22일까지 서울 송파구 샤롯데씨어터에서 계속되며, 이후 부산으로 무대를 옮겨 대단원의 막을 내릴 예정이다.

 

올여름, 부산에서 펼쳐지는 환상적인 뮤지컬 '알라딘'의 세계를 직접 경험하고, 잊지 못할 감동과 추억을 만들어보는 것은 어떨까.

 

쇼핑몰에 뜬 '늑대견' 3마리…입마개 갑론을박, 펫티켓 어디까지?

 최근 한 여성이 대형 복합 쇼핑몰에 대형견 세 마리를 데리고 나타나 온라인 커뮤니티가 뜨겁게 달아올랐다. 문제는 '입마개'였다. 견주는 법적으로 문제가 없고, 통제 가능하다는 입장이지만, 시민들은 혹시 모를 사고에 대한 불안감을 호소하며 갑론을박을 벌이고 있다. 펫티켓 논쟁에 다시 불이 붙은 모양새다.논란의 중심에 선 견주 A씨는 지난 10일 자신의 SNS에 "오랜만에 빵 사러 왔다"는 글과 함께 반려견 세 마리와 쇼핑몰을 방문한 영상을 올렸다. 해당 쇼핑몰은 반려동물 출입이 가능하며, 펫파크까지 갖춰져 있어 반려인들에게 인기가 높은 곳이다. 영상 속 A씨는 양손에 목줄을 쥔 채, 입마개를 하지 않은 대형견 세 마리와 함께 쇼핑몰을 활보했다. "늑대 아니냐"는 시민의 질문에 "울프독이다"라고 답하는 모습도 담겼다.영상이 확산되자 누리꾼들은 입마개 착용 여부를 두고 격렬한 논쟁을 벌였다. 특히 쇼핑몰은 어린이를 포함한 가족 단위 방문객이 많다는 점에서, 대형견, 특히 늑대 혈통인 '울프독'에 대한 불안감이 컸다. "입마개는 법적 의무가 아니더라도, 타인을 위한 배려"라거나 "돌발 상황 발생 시 통제가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가 쏟아졌다.하지만 견주 A씨는 "내 힘으로 충분히 통제 가능한 오전 11:14 2025-04-16목줄을 착용하고 있다"며 "맹견이 아닌 경우 입마개는 선택"이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매너 차원에서 하라는 무언의 압박은 사절한다"며 불편한 심경을 드러내기도 했다.현행 동물보호법상 입마개 착용 의무가 있는 맹견은 도사견, 아메리칸 핏불테리어, 아메리칸 스태퍼드셔 테리어, 스태퍼드셔 불테리어, 로트와일러 등 5종뿐이다. 울프독은 해당되지 않는다. 법적으로 A씨의 행동에 문제가 없다는 의미다. 하지만 법적인 문제와 별개로, 공공장소에서의 펫티켓 논란은 피할 수 없게 됐다.A씨의 해명에도 누리꾼들의 의견은 엇갈리고 있다. "사고가 발생한 것도 아니고, 법적으로 문제 될 것이 없는데 과도한 비난"이라는 옹호론과 "법적 의무는 아니더라도, 타인에게 불안감을 주는 행동은 자제해야 한다"는 비판론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이번 논란은 반려동물 양육 인구 증가와 함께 펫티켓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법적 의무를 넘어, 타인에 대한 배려와 안전을 고려하는 성숙한 펫티켓 문화 정착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반려동물과 사람이 함께 행복하게 살아가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