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콧대 높던' 골프 명품 브랜드들, 결국 무릎 꿇었다... 업계 관계자 '최악의 시즌'

 한국 골프 시장은 2022년 전례 없는 호황을 누렸다. 코로나19 이후 야외활동 수요가 급증하고 MZ세대의 골프 열풍이 더해지면서 전국 골프장은 예약 전쟁을 방불케 했다. 이 시기 골프 패션 역시 전성기를 맞았고, 프리미엄 골프 의류 브랜드들은 '노세일' 정책을 고수하며 승승장구했다.

 

하지만 2023년부터 상황이 급변했다. 전국 골프장 이용객 수는 전년 대비 5.7% 감소하며 정점을 지났음을 알렸다. 국내 골프웨어 시장 규모도 2023년 3조7500억원에서 2024년 3조4500억원으로 축소됐다. 이는 3000억원 규모의 시장이 단 1년 만에 증발한 셈이다.

 

골프 인구 감소는 골프 의류 브랜드들에게 직격탄이 됐다. 한세엠케이는 주력 골프 사업인 LPGA와 PGA 매장을 28개에서 20개로 대폭 줄였다. 더 충격적인 것은 대기업들의 신규 브랜드 철수다. 삼성물산 패션부문의 '메종키츠네 골프'와 LF의 '랜덤골프클럽'은 론칭 1년 만에 시장에서 완전히 철수하는 쓰라린 결정을 내렸다.

 

업계에서는 3월이 매우 중요한 시기로 꼽힌다. 봄맞이 라운딩을 준비하는 골퍼들이 본격적으로 골프웨어를 구매하기 시작하는 달로, 이 시기의 매출 추이가 한 해 사업 성패를 가늠하는 바로미터가 되기 때문이다. 문제는 경기 침체로 소비자들의 '가성비 소비' 성향이 강해지면서 고가 골프 의류 브랜드들의 입지가 크게 흔들리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골프 의류 브랜드들은 살아남기 위한 전략으로 대대적인 할인에 돌입했다. 특히 주목할 점은 그동안 할인을 거의 하지 않던 '콧대 높은' 프리미엄 브랜드들도 할인 전쟁에 뛰어들었다는 것이다. 롯데아울렛은 3월 13일부터 26일까지 '골프 슈퍼위크'를 전국 아울렛에서 개최하며, PXG, 타이틀리스트, 지포어, 마크앤로나 등 프리미엄 골프 브랜드들도 이례적으로 행사에 참여한다. 이들은 호황기에는 철저히 노세일 정책을 고수하던 브랜드들이다.

 


현대프리미엄아울렛의 일부 지포어 매장도 기본 할인에 추가 할인 프로모션을 더하는 파격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신세계 프리미엄 아울렛 역시 골프 브랜드의 할인폭을 대폭 확대했다. 타이틀리스트는 재고 상품 40% 할인에 20% 추가 할인을 더했고, PXG도 지난 시즌 재고 할인 폭을 키웠다. 말본골프는 23 봄겨울 상품을 30% 가까이 할인했으며, 파리게이츠는 더 과감하게 2022년 상품을 최대 70%까지 할인 판매 중이다.

 

이러한 대대적인 할인은 그동안 쌓인 재고를 소진하려는 골프 브랜드들의 절박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업계 전문가들은 할인폭이 커졌음에도 불구하고 골프 의류가 예전의 판매량을 회복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한다.

 

근본적인 문제는 골프장 그린피 가격이 여전히 높은 상황에서 경제적 여력이 줄어든 MZ세대가 골프를 지속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또한 중장기적으로는 골프의 주요 소비층이었던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하면서 소득이 감소하고, 자연스레 골프 활동을 줄일 수밖에 없다는 구조적 문제도 존재한다.

 

패션업계에서는 이러한 추세가 일시적인 현상이 아닌 장기적 침체의 신호로 보고, 골프 의류 브랜드들의 대대적인 구조조정 시기가 다가오고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한때 '돈 주고도 못 사는' 프리미엄 골프 브랜드들의 할인 경쟁은 골프 패션 시장의 거품이 빠지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주는 증거라 할 수 있다.

 

당신이 다니는 회사는 '천국'인가 '지옥'인가... 대기업 육아휴직 사용률 70배 차이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국내 매출액 기준 100대 기업 중 육아지원제도를 공시한 83개 기업을 대상으로 육아휴직 현황을 조사한 결과, 기업 간 극심한 양극화가 드러났다.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육아휴직 사용자 수 1위는 삼성전자로 무려 4,892명이 육아휴직을 사용했다. 이는 국내 대기업 중 단연 최고 수준이다. 삼성전자에 이어 기업은행(1,391명), LG디스플레이(1,299명), 한국전력공사(1,004명)가 뒤를 이었다. 특히 상위 4개 기업만이 육아휴직 사용자 1,000명 이상을 기록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5위부터 10위까지는 한국수력원자력(758명), SK하이닉스(756명), 현대자동차(639명), 국민은행(562명), 대한항공(547명), LG전자(534명)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두산밥캣은 육아휴직 사용자가 고작 5명에 그쳐 조사 대상 기업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전년 대비 육아휴직 사용자 증가 폭을 살펴보면, 역시 삼성전자가 422명 증가해 1위를 차지했다. 한국전력공사(280명 증가), CJ제일제당(86명 증가), 우리은행(75명 증가), LG에너지솔루션(71명 증가)이 그 뒤를 이었다. 이들 기업은 육아휴직 문화가 점차 정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더욱 충격적인 것은 육아휴직 사용률 격차다. 롯데쇼핑은 지난해 80%의 육아휴직 사용률을 기록하며 3년 연속 80% 이상의 높은 사용률을 유지했다.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77.3%),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72.9%), 기업은행(64.5%)도 상당히 높은 사용률을 보였다.그러나 SK에코플랜트의 경우 육아휴직 사용률이 고작 1.2%에 불과해 충격을 주고 있다. 더욱 심각한 것은 이 수치가 3년 연속 1%대에 머물러 있다는 점이다. 한온시스템(4.2%), 현대건설(6.7%), 현대엔지니어링(7.0%) 등도 10% 미만의 저조한 사용률을 기록했다.업종별로 살펴보면, 금융권과 유통업계가 상대적으로 육아휴직 사용률이 높은 반면, 건설·엔지니어링·중공업 분야는 사용률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업종별 근무 환경과 기업 문화의 차이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전문가들은 "육아휴직 사용률이 낮은 기업들은 여전히 남성 중심적 조직 문화와 업무 공백에 대한 부담이 크다"며 "정부 차원의 강력한 제도적 지원과 기업 문화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특히 SK에코플랜트와 같이 3년 연속 1%대의 극히 저조한 사용률을 보이는 기업들에 대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개선 노력이 요구된다. 반면, 롯데쇼핑처럼 80%대의 높은 사용률을 유지하는 기업들의 사례는 다른 기업들에게 좋은 본보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결국 이번 조사 결과는 국내 대기업들 사이에서도 육아휴직 문화의 정착 정도가 천차만별이며, 여전히 많은 기업들이 일·가정 양립 문화 조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