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최민정, 미쳤다!" 압도적 레이스로 세계선수권 1500m 접수..올림픽 예약

 한국 여자 쇼트트랙 '에이스' 최민정(성남시청)이 2025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쇼트트랙 세계선수권대회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며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 올림픽 출전권을 확보했다.

 

최민정은 16일(한국시간) 중국 베이징 캐피털 실내경기장에서 열린 대회 여자 1500m 결승에서 2분27초136의 기록으로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 금메달을 차지했다. 2위는 캐나다의 코트니 사로(2분27초194), 3위는 한국의 김길리(성남시청, 2분27초257)가 차지했다.

 

예선을 가볍게 통과한 최민정은 결승에서 김길리, 코트니 사로(캐나다), 하너 데스멋(벨기에), 엘리사 콘포톨라, 아리아나 폰타나(이상 이탈리아) 등 쟁쟁한 선수들과 경쟁했다. 초반에는 하위권에서 탐색전을 펼치던 최민정은 8바퀴를 남기고 특유의 아웃코스 질주로 단숨에 선두로 올라섰다.

 

5바퀴를 남기고 사로에게 잠시 선두를 내주기도 했지만, 3바퀴 반을 남기고 다시 한번 폭발적인 스피드로 추월에 성공하며 1위 자리를 되찾았다. 이후 최민정은 압도적인 기량으로 경쟁자들을 따돌리고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하며 금메달을 확정 지었다.

 

이번 금메달은 최민정에게 여러모로 의미가 깊다. 전날 여자 1000m 결승에서 5위에 그치며 아쉬움을 삼켰던 최민정은 주종목인 15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완벽하게 부활했음을 알렸다. 또한 2022년 몬트리올 대회 이후 3년 만에 세계선수권 금메달을 획득하며 '빙판 여제'의 귀환을 알렸다.

 


최민정은 2022년 몬트리올 세계선수권대회에서 3관왕(1500m, 1000m, 여자 3000m 계주)에 오르며 최고의 전성기를 누렸다. 하지만 1년 뒤 서울 대회에서는 노골드에 그치며 부진을 겪었다. 2024-25시즌 대표선발전을 통해 2년 만에 국가대표에 복귀한 최민정은 지난달 열린 2025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에서 3관왕을 차지하며 부활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이번 세계선수권대회에서 한국 여자 대표팀 선수 중 유일하게 금메달을 획득한 최민정은 세계선수권 금메달리스트이자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한 선수에게 주어지는 2025-26시즌 대표팀 자동 선발권을 확보했다. 동시에 2026 밀라노-코르티나 담페초 동계올림픽 출전권까지 거머쥐며 올림픽 3회 연속 출전의 꿈을 이어가게 됐다. 최민정은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2관왕(1500m·3000m 계주), 2022년 베이징 올림픽 1500m 금메달을 획득한 바 있다.

 

한편, 같은 날 여자 500m 준결승에 출전한 최민정은 2조 3위에 그쳐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남자 대표팀은 전날에 이어 부진을 면치 못했다. 남자 1000m 준결승에서 박지원(서울시청), 장성우(화성시청)가 실격으로 탈락했고, 김건우(스포츠토토)도 3위에 머물러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남자 대표팀은 5000m 계주에서 박지원, 장성우, 김건우, 이정수(서울시청)가 동메달을 획득하는 데 만족해야 했다. 이번 대회에서 한국 쇼트트랙 대표팀은 금 1개, 동 2개로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적을 거뒀다. 특히 남자 대표팀은 개인전에서 단 한 개의 메달도 획득하지 못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최민정을 제외한 선수들은 4월 79일, 1213일에 열리는 2025-26시즌 대표 선발전을 통해 다시 한번 태극마크에 도전한다. 대한빙상경기연맹은 대표 선발전을 통해 남녀 대표팀 각 8명씩을 선발하며, 이 중 남녀 상위 5명이 올림픽에 출전한다.

 

'힘' 뺀 국군의 날? 이재명 정부, '간소화'로 던진 안보 메시지

 이재명 정부 첫 국군의 날 행사는 윤석열 정부와 달리 대폭 간소화된 모습으로 진행됐다. 2년 연속 서울 도심에서 열렸던 시가행진은 생략됐고, 병력, 장비, 예산도 작년보다 현저히 감소했다. 이는 군사력 강조보다 남북 긴장 완화와 신뢰 구축을 지향하는 현 정부의 안보관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1일 계룡대 연병장에서 열린 건군 77주년 행사에는 998명의 병력이 참여, 지난해 5천여 명의 5분의 1 규모였다. K2전차, 무인잠수정, F-35A 등 장비 약 40종 100여 대가 참가해, 작년 83종 340여 대 대비 크게 줄었다. 예산도 작년 72억 원의 3분의 1 수준인 27억 원이 투입됐다. 행사기획단은 "간결하게 하겠다는 의지"라고 전했다.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도심 시가행진의 생략이다. 윤석열 정부는 2023년 10년 만에 시가행진을 재개, 지난해에도 2년 연속 도심 시가행진을 벌이며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국민 참여를 독려했다. 통상 5년 주기 시가행진이 2년 연속 열린 것은 전두환 정권 이후 40년 만이었다. 기획단은 시가행진이 기획 단계부터 배제됐다고 설명했다.'국민과 함께하는 선진강국' 슬로건 아래 민군 통합 태권도 시범, 합동 전통악 공연이 진행됐다. 주요 부대 열병식, 회전익·고정익 편대비행, 블랙이글스 고난도 비행이 이어졌고, K9 자주포, K2 전차 등 주요 무기체계가 전시됐다.기념식에서는 '채상병 사건' 수사로 알려진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이 헌법적 가치 수호 유공으로 보국훈장 삼일장을 수여받았다. 강병국 육군 상사, 김경철 해군본부 정보작전참모부장(소장), 박지원 공군본부 정책관리과장(대령) 등도 포상받았으며, 육군 제6보병사단 등 4개 부대도 대통령 부대표창을 받았다.올해 총지휘는 비육사 출신 최장식 육군 소장(학군 30기)이 맡아, 문재인 정부 이후 7년 만의 비육사 출신 제병지휘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