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최민정, 미쳤다!" 압도적 레이스로 세계선수권 1500m 접수..올림픽 예약

 한국 여자 쇼트트랙 '에이스' 최민정(성남시청)이 2025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쇼트트랙 세계선수권대회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며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 올림픽 출전권을 확보했다.

 

최민정은 16일(한국시간) 중국 베이징 캐피털 실내경기장에서 열린 대회 여자 1500m 결승에서 2분27초136의 기록으로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 금메달을 차지했다. 2위는 캐나다의 코트니 사로(2분27초194), 3위는 한국의 김길리(성남시청, 2분27초257)가 차지했다.

 

예선을 가볍게 통과한 최민정은 결승에서 김길리, 코트니 사로(캐나다), 하너 데스멋(벨기에), 엘리사 콘포톨라, 아리아나 폰타나(이상 이탈리아) 등 쟁쟁한 선수들과 경쟁했다. 초반에는 하위권에서 탐색전을 펼치던 최민정은 8바퀴를 남기고 특유의 아웃코스 질주로 단숨에 선두로 올라섰다.

 

5바퀴를 남기고 사로에게 잠시 선두를 내주기도 했지만, 3바퀴 반을 남기고 다시 한번 폭발적인 스피드로 추월에 성공하며 1위 자리를 되찾았다. 이후 최민정은 압도적인 기량으로 경쟁자들을 따돌리고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하며 금메달을 확정 지었다.

 

이번 금메달은 최민정에게 여러모로 의미가 깊다. 전날 여자 1000m 결승에서 5위에 그치며 아쉬움을 삼켰던 최민정은 주종목인 15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완벽하게 부활했음을 알렸다. 또한 2022년 몬트리올 대회 이후 3년 만에 세계선수권 금메달을 획득하며 '빙판 여제'의 귀환을 알렸다.

 


최민정은 2022년 몬트리올 세계선수권대회에서 3관왕(1500m, 1000m, 여자 3000m 계주)에 오르며 최고의 전성기를 누렸다. 하지만 1년 뒤 서울 대회에서는 노골드에 그치며 부진을 겪었다. 2024-25시즌 대표선발전을 통해 2년 만에 국가대표에 복귀한 최민정은 지난달 열린 2025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에서 3관왕을 차지하며 부활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이번 세계선수권대회에서 한국 여자 대표팀 선수 중 유일하게 금메달을 획득한 최민정은 세계선수권 금메달리스트이자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한 선수에게 주어지는 2025-26시즌 대표팀 자동 선발권을 확보했다. 동시에 2026 밀라노-코르티나 담페초 동계올림픽 출전권까지 거머쥐며 올림픽 3회 연속 출전의 꿈을 이어가게 됐다. 최민정은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2관왕(1500m·3000m 계주), 2022년 베이징 올림픽 1500m 금메달을 획득한 바 있다.

 

한편, 같은 날 여자 500m 준결승에 출전한 최민정은 2조 3위에 그쳐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남자 대표팀은 전날에 이어 부진을 면치 못했다. 남자 1000m 준결승에서 박지원(서울시청), 장성우(화성시청)가 실격으로 탈락했고, 김건우(스포츠토토)도 3위에 머물러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남자 대표팀은 5000m 계주에서 박지원, 장성우, 김건우, 이정수(서울시청)가 동메달을 획득하는 데 만족해야 했다. 이번 대회에서 한국 쇼트트랙 대표팀은 금 1개, 동 2개로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적을 거뒀다. 특히 남자 대표팀은 개인전에서 단 한 개의 메달도 획득하지 못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최민정을 제외한 선수들은 4월 79일, 1213일에 열리는 2025-26시즌 대표 선발전을 통해 다시 한번 태극마크에 도전한다. 대한빙상경기연맹은 대표 선발전을 통해 남녀 대표팀 각 8명씩을 선발하며, 이 중 남녀 상위 5명이 올림픽에 출전한다.

 

류현진 10승보다 허무했던 '1이닝 2피홈런'…한화, LG에 우승컵 떠먹여 주다

 정규시즌 1위 결정전이라는 마지막 희망을 향해 달려가던 한화 이글스의 꿈이 한순간에 물거품이 됐다. 시즌 마지막 맞대결로 펼쳐진 SSG 랜더스와의 경기에서 9회말까지 리드를 잡고도 충격적인 끝내기 역전패를 당하며 스스로 순위 경쟁의 마침표를 찍은 것이다. 만약 이날 승리하고 남은 최종전까지 잡았다면 LG 트윈스와 1위 자리를 놓고 단판 승부를 벌일 수 있었기에 그 아쉬움은 더욱 컸다. 7회초 대거 4점을 뽑아내며 5-2로 경기를 뒤집었을 때만 해도 한화의 시나리오는 완벽해 보였다. 하지만 야구는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었다. 9회말, 승리를 지키기 위해 올라온 마무리 김서현이 2아웃을 잘 잡아놓고 거짓말처럼 투런 홈런 두 방을 연달아 허용하며 5-6으로 무너졌다. 인천 하늘에 울려 퍼진 SSG 팬들의 함성은 한화의 꿈이 산산조각 나는 소리이기도 했다.이 패배로 모든 것이 결정됐다. 한화의 추격이 멈추자마자 LG 트윈스는 남은 경기 결과와 상관없이 정규시즌 우승을 확정 지었다. 일찌감치 2위 자리를 확보해 플레이오프 직행 티켓을 손에 넣었던 한화에게 이제 3일 남은 KT와의 최종전은 순위와 무관한, 그야말로 '소화 시합'이 되어버렸다. 시즌 막판까지 이어졌던 1위 싸움의 팽팽한 긴장감은 허무하게 사라졌고, 이제 한화는 2주 뒤에 시작될 가을야구의 가장 높은 곳을 바라보며 전력을 재정비해야 하는 과제만을 남겨두게 됐다. 허탈한 패배의 상처를 씻고 포스트시즌을 위한 새로운 각오를 다져야 하는 시간이 온 것이다.팀의 운명이 결정되면서 '코리안 몬스터' 류현진의 마지막 등판 여부도 자연스럽게 정리됐다. 만약 1위 경쟁이 최종전까지 이어졌다면, 팀의 에이스인 류현진이 선발로 나서는 것이 유력했다. 그에게는 개인 통산 10승과 규정이닝 달성이라는 기록이 걸려 있었고, 팀으로서도 폰세, 와이스, 문동주에 이어 구단 역사상 최초로 한 시즌 4명의 두 자릿수 승리 투수를 배출하는 대기록을 세울 수 있는 기회였다. 하지만 순위가 확정된 지금, 굳이 2주 앞으로 다가온 플레이오프를 앞두고 에이스를 무리하게 등판시킬 이유는 완전히 사라졌다.결국 류현진의 10승 도전은 다음을 기약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 자신도 "나의 10승은 전혀, 전혀 중요하지 않다"고 말하며 개인 기록보다 팀의 한국시리즈 우승이 더 중요함을 여러 차례 강조해왔다. 에이스의 말처럼, 이제 한화에게 정규시즌의 작은 기록들은 의미가 없어졌다. 더 큰 목표를 위해 잠시 숨을 고를 때다. 류현진이 빠진 최종전 마운드는 이제껏 기회를 얻지 못했던 젊은 투수들에게 자신을 증명할 소중한 기회의 장이 될 전망이다. 한화의 아쉬운 정규시즌 마지막 페이지는 그렇게 새로운 희망을 준비하며 넘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