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새벽 3시 기상, 불면의 밤 딛고..매킬로이, '제5 메이저' 왕좌 탈환

 세계 랭킹 2위 로리 매킬로이(북아일랜드)가 드라마틱한 연장전 끝에 '제5의 메이저'로 불리는 플레이어스 챔피언십 정상에 올랐다. 잠 못 이루는 밤을 보낸 뒤, 긴장감 속에서도 침착함을 유지하며 거둔 값진 우승이었다.

 

17일(현지시간) 매킬로이는 J.J. 스펀(미국)과의 연장전에서 승리하며 2019년에 이어 플레이어스 챔피언십 두 번째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이는 미국프로골프(PGA) 투어 통산 28승째에 해당하는 기록이다.

 

전날, 매킬로이는 스펀과 최종 12언더파 동률을 이뤘지만, 일몰로 인해 연장전은 다음 날로 미뤄졌다. 몇 차례 버디 기회를 놓친 아쉬움 속에 숙소로 돌아간 그는 룸서비스를 주문하고 영화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를 보며 마음을 달랬다.

 

그러나 새벽 3시, 매킬로이는 잠에서 깨어났다. 오전 9시 연장전 시작까지 잠을 이루지 못한 채 뒤척이다가 결국 경기장으로 향했다. 그는 "긴장했다"고 솔직하게 털어놨다.

 


매킬로이는 "어젯밤에 끝내지 못해 정말 우승하고 싶었고, 할 수 있다고 기대했다. 압박감이 생겼지만, 다행히 모든 것, 특히 긴장을 잘 처리했다"고 말했다. 이어 "아침에 다시 나와야 해서 실망했지만, 숙면을 취하고 아침에 다시 나와 끝내자고 결심했다"고 덧붙였다.

 

연장 첫 홀인 16번 홀(파5)에서 버디를 잡으며 기선을 제압한 매킬로이는 17번 홀(파3)에서 승부를 결정지었다. 악명 높은 TPC 소그래스의 17번 홀. 130야드(약 119m) 거리에서 매킬로이는 웨지 대신 9번 아이언을 선택, 4분의 3 스윙으로 티샷을 날렸다. 그의 클럽 선택을 지켜보던 스펀은 고개를 갸우뚱했고, 결국 티샷을 물에 빠뜨리고 말았다.

 

매킬로이는 "캐디에게 그 샷이 큰 도움이 될 거라고 말했다. 익숙한 샷이었기에 이런 상황에서도 거의 모든 것을 통제할 수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고 설명했다.

 

이번 대회에서 매킬로이의 1~4라운드 기록은 썩 좋지 않았다. 페어웨이 적중률은 50% 미만이었고, 그린 적중률도 하위권이었다. 하지만 스크램블링(온 그린 실패 후 파 이상 성적)에서 12위를 기록하며 위기를 잘 넘겼다.

 

매킬로이 역시 "이번 대회는 최고의 성적은 아니었지만, 세계에서 가장 큰 대회 중 하나에서 우승했다는 것은 정말 대단한 일"이라며 기쁨을 감추지 않았다.

 

우리 동네 땅 밑은 괜찮을까? 20년 넘은 상하수관 40%, 정비는 '하세월'

 전국 상하수관로 10개 중 4개꼴로 20년이 넘은 노후 관로이며, 이렇게 낡은 관로를 정비하는 데 최대 11년이 걸리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지반 침하로 인한 싱크홀 발생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지적된다.25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박홍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환경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3년 기준 20년 이상 된 하수관은 전체(17만2496㎞)의 43.7%인 7만5837㎞에 달했다. 특히 30년 이상 된 관로는 전체의 25.9%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대구(74%), 광주(67.1%), 서울(66.1%) 등 대도시의 노후 하수관 비율이 높았다.상수관도 사정은 비슷하다. 2023년 기준 20년 지난 상수관은 전체(24만6126㎞)의 38.2%인 9만3969㎞로 집계됐다.노후 상하수관은 관 이음새나 본체에 균열이 생겨 물이 새기 쉽다. 이때 흘러나온 물이 주변 흙을 씻어내 땅속에 빈 공간을 만들고, 결국 지반이 무너져 내리는 싱크홀로 이어진다. 실제로 최근 10년간 발생한 크고 작은 싱크홀의 절반이 상하수관 손상 때문이었다. 다만 깊이 5m 이상의 대형 싱크홀은 지하 공사가 원인인 경우가 많다는 분석도 있다.환경부는 하수관로 내구연한을 20년으로 보고, 20년 이상 된 관로를 정비 대상으로 관리한다. 지자체는 정밀조사 후 결함 구간을 매년 정비하며, 환경부는 조사 및 사업비 일부를 지원한다.문제는 정비 대상으로 지정돼도 실제 공사가 완료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는 점이다. 하수관로의 경우 설계에만 3년, 인허가 및 입찰 1~2년, 공사 6년 등 최대 11년이 걸린 사례가 있으며, 평균적으로 약 5년이 소요된다.상수관 정비도 마찬가지다. 최근 정밀조사 결과 전체의 약 7.7%가 교체·보수 필요한 노후관으로 확인됐지만, 올해 1월 기준 정비 완료율은 16.9%에 불과하다. 공사 중이거나 설계·준비 단계인 곳이 대부분이다. 상수관 정비 사업 기간은 약 5~7년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환경부 관계자는 정비 사업 지연에 대해 "재원이 한정돼 있어 지자체의 수요와 재정자립도 등을 고려해 순차적으로 지원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박 의원은 "상하수도 노후화가 지반 침하의 주범이지만 정비까지 수년이 걸리는 것이 현실"이라며 "국민 안전을 위해 노후 상하수도관 정비에 대한 더 적극적인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