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봉준호 감독 '미키 17' 북미 1위 했지만... 충격적 손실 입었다

 봉준호 감독의 신작 '미키 17'이 북미 박스오피스 정상에 올라 한국 영화계에 새 역사를 썼다. 지난 7일 개봉한 '미키 17'은 주말 사흘간 북미 3,807개 상영관에서 1,910만 달러(약 276억9천만원)의 티켓 수입을 올리며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다고 9일(현지시간) 할리우드 주요 매체인 버라이어티와 데드라인 등이 일제히 보도했다. 한국 감독의 작품이 북미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봉준호 감독은 또 한 번 한국 영화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미키 17'은 북미를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도 선전하고 있다. 북미 외 지역에서 3,420만 달러의 수입을 추가해 전 세계적으로 총 5,330만 달러(약 772억7천만원)의 흥행 수입을 기록했다. 특히 아시아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으며, 유럽에서도 안정적인 수익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 같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영화의 수익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업계에서는 '미키 17'의 개봉 첫 주 북미 수입을 최대 2,000만 달러 수준으로 예상했으나, 실제 수입은 이에 약간 못 미치는 1,910만 달러에 그쳤다. 더욱이 투자배급사 워너브러더스 스튜디오가 투입한 제작비가 1억1,800만 달러(약 1,710억8천만원)에 달해, 현재의 흥행 추세로는 손익분기점 도달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버라이어티는 업계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마케팅 비용으로 8,000만 달러(약 1,160억원)가 추가로 투입된 점을 고려하면, '미키 17'이 극장 개봉 기간 흑자를 내기 위해서는 전 세계에서 약 2억7,500만3억 달러(약 3,987억4,349억원)의 수익을 올려야 한다고 전했다. 이는 현재의 개봉 첫 주 성적을 감안할 때 상당히 도전적인 목표로 평가된다.

 


관객들의 반응도 예상보다는 다소 미온적이다. '미키 17'은 시장조사업체 시네마스코어의 현장 관객 대상 조사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B' 등급을 받았다. 시네마스코어의 영화 등급은 A부터 F까지 매겨지는데, 일반적으로 주요 흥행작들은 대부분 A 등급을 받는 것이 통상적이다. 미국의 영화·드라마 평점 사이트인 로튼토마토에서도 평론가 점수 79%, 일반 관객 점수 73% 수준을 기록하며 봉준호 감독의 전작인 '기생충'(평론가 99%, 관객 90%)에 비해 다소 낮은 평가를 받고 있다.

 

워너브러더스의 글로벌 배급 담당 제프 골드스틴 사장은 "(전 세계 수입) 5,300만 달러로 시작한 것은 좋은 숫자"라면서도 "비용과 비교할 때는 더 도전적이다"라고 언급해 수익성에 대한 우려를 간접적으로 인정했다. 그는 "영화의 품질과 봉준호 감독의 명성을 고려할 때 장기적인 흥행을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미키 17'은 봉준호 감독이 '기생충'으로 아카데미 4관왕을 차지한 이후 처음 선보이는 신작으로, 에드워드 애슈턴의 SF 소설 '미키7'을 원작으로 한다. 영화는 우주 개척 임무 중 죽을 때마다 복제되어 기억을 유지한 채 부활하는 '소모품' 노동자 미키의 이야기를 그린다. 로버트 패틴슨, 스티븐 연, 나오미 아키, 토니 레볼로리 등 할리우드 스타들이 대거 출연해 화제를 모았다.

 

영화계 전문가들은 '미키 17'의 흥행 부진 원인으로 다소 난해한 SF 설정과 철학적 주제를 꼽는다. 한 영화 평론가는 "봉준호 감독 특유의 장르적 실험성과 메시지가 일반 관객들에게는 다소 어렵게 다가갈 수 있다"며 "특히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에 익숙한 북미 관객들에게는 이 영화의 페이스와 톤이 예상과 달랐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개봉 시기도 흥행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6월은 전통적으로 할리우드 여름 블록버스터 시즌이 본격화되는 시기로, '인사이드 아웃 2'와 '배드 보이즈: 라이드 오어 다이' 등 강력한 경쟁작들이 개봉을 앞두고 있어 '미키 17'의 장기 흥행에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봉준호 감독의 국제적 명성과 작품성을 고려할 때 향후 해외 시장에서의 추가 성장 가능성은 여전히 열려있다는 평가다. 특히 아시아 시장에서의 선전과 향후 스트리밍 플랫폼을 통한 2차 수익 창출 등을 통해 손익분기점에 근접할 가능성도 있다.

 

한국 영화계 관계자는 "비록 초반 흥행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지만, 봉준호 감독이 한국 감독으로서 북미 박스오피스 1위라는 전례 없는 기록을 세운 것 자체가 큰 의미가 있다"며 "이는 한국 영화의 글로벌 위상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준 사례"라고 평가했다.

 

"케데헌 효과 실화냐"... 농심 신라면, 애니 한 장면으로 글로벌 대박

 농심이 전 세계적으로 큰 화제를 모으고 있는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와의 특별한 협업을 통해 한정판 라면 제품을 출시한다고 28일 발표했다.이번 협업은 지난 20일부터 시작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농심은 '농심몰'을 통해 애니메이션 속에 등장한 라면 디자인을 그대로 재현한 스페셜 제품을 선보인다. 이 제품은 오는 29일 오전 10시부터 사전 예약을 통해 총 1,000세트 한정으로 판매될 예정이다.'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K팝을 비롯한 다양한 한국 문화를 사실적이고 생동감 있게 그려내어 전 세계 시청자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작품이다. 특히 작품 속에서 주인공 아이돌 그룹 '헌트릭스'의 멤버들이 중요한 공연과 활동을 앞두고 다양한 한국 음식, 특히 K라면을 먹으며 서로 격려하고 의지를 다지는 장면이 인상적으로 그려졌다. 이때 등장한 라면이 농심의 대표 제품인 신라면과 매우 유사한 디자인으로 묘사되면서 국내 팬들 사이에서 "이거 완전 신라면 아니야?"라는 반응과 함께 큰 화제가 되었다.이러한 팬들의 뜨거운 반응에 화답하여 농심은 애니메이션 속 라면과 거의 동일한 디자인의 스페셜 제품을 기획했다. 이번 한정판 제품은 기존 신라면컵을 베이스로 하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세 명의 주인공 캐릭터인 '루미'(RUMI), '미라'(MIRA), '조이'(ZOEY)를 각각 디자인에 적용했다. 각 캐릭터별로 2개씩 구성되어 총 6개입 세트로 판매되며, 팬들이 세 명의 주인공을 모두 소장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농심 측은 단순한 제품 판매에 그치지 않고 구매 고객들을 위한 추가 이벤트도 준비했다. 제품 구매 후 리뷰를 작성한 고객 중 당첨자를 선발하여 농심 선물세트를 증정하는 이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자세한 참여 방법과 이벤트 내용은 농심몰 공식 홈페이지와 농심의 각종 SNS 채널에서 확인할 수 있다.농심 관계자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인기를 끈 이후 농심몰의 개인 맞춤 제작 서비스인 '농꾸'에 해당 애니메이션 관련 디자인 의뢰가 급증했다"며 "이러한 소비자들의 뜨거운 관심에 부응하여 보다 완성도 높은 공식 스페셜 제품을 선보이게 되었다"고 협업 배경을 설명했다. 또한 "이번 스페셜 제품 출시를 시작으로 케이팝 데몬 헌터스 팬들에게 농심 브랜드의 매력을 알릴 수 있는 다양하고 창의적인 마케팅 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나갈 계획"이라고 향후 계획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