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블

새 단장 마친 해양박물관..'바다여행' 상설전시

부산 영도에 위치한 국립해양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이 새롭게 단장하여 10일 오후 2시부터 일반에 공개된다. 어린이박물관은 2012년 국립해양박물관 개관 이래 지역 주민과 관광객들로부터 꾸준한 사랑을 받아온 공간으로, 이번 개편을 통해 어린이와 가족들이 바다와 해양 문화에 대한 호기심을 키울 수 있도록 다양한 전시와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하게 되었다. 이번 개편은 박물관 개관 10주년을 맞은 2022년부터 시작된 대규모 시설 개선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어린이박물관은 2023년부터 약 1년간의 준비 기간을 거쳐 새롭게 단장되었다.

 

어린이박물관의 상설전시 주제는 "타임머신 타고 떠나는 바다 여행"으로, 이 전시는 바다의 과거, 현재, 미래를 탐험하며 해양 문화유산을 직접 보고, 만지고, 느끼면서 바다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하고, 해양 환경의 중요성에 대해 배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시는 크게 세 가지 소주제로 나뉘어 있으며, 각 소주제마다 어린이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소주제인 "바다로 모험을 떠나요"는 어린이들이 바다 탐험가가 되어 미지의 바다를 탐험하는 시간을 제공한다. 이곳에서는 바다 속 괴물 이야기와 함께 항해 도구를 체험하고, 바다의 다양한 생물과 환경에 대한 상상을 자극할 수 있는 체험 활동이 마련되어 있다. 어린이들이 바다 탐험을 통해 자연스럽게 해양 환경에 대한 관심과 궁금증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다.

 

두 번째 소주제인 "바다와 더불어 살아요"는 바다의 소리, 색, 냄새 등 다양한 감각 체험을 통해 어린이들이 바다와의 관계를 이해하도록 돕는다. 이 구역에서는 바다에 서식하는 다양한 생물들과 그들의 삶의 방식을 배우고, 바다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는 전시가 진행된다. 또한, 자랑스러운 해양문화유산을 소개하며, 바다를 보호하고 사랑하는 마음을 심어주는 다양한 교육적인 활동들이 준비되어 있다. 세 번째 소주제인 "바다로 내일을 꿈꿔요"는 미래의 바다를 상상하는 전시로, 해저 도시를 통해 미래의 바다 환경과 생활 방식을 탐험한다. 이 구역에서는 해양 생물 보호, 기후 변화 대응, 해양 환경 보전 등의 활동을 통해 어린이들이 해양 환경의 중요성을 직접 체험하고 배우는 기회를 제공한다. 미래 바다의 가능성에 대해 생각하며, 환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보는 활동들이 돋보인다.

 

이번 개편의 또 다른 중요한 변화는 5세 이하 어린이를 위한 유아 공간 '섬마을 놀이터'의 도입이다. 이 공간은 발달에 도움이 되는 신체 활동 놀이물과 감각 체험물이 준비되어 있어, 유아들도 바다와 해양 문화에 대해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유아들은 다양한 감각 체험을 통해 바다와 관련된 여러 경험을 쌓을 수 있으며, 놀이와 학습을 동시에 즐길 수 있다. '섬마을 놀이터'는 유아들이 안전하고 즐겁게 놀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어린이박물관 방문객들은 이 공간을 별도의 예약 없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어린이박물관은 평일에는 5회, 주말과 공휴일에는 6회 사전 예약제로 운영된다. 예약은 국립해양박물관 공식 웹사이트(www.mmk.or.kr)에서 가능하며, 유아 공간 '섬마을 놀이터'는 별도의 예약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예약제로 운영되는 시스템을 통해 관람객들은 보다 쾌적하고 편안한 환경에서 전시를 관람할 수 있으며, 동시에 인원 수를 관리하여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다. 또한, 이번 어린이박물관 재개관을 기념해 11일부터 15일까지 다채로운 문화행사가 진행된다. 이 기간 동안 어린이박물관을 방문하는 가족들은 특별해설, 체험 프로그램, 공연 등 다양한 이벤트를 즐길 수 있다. 어린이들이 바다에 대해 더욱 깊이 배우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바다의 소중함과 해양 환경 보호의 필요성에 대해 어린이들에게 교육적인 메시지를 전달할 예정이다.

 

해양수산부 강도형 장관은 이번 재개관을 맞아 "국립해양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을 통해 우리 아이들이 바다의 소중함을 배우고, 해양에 대한 꿈과 호기심을 키워나가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또한, 어린이박물관은 해양 환경의 중요성과 함께 미래의 해양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할 수 있는 공간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립해양박물관은 어린이박물관의 개편을 통해 어린이들에게 해양 환경과 문화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며, 미래 세대의 환경 의식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해양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은 이번 개편을 통해 교육적 가치와 즐거운 체험을 동시에 제공하며, 가족 단위 방문객들에게 큰 인기를 끌 것으로 예상된다. 아이들은 다양한 전시와 체험 활동을 통해 바다와 해양 문화에 대한 이해를 깊이 있게 키울 수 있으며, 이와 함께 미래 세대가 바다를 보호하는 데 필요한 책임감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힘' 뺀 국군의 날? 이재명 정부, '간소화'로 던진 안보 메시지

 이재명 정부 첫 국군의 날 행사는 윤석열 정부와 달리 대폭 간소화된 모습으로 진행됐다. 2년 연속 서울 도심에서 열렸던 시가행진은 생략됐고, 병력, 장비, 예산도 작년보다 현저히 감소했다. 이는 군사력 강조보다 남북 긴장 완화와 신뢰 구축을 지향하는 현 정부의 안보관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1일 계룡대 연병장에서 열린 건군 77주년 행사에는 998명의 병력이 참여, 지난해 5천여 명의 5분의 1 규모였다. K2전차, 무인잠수정, F-35A 등 장비 약 40종 100여 대가 참가해, 작년 83종 340여 대 대비 크게 줄었다. 예산도 작년 72억 원의 3분의 1 수준인 27억 원이 투입됐다. 행사기획단은 "간결하게 하겠다는 의지"라고 전했다.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도심 시가행진의 생략이다. 윤석열 정부는 2023년 10년 만에 시가행진을 재개, 지난해에도 2년 연속 도심 시가행진을 벌이며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국민 참여를 독려했다. 통상 5년 주기 시가행진이 2년 연속 열린 것은 전두환 정권 이후 40년 만이었다. 기획단은 시가행진이 기획 단계부터 배제됐다고 설명했다.'국민과 함께하는 선진강국' 슬로건 아래 민군 통합 태권도 시범, 합동 전통악 공연이 진행됐다. 주요 부대 열병식, 회전익·고정익 편대비행, 블랙이글스 고난도 비행이 이어졌고, K9 자주포, K2 전차 등 주요 무기체계가 전시됐다.기념식에서는 '채상병 사건' 수사로 알려진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이 헌법적 가치 수호 유공으로 보국훈장 삼일장을 수여받았다. 강병국 육군 상사, 김경철 해군본부 정보작전참모부장(소장), 박지원 공군본부 정책관리과장(대령) 등도 포상받았으며, 육군 제6보병사단 등 4개 부대도 대통령 부대표창을 받았다.올해 총지휘는 비육사 출신 최장식 육군 소장(학군 30기)이 맡아, 문재인 정부 이후 7년 만의 비육사 출신 제병지휘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