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콧대 높던' 골프 명품 브랜드들, 결국 무릎 꿇었다... 업계 관계자 '최악의 시즌'

 한국 골프 시장은 2022년 전례 없는 호황을 누렸다. 코로나19 이후 야외활동 수요가 급증하고 MZ세대의 골프 열풍이 더해지면서 전국 골프장은 예약 전쟁을 방불케 했다. 이 시기 골프 패션 역시 전성기를 맞았고, 프리미엄 골프 의류 브랜드들은 '노세일' 정책을 고수하며 승승장구했다.

 

하지만 2023년부터 상황이 급변했다. 전국 골프장 이용객 수는 전년 대비 5.7% 감소하며 정점을 지났음을 알렸다. 국내 골프웨어 시장 규모도 2023년 3조7500억원에서 2024년 3조4500억원으로 축소됐다. 이는 3000억원 규모의 시장이 단 1년 만에 증발한 셈이다.

 

골프 인구 감소는 골프 의류 브랜드들에게 직격탄이 됐다. 한세엠케이는 주력 골프 사업인 LPGA와 PGA 매장을 28개에서 20개로 대폭 줄였다. 더 충격적인 것은 대기업들의 신규 브랜드 철수다. 삼성물산 패션부문의 '메종키츠네 골프'와 LF의 '랜덤골프클럽'은 론칭 1년 만에 시장에서 완전히 철수하는 쓰라린 결정을 내렸다.

 

업계에서는 3월이 매우 중요한 시기로 꼽힌다. 봄맞이 라운딩을 준비하는 골퍼들이 본격적으로 골프웨어를 구매하기 시작하는 달로, 이 시기의 매출 추이가 한 해 사업 성패를 가늠하는 바로미터가 되기 때문이다. 문제는 경기 침체로 소비자들의 '가성비 소비' 성향이 강해지면서 고가 골프 의류 브랜드들의 입지가 크게 흔들리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골프 의류 브랜드들은 살아남기 위한 전략으로 대대적인 할인에 돌입했다. 특히 주목할 점은 그동안 할인을 거의 하지 않던 '콧대 높은' 프리미엄 브랜드들도 할인 전쟁에 뛰어들었다는 것이다. 롯데아울렛은 3월 13일부터 26일까지 '골프 슈퍼위크'를 전국 아울렛에서 개최하며, PXG, 타이틀리스트, 지포어, 마크앤로나 등 프리미엄 골프 브랜드들도 이례적으로 행사에 참여한다. 이들은 호황기에는 철저히 노세일 정책을 고수하던 브랜드들이다.

 


현대프리미엄아울렛의 일부 지포어 매장도 기본 할인에 추가 할인 프로모션을 더하는 파격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신세계 프리미엄 아울렛 역시 골프 브랜드의 할인폭을 대폭 확대했다. 타이틀리스트는 재고 상품 40% 할인에 20% 추가 할인을 더했고, PXG도 지난 시즌 재고 할인 폭을 키웠다. 말본골프는 23 봄겨울 상품을 30% 가까이 할인했으며, 파리게이츠는 더 과감하게 2022년 상품을 최대 70%까지 할인 판매 중이다.

 

이러한 대대적인 할인은 그동안 쌓인 재고를 소진하려는 골프 브랜드들의 절박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업계 전문가들은 할인폭이 커졌음에도 불구하고 골프 의류가 예전의 판매량을 회복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한다.

 

근본적인 문제는 골프장 그린피 가격이 여전히 높은 상황에서 경제적 여력이 줄어든 MZ세대가 골프를 지속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또한 중장기적으로는 골프의 주요 소비층이었던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하면서 소득이 감소하고, 자연스레 골프 활동을 줄일 수밖에 없다는 구조적 문제도 존재한다.

 

패션업계에서는 이러한 추세가 일시적인 현상이 아닌 장기적 침체의 신호로 보고, 골프 의류 브랜드들의 대대적인 구조조정 시기가 다가오고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한때 '돈 주고도 못 사는' 프리미엄 골프 브랜드들의 할인 경쟁은 골프 패션 시장의 거품이 빠지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주는 증거라 할 수 있다.

