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모아

김수현-김새론 6년간 교제했다? 논란 확산에 방송가 "긴장"

 배우 김수현이 고(故) 김새론과 미성년자 시절부터 교제했다는 의혹이 확산되면서 방송가와 광고업계가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10일, 유튜브 채널 '가로세로연구소'는 김새론의 유족 측의 말을 인용해 김새론이 15살부터 6년간 김수현과 교제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12일 연예 매체 디스패치는 김수현의 소속사 골드메달리스트가 김새론에게 보낸 내용증명과 김새론이 김수현에게 보냈다는 문자 메시지 등의 내용이 포함된 문서들을 공개하며 논란이 더욱 확대됐다.

 

소속사 골드메달리스트는 해당 보도에 대해 "명백한 허위사실"이라며 강력한 법적 대응을 예고했지만, 김수현이 김새론의 볼에 뽀뽀하는 사진과 김수현이 김새론에게 보냈다는 편지 등이 추가로 공개되면서 논란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부정적인 여론도 확산되었으며, 김수현이 출연 중인 방송 프로그램과 광고도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다.

 

특히 김수현이 출연 중인 MBC 예능 프로그램 '굿데이'에 대한 하차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굿데이'는 김수현을 포함한 여러 스타들이 함께 출연하는 프로그램으로, 시청자 게시판에는 김수현의 하차를 요구하는 글들이 다수 올라왔다. 프로그램 제작진은 김수현의 하차 여부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았으며, 13일 예정된 프로그램 녹화에 김수현이 불참한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논란은 더욱 확대되었다.

 


디즈니+는 김수현이 주연을 맡은 드라마 '넉오프'의 공개 일정에 대해서도 고민에 빠졌다. 해당 드라마는 공개를 한 달 여 앞두고 있었으나, 김수현과 관련된 대형 논란이 터지면서 공개 일정을 미룰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디즈니+ 측은 "아직 공식적인 공개 일정이 확정되지 않았다"며 신중한 입장을 취하고 있지만, 일정 변경이 불가피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광고업계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김수현은 최근 홈플러스의 창립 28주년 광고 모델로 재발탁된 상태였는데, 홈플러스는 현재 상황을 면밀히 살펴보고 있으며 "변동사항은 없고, 정확한 상황을 확인한 후 최종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CJ푸드빌은 김수현과의 재계약 여부를 두고 고민 중이다. 김수현과의 계약은 이달 말 종료될 예정이며, 추가 연장 여부가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한편 LG생활건강은 김수현이 모델로 활동했던 뷰티 브랜드 '비욘드'의 광고 영상을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비공개 처리했다. 김수현은 2012년부터 2015년까지 '비욘드'의 모델로 활동했으며, 이번 논란으로 인해 그와 관련된 광고 콘텐츠가 삭제된 것으로 보인다.

 

이번 의혹은 김수현의 향후 연예계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그가 출연 중인 프로그램과 광고, 그리고 차기 작품의 공개 여부 등 모든 활동이 불투명한 상황에 놓였다.

 

당신이 다니는 회사는 '천국'인가 '지옥'인가... 대기업 육아휴직 사용률 70배 차이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국내 매출액 기준 100대 기업 중 육아지원제도를 공시한 83개 기업을 대상으로 육아휴직 현황을 조사한 결과, 기업 간 극심한 양극화가 드러났다.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육아휴직 사용자 수 1위는 삼성전자로 무려 4,892명이 육아휴직을 사용했다. 이는 국내 대기업 중 단연 최고 수준이다. 삼성전자에 이어 기업은행(1,391명), LG디스플레이(1,299명), 한국전력공사(1,004명)가 뒤를 이었다. 특히 상위 4개 기업만이 육아휴직 사용자 1,000명 이상을 기록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5위부터 10위까지는 한국수력원자력(758명), SK하이닉스(756명), 현대자동차(639명), 국민은행(562명), 대한항공(547명), LG전자(534명)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두산밥캣은 육아휴직 사용자가 고작 5명에 그쳐 조사 대상 기업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전년 대비 육아휴직 사용자 증가 폭을 살펴보면, 역시 삼성전자가 422명 증가해 1위를 차지했다. 한국전력공사(280명 증가), CJ제일제당(86명 증가), 우리은행(75명 증가), LG에너지솔루션(71명 증가)이 그 뒤를 이었다. 이들 기업은 육아휴직 문화가 점차 정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더욱 충격적인 것은 육아휴직 사용률 격차다. 롯데쇼핑은 지난해 80%의 육아휴직 사용률을 기록하며 3년 연속 80% 이상의 높은 사용률을 유지했다.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77.3%),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72.9%), 기업은행(64.5%)도 상당히 높은 사용률을 보였다.그러나 SK에코플랜트의 경우 육아휴직 사용률이 고작 1.2%에 불과해 충격을 주고 있다. 더욱 심각한 것은 이 수치가 3년 연속 1%대에 머물러 있다는 점이다. 한온시스템(4.2%), 현대건설(6.7%), 현대엔지니어링(7.0%) 등도 10% 미만의 저조한 사용률을 기록했다.업종별로 살펴보면, 금융권과 유통업계가 상대적으로 육아휴직 사용률이 높은 반면, 건설·엔지니어링·중공업 분야는 사용률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업종별 근무 환경과 기업 문화의 차이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전문가들은 "육아휴직 사용률이 낮은 기업들은 여전히 남성 중심적 조직 문화와 업무 공백에 대한 부담이 크다"며 "정부 차원의 강력한 제도적 지원과 기업 문화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특히 SK에코플랜트와 같이 3년 연속 1%대의 극히 저조한 사용률을 보이는 기업들에 대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개선 노력이 요구된다. 반면, 롯데쇼핑처럼 80%대의 높은 사용률을 유지하는 기업들의 사례는 다른 기업들에게 좋은 본보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결국 이번 조사 결과는 국내 대기업들 사이에서도 육아휴직 문화의 정착 정도가 천차만별이며, 여전히 많은 기업들이 일·가정 양립 문화 조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