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블

꽃 없는 봄축제, 개화 지연에 지역 축제 울상

전라남도 지역의 봄꽃 축제들이 올해 기상 조건으로 인해 예상치 못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늦겨울의 한파가 계속되면서 꽃의 개화 시기가 지연되었고, 이로 인해 일부 축제는 꽃이 피지 않은 채 진행되거나, 개화율이 현저히 낮아 관람객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많은 지자체와 지역 상인들은 예상보다 적은 방문객을 맞이하게 되며, 축제의 경제적 효과가 저조할 것으로 우려된다.

 

광양매화축제는 3월 7일, 광양시 매화마을에서 개막했다. 매화는 전라남도의 대표적인 봄꽃 중 하나로, 광양의 매화마을은 매년 많은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명소로 잘 알려져 있다. 올해 축제는 ‘한국의 봄, 매화마을에서 열다’라는 주제로 다양한 프로그램이 준비되었지만, 3월 7일 현재 매화나무의 개화율은 10%에도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지난해의 경우, 3월 첫째 주 개막 당시 개화율이 30~40%에 달해, 둘째 주에는 만개할 정도로 꽃이 활짝 피었으나, 올해는 기온의 급격한 하락으로 인해 개화가 지연되고 있다. 광양시 관계자는 “꽃이 피면 매화마을은 항상 축제장과 다름없으니 많은 사람들이 찾아와 주기를 바란다”며 축제 기간 동안 꽃이 피는 시점을 기다려줄 것을 당부했다.

 

이와 비슷한 상황은 신안군 임자도에서 열린 홍매화축제에서도 발생했다. 홍매화는 매화보다 더 빨리 피는 봄꽃으로, 신안군은 이를 주제로 한 첫 번째 홍매화축제를 3월 6일부터 9일까지 개최했다. 그러나 개막식에는 약 300명 정도만 방문했으며, 꽃의 개화율은 40% 정도에 불과해 흥행에 차질을 빚었다. 주최 측은 2주 전부터 붉은 방한 비닐을 나무에 씌워 개화율을 높이려 했지만, 날씨에 따라 꽃이 예상보다 늦게 피고 있어 실망감을 주고 있다. 신안군 관계자는 “다음 주에는 꽃이 만개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이번 축제의 방문객 수가 예년과 비교해 낮다는 점에 대해 아쉬움을 나타냈다.

 

순천시 매곡동에서 열리는 탐매축제 역시 기온 변화로 인해 고전하고 있다. 탐매축제는 순천에서 홍매화가 가장 먼저 피는 지역으로 잘 알려져 있으나, 올해는 개화가 늦어져 축제 일정이 두 차례 연기되었다. 결국 3월 8일에 축제가 개최되었으나, 꽃은 여전히 듬성듬성 피어 있어 관람객들의 기대를 채워주기 어려운 상황이다. 순천시 관계자는 더 이상 축제를 연기할 수 없어 진행을 결정했으며, 관람객들에게는 양해를 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 맞물려, 이후에 열리는 다른 봄꽃 축제들의 개화 여부와 관광객 수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구례 산수유꽃 축제는 예년보다 1주일가량 늦은 3월 15일에 개최되며, 영암 왕인문화축제와 진도 신비의 바닷길 축제는 3월 29일에 개막할 예정이다. 특히 구례의 산수유꽃은 봄의 시작을 알리는 대표적인 꽃으로, 꽃이 만개한 모습을 보기 위해 많은 관광객들이 이 시기를 기다리고 있다. 그러나 기상 조건에 따라 이들 축제도 예상보다 개화가 늦어질 수 있어, 방문을 고려하는 이들의 유의가 필요하다.

 

이처럼 올해의 봄꽃 축제들은 예년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대부분의 축제는 자연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지만, 이번 한파로 인해 꽃의 개화 시기가 늦어지면서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걱정된다. 봄철 축제는 지역 경제의 중요한 축으로, 많은 상인들과 주민들이 꽃이 만개하는 시기에 맞춰 관광객을 맞을 준비를 한다. 하지만 꽃이 예상보다 늦게 피고, 개화율이 낮아짐에 따라 축제의 흥행에 차질을 빚게 되며, 상인들의 기대에도 부응하지 못하는 결과가 나올 수 있다.

 

지역 축제는 단순한 문화 행사를 넘어 지역 경제 활성화의 중요한 부분이다. 축제를 통한 관광객 유치와 상인들의 매출 증대가 이루어져야 지역 경제가 활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올해처럼 예기치 않은 날씨 변화는 이러한 기대를 저하시킬 수 있으며, 이에 대해 보다 철저한 대응이 필요하다. 앞으로도 지역 축제들은 기상 조건에 맞춰 유연하게 조정하고, 예기치 못한 상황에도 관광객들이 실망하지 않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전남 지역 봄꽃 축제들은 올해 기후 변화에 큰 영향을 받았지만, 꽃이 피고 난 뒤에는 여전히 매력적인 관광지로 남을 것이다. 지역 주민들과 상인들은 꽃이 만개할 때까지 기다리며, 이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이처럼 자연과의 조화 속에서 축제를 진행하는 것은 언제나 도전적이지만, 그만큼 봄꽃을 즐기려는 사람들에게는 큰 의미가 될 것이다.

 

'힘' 뺀 국군의 날? 이재명 정부, '간소화'로 던진 안보 메시지

 이재명 정부 첫 국군의 날 행사는 윤석열 정부와 달리 대폭 간소화된 모습으로 진행됐다. 2년 연속 서울 도심에서 열렸던 시가행진은 생략됐고, 병력, 장비, 예산도 작년보다 현저히 감소했다. 이는 군사력 강조보다 남북 긴장 완화와 신뢰 구축을 지향하는 현 정부의 안보관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1일 계룡대 연병장에서 열린 건군 77주년 행사에는 998명의 병력이 참여, 지난해 5천여 명의 5분의 1 규모였다. K2전차, 무인잠수정, F-35A 등 장비 약 40종 100여 대가 참가해, 작년 83종 340여 대 대비 크게 줄었다. 예산도 작년 72억 원의 3분의 1 수준인 27억 원이 투입됐다. 행사기획단은 "간결하게 하겠다는 의지"라고 전했다.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도심 시가행진의 생략이다. 윤석열 정부는 2023년 10년 만에 시가행진을 재개, 지난해에도 2년 연속 도심 시가행진을 벌이며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국민 참여를 독려했다. 통상 5년 주기 시가행진이 2년 연속 열린 것은 전두환 정권 이후 40년 만이었다. 기획단은 시가행진이 기획 단계부터 배제됐다고 설명했다.'국민과 함께하는 선진강국' 슬로건 아래 민군 통합 태권도 시범, 합동 전통악 공연이 진행됐다. 주요 부대 열병식, 회전익·고정익 편대비행, 블랙이글스 고난도 비행이 이어졌고, K9 자주포, K2 전차 등 주요 무기체계가 전시됐다.기념식에서는 '채상병 사건' 수사로 알려진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이 헌법적 가치 수호 유공으로 보국훈장 삼일장을 수여받았다. 강병국 육군 상사, 김경철 해군본부 정보작전참모부장(소장), 박지원 공군본부 정책관리과장(대령) 등도 포상받았으며, 육군 제6보병사단 등 4개 부대도 대통령 부대표창을 받았다.올해 총지휘는 비육사 출신 최장식 육군 소장(학군 30기)이 맡아, 문재인 정부 이후 7년 만의 비육사 출신 제병지휘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