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가오팡제, 안세영의 스매시 앞에 '무너졌다’ 전영오픈 첫 승

 ‘배드민턴 여제’ 안세영(23·삼성생명)의 기세는 거침없었다. 메이저 대회인 전영오픈에서 2년 만의 정상 탈환을 향해 첫 발을 내디뎠다. 

 

세계 랭킹 1위 안세영은 12일(현지 시간) 영국 버밍엄에서 열린 2025 세계배드민턴연맹(BWF) 전영오픈(슈퍼1000) 여자단식 32강전에서 중국의 가오팡제(17위)를 2-0(21-16, 21-14)으로 꺾었다. 이를 통해 안세영은 2년 만의 전영오픈 우승 도전의 서막을 열었으며, 올해 출전한 국제대회 4회 연속 우승을 향한 첫 발을 내딛었다. 또한, 올해 15경기 연속 무패 행진도 이어갔다.

 

가오팡제와의 상대 전적은 안세영이 4전 4승으로 압도적 우위를 지켰다. 안세영은 첫 단추를 무난히 잘 끼운 후, 16강에서 랭킹 33위의 커스티 길모어(스코틀랜드)와 맞붙게 된다. 

 

전영오픈은 1899년에 시작되어 126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세계 최고의 배드민턴 대회로, 안세영은 2년 전 이 대회에서 방수현 이후 27년 만에 우승을 달성하며 '월드 클래스'로 자리매김했다. 앞서 지난해에는 준결승에서 일본의 야마구치 아카네에게 1-2로 패해 2연속 우승에는 실패했지만, 이번 대회에서는 2년 만의 정상 탈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가오팡제는 안세영이 사흘 전 열린 오를레앙 마스터스 4강전에서 맞붙은 상대다. 당시 안세영은 13경기 연속 무실세트 승리를 거두고 있었지만, 가오팡제에게 첫 세트를 듀스 끝에 20-22로 내줬다. 하지만 이후 2·3세트를 차지하며 2-1로 역전승을 거뒀고, 결승에서는 라이벌 천위페이를 꺾고 우승컵을 들어올리고 전영오픈에 먼저 나섰다.

 

32강에서 맞붙은 가오팡제와의 경기에서는 안세영이 첫 세트 중반까지 접전을 펼쳤으나, 14-12에서 절묘한 수비로 점수를 쌓은 뒤, 코너를 찌르는 샷을 연달아 성공시키며 20-12까지 달아났다. 가오팡제는 막판에 4점을 따내며 추격했지만, 안세영은 더 이상 추가점을 허용하지 않고 세트를 마무리했다.

 

두 번째 세트에서도 안세영의 뛰어난 기술이 돋보였다. 초반에 코트 구석을 노리는 절묘한 샷을 이어가며 2-2에서 5연속 득점을 기록했다. 특히 6-2에서 가오팡제를 속이는 롱서브에 이은 스매시 공격은 안세영의 노련함과 치밀한 경기운영을 엿볼 수 있는 장면이었다. 세트 중반 이후에도 스피드와 기술, 집중력을 잃지 않은 안세영은 결국 추격을 허용하지 않고 승리를 거두며 2세트를 21-14로 마무리했다.

 

안세영은 이번 대회를 통해 2년 만의 전영오픈 정상 탈환과 국제대회 4회 연속 우승을 향한 순조로운 출발을 알렸다. 이어지는 경기에서도 뛰어난 경기력을 보여주며, 다시 한 번 배드민턴계의 여제로서 존재감을 확실히 다지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16강에서도 안세영의 위대한 여정이 계속될 것으로 기대된다.

 

단순 라면인 줄 알았더니…소스·스낵까지 ‘불닭 맛’으로 100개국 정복한 삼양의 소름 돋는 전략

 'K-스파이시'의 대명사가 된 삼양식품의 '불닭볶음면'이 전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으며 경이로운 기록을 세웠다. 2012년 첫선을 보인 이래, 불닭 시리즈의 전 세계 누적 판매량이 80억 개를 돌파한 것이다. 이는 지구촌 전체 인구인 82억 명에 육박하는 엄청난 수치로, 사실상 전 세계 모든 사람이 불닭볶음면을 한 번씩 맛본 것과 다름없는 규모다. 단순한 식품을 넘어 하나의 문화 현상으로 자리 잡은 불닭의 위상을 실감하게 하는 대목이다.이러한 폭발적인 성장의 중심에는 해외 시장에서의 뜨거운 반응이 있었다. 국내 출시 초기 마니아층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던 불닭볶음면은 유튜브 등 소셜미디어를 통해 '파이어 누들 챌린지(Fire Noodle Challenge)'가 전 세계적으로 유행처럼 번지면서 인지도와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다. 그 결과, 2023년 누적 판매량 50억 개를 달성한 데 이어 불과 1년 만인 2024년 70억 개, 그리고 다시 반년 만에 80억 개라는 기념비적인 판매고를 올리는 기염을 토했다. 현재 미국과 중국, 동남아시아는 물론, 매운맛에 익숙하지 않은 유럽 시장까지 뚫으며 전 세계 100여 개국에 'K-매운맛'의 위력을 떨치고 있다.이러한 성공 뒤에는 철저한 '현지화(Localization)' 전략이 있었다. 삼양식품은 각 국가의 문화와 소비자 입맛을 면밀히 분석하여 제품, 유통,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 이르는 모든 영역에서 현지 맞춤형 전략을 구사했다. 단순히 매운맛을 수출하는 것을 넘어, 현지인들이 거부감 없이 즐길 수 있는 새로운 맛을 개발하고 현지 유통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글로벌 확장성의 단단한 기반을 다졌다. 또한, 라면에만 국한하지 않고 불닭의 상징적인 매운맛을 소스, 스낵, 간편식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확장하며 소비자들의 선택지를 넓힌 것도 주효했다. 특히 '불닭 소스'는 그 자체로 하나의 독립된 상품으로 인정받아 전 세계 50여 개국에 수출되며, 국내외 외식 브랜드 및 리테일 상품과의 협업을 통해 '불닭'이라는 브랜드를 하나의 강력한 맛의 플랫폼으로 격상시켰다. 삼양식품은 여기서 멈추지 않고, 급증하는 글로벌 수요에 안정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밀양 1, 2공장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아 생산 역량을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불닭볶음면이 써 내려가는 'K-푸드'의 신화는 이제부터가 진짜 시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