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모아

토스트에 바른 버터가 당신의 수명을 갉아먹는다!

 우리 식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버터가 암 사망 위험을 크게 높인다는 충격적인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고소한 풍미로 많은 사람들이 애용하는 버터가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이 50년에 걸친 대규모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것이다.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미국 하버드 의과대학 연구팀은 약 22만1000명의 참가자를 50년간 추적 관찰하는 대규모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의 식습관을 설문지를 통해 분석했으며, 연구 기간 동안 총 5만932명이 사망했다. 이 중 1만2241명은 암으로, 1만1240명은 심장병으로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 결과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점은 버터 섭취량과 암 사망률 간의 명확한 상관관계였다. 매일 버터 섭취량을 10g씩 늘릴 때마다 암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무려 12%나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10g은 약 티스푼 2개 분량으로, 토스트 한 조각에 바르는 양과 비슷하다.

 

연구팀은 이러한 위험성의 원인으로 버터에 함유된 포화 지방과 트랜스 지방을 지목했다. 이러한 지방은 체내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고 지방 축적을 촉진해 혈관을 좁히며 체중 증가를 유발한다. 결과적으로 암과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버터 대신 식물성 기름을 섭취하면 사망 위험이 약 20%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식물성 기름 섭취량을 하루 10g씩 늘릴 때마다 암 사망 위험은 11%, 심장질환 사망 위험은 6%씩 각각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다.

 


연구팀은 올리브오일, 카놀라유, 해바라기유 등 식물성 기름에 풍부하게 함유된 불포화지방이 체내 염증을 줄이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개선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건강상의 이점이 암과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낮추는 데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영국 킹스칼리지런던의 톰 샌더스 영양학 교수는 "버터를 식물성 기름으로 대체하는 작은 변화만으로도 건강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며 "일상 식단에서 버터 섭취량을 가급적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식습관의 작은 변화가 장기적인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특히 50년이라는 긴 추적 기간을 통해 신뢰성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연구팀은 "버터를 완전히 배제할 필요는 없지만, 가능한 한 식물성 기름으로 대체하는 것이 건강에 유리하다"고 조언했다.

 

영양 전문가들은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일상적인 식습관 개선을 위한 몇 가지 실천 방안을 제시했다. 요리할 때 버터 대신 올리브오일이나 카놀라유를 사용하고, 빵에 버터 대신 아보카도를 발라 먹거나 견과류 버터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유제품 중에서도 저지방 제품을 선택하고, 포화지방이 적은 식물성 단백질 섭취를 늘리는 것이 권장된다.

 

이번 연구는 식품 선택이 단순한 맛의 문제를 넘어 생명과 직결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경고로, 소비자들의 현명한 식품 선택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우고 있다.

 

당신이 다니는 회사는 '천국'인가 '지옥'인가... 대기업 육아휴직 사용률 70배 차이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국내 매출액 기준 100대 기업 중 육아지원제도를 공시한 83개 기업을 대상으로 육아휴직 현황을 조사한 결과, 기업 간 극심한 양극화가 드러났다.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육아휴직 사용자 수 1위는 삼성전자로 무려 4,892명이 육아휴직을 사용했다. 이는 국내 대기업 중 단연 최고 수준이다. 삼성전자에 이어 기업은행(1,391명), LG디스플레이(1,299명), 한국전력공사(1,004명)가 뒤를 이었다. 특히 상위 4개 기업만이 육아휴직 사용자 1,000명 이상을 기록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5위부터 10위까지는 한국수력원자력(758명), SK하이닉스(756명), 현대자동차(639명), 국민은행(562명), 대한항공(547명), LG전자(534명)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두산밥캣은 육아휴직 사용자가 고작 5명에 그쳐 조사 대상 기업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전년 대비 육아휴직 사용자 증가 폭을 살펴보면, 역시 삼성전자가 422명 증가해 1위를 차지했다. 한국전력공사(280명 증가), CJ제일제당(86명 증가), 우리은행(75명 증가), LG에너지솔루션(71명 증가)이 그 뒤를 이었다. 이들 기업은 육아휴직 문화가 점차 정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더욱 충격적인 것은 육아휴직 사용률 격차다. 롯데쇼핑은 지난해 80%의 육아휴직 사용률을 기록하며 3년 연속 80% 이상의 높은 사용률을 유지했다.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77.3%),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72.9%), 기업은행(64.5%)도 상당히 높은 사용률을 보였다.그러나 SK에코플랜트의 경우 육아휴직 사용률이 고작 1.2%에 불과해 충격을 주고 있다. 더욱 심각한 것은 이 수치가 3년 연속 1%대에 머물러 있다는 점이다. 한온시스템(4.2%), 현대건설(6.7%), 현대엔지니어링(7.0%) 등도 10% 미만의 저조한 사용률을 기록했다.업종별로 살펴보면, 금융권과 유통업계가 상대적으로 육아휴직 사용률이 높은 반면, 건설·엔지니어링·중공업 분야는 사용률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업종별 근무 환경과 기업 문화의 차이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전문가들은 "육아휴직 사용률이 낮은 기업들은 여전히 남성 중심적 조직 문화와 업무 공백에 대한 부담이 크다"며 "정부 차원의 강력한 제도적 지원과 기업 문화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특히 SK에코플랜트와 같이 3년 연속 1%대의 극히 저조한 사용률을 보이는 기업들에 대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개선 노력이 요구된다. 반면, 롯데쇼핑처럼 80%대의 높은 사용률을 유지하는 기업들의 사례는 다른 기업들에게 좋은 본보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결국 이번 조사 결과는 국내 대기업들 사이에서도 육아휴직 문화의 정착 정도가 천차만별이며, 여전히 많은 기업들이 일·가정 양립 문화 조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