 

헌재 판결 D-3..尹 침묵 "차분히 결정 기다리겠다"

윤석열 대통령의 정치적 운명이 이번 주 결정된다. 헌법재판소는 오는 4일 오전 11시 대심판정에서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 사건에 대한 선고를 내릴 예정이다. 이는 국회에서 탄핵소추안이 통과된 지 111일 만이며, 변론이 종결된 후 38일 만이다. 탄핵심판 결과에 따라 윤 대통령은 직무에 복귀하거나 파면될 수 있어 정치권과 국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대통령실은 헌재의 선고 일정 발표 후 "기존 입장과 마찬가지로 차분하게 헌재의 결정을 기다릴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윤 대통령도 한남동 관저에서 외부 활동을 최소화한 채 칩거하고 있으며, 독서와 산책, 형사재판 대응 등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식적인 정치적 메시지는 자제하고 있으나, 일부 참모진과 변호인단, 국민의힘 의원들을 통해 간접적인 메시지가 전해지고 있다. 그동안 윤 대통령이 공식적으로 내놓은 메시지는 지지자들에게 단식 중단을 요청하거나, 영남권 대형 산불 피해자들에게 위로를 전하는 등 비정치적 성격을 띠었다.헌법재판소의 선고가 늦어진 이유로는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렸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대통령실 내부에서는 탄핵이 기각되거나 각하될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도 감지된다. 대통령실은 정진석 비서실장 주재로 수석비서관 회의를 열고, 3월 수출입 동향과 미국 무역대표부(USTR)의 ‘무역장벽 보고서’ 등 주요 현안을 논의하며, 윤 대통령이 직무에 복귀할 경우를 대비해 국정 운영을 재개할 준비를 하고 있다. 탄핵심판에서 윤 대통령이 직무에 복귀하려면 헌법재판관 8명 중 최소 3명이 탄핵소추안을 기각하거나 각하해야 한다. 만약 복귀가 결정되면, 윤 대통령은 곧바로 대국민 담화를 통해 '국민 통합' 메시지를 발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2월 25일 헌재 탄핵심판 최후 진술에서 윤 대통령은 "직무에 복귀하게 된다면 잔여 임기에 연연하지 않고 개헌과 정치 개혁을 마지막 사명으로 삼겠다"고 밝혔다. 또한 "87년 체제를 개선하는 데 최선을 다하고, 국민의 뜻을 모아 조속히 개헌을 추진하겠다"며 "개헌과 정치개혁을 통해 국민 통합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반면, 헌법재판관 8명 중 6명 이상이 탄핵 인용 결정을 내릴 경우, 윤 대통령은 즉시 파면된다. 대통령이 파면될 경우, 헌법에 따라 60일 이내에 대통령 선거가 실시된다. 헌법 제68조는 "대통령이 궐위된 때 또는 대통령 당선자가 사망하거나 판결 기타 사유로 그 자격을 상실한 때에는 60일 이내에 후임자를 선거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조기 대선은 5월 말이나 6월 초에 치러질 가능성이 높다.헌법재판소는 탄핵심판 선고 과정을 실시간으로 생중계할 예정이다. 일반인 방청도 허용되며, 국민들은 직접 선고 과정을 지켜볼 수 있게 된다. 다만, 윤 대통령이 직접 심판정에 출석할지는 불투명하다. 일부에서는 윤 대통령이 선고일에 법정에 출석할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으나, 대통령 대리인단은 "아직 결정된 바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법적으로 탄핵심판 선고일에 당사자가 출석할 의무는 없으며, 과거 노무현·박근혜 전 대통령 역시 선고일에 출석하지 않았다.이번 탄핵심판 결과에 따라 한국 정치의 향방이 크게 달라질 전망이다. 윤 대통령이 복귀할 경우 국정 운영 정상화와 개헌 추진 등이 핵심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반면 탄핵이 인용되면 조기 대선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정치권이 극심한 혼란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 정치권과 국민들은 헌재의 결정을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이번 주 한국 정치의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