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0원부터 시작' 루이비통 한정판 가방…서울옥션, 파격 경매 예고

 미술품 경매 시장의 열기가 뜨거운 가운데, 서울옥션이 오는 28일 강남센터에서 '컨템포러리 아트 세일(Contemporary Art Sale)'을 개최하고 105억 원 규모의 현대미술 작품들을 선보인다. 

 

이우환, 김환기, 박서보 등 한국 근현대미술 거장들의 작품은 물론, 샤라 휴즈, 쿠사마 야요이 등 해외 유명 작가들의 작품과 희귀 럭셔리 아이템까지 총 113점이 출품되어 컬렉터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이번 경매의 하이라이트는 단연 이우환 화백의 200호 대작 '다이알로그(Dialogue)'다. 넓은 화폭에 서로 다른 방향과 흐름으로 찍힌 두 개의 붓터치가 강렬한 긴장감을 자아내는 작품으로, 단순하면서도 역동적인 에너지를 뿜어낸다. 2014년 모스크바 게리 타틴시안 갤러리 개인전 출품 이력도 주목할 만하다.

 

김환기 화백의 푸른색 점화는 종이의 섬세한 질감 위에 자연의 울림과 리듬감을 담아낸 수작이다. 파란색 점과 선의 변주를 통해 생동감과 입체감을 동시에 느낄 수 있다.

 


단색화 거장 박서보 화백의 붉은색 묘법 대작, 유영국 화백의 추상적인 산 그림 'Mountain(산)' 역시 놓쳐서는 안 될 작품들이다.

 

해외 작가 라인업도 화려하다. '허구적 풍경화'로 유명한 샤라 휴즈의 'Yellow Brick Road(노란 벽돌 길)'은 소설 '오즈의 마법사'에서 영감을 받은 작품이다.

 

'핑거 페인팅' 기법의 아모아코 보아포의 'Smug Face(스머그 페이스)', 쿠사마 야요이의 시그니처 패턴이 돋보이는 'Butterfly(버터플라이)', 아야코 록카쿠의 신비로운 소녀 그림도 경매에 오른다.

 

특히 럭셔리 섹션에서는 루이비통과 무라카미 다카시의 협업 20주년 기념 한정판 'OnTheGo BB(온더고 비비)' 가방이 시작가 0원의 스페셜 랏으로 등장해 뜨거운 경합을 예고한다. 전 세계적으로 품절 사태를 빚은 이 가방은 무라카미 다카시의 '슈퍼플랫 판다' 캐릭터와 루이비통의 모노그램 캔버스가 결합된 독특한 디자인이 특징이다.

 

서울옥션은 이달 26일부터 30일까지 '아트바젤 홍콩' 기간에 맞춰, 24일까지 서울옥션 본사, 이후 홍콩 그랜드하얏트 호텔 살롱에서 프리뷰를 진행한다.

 

롯데카드 다음은 당신?…연이은 금융 범죄, 간편결제마저 '안전지대' 아니었다

 최근 롯데카드 개인정보 유출 사태와 같은 대규모 금융 범죄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극에 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편리함을 무기로 빠르게 성장한 간편결제 서비스마저 범죄의 표적이 되면서 그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올해 들어 8월까지만 집계된 간편결제 부정 결제 사고 금액이 이미 2억 원을 훌쩍 넘어섰다는 사실은 더 이상 간편결제 서비스가 안전지대가 아님을 명백히 보여준다. 이는 지난해 전체 피해액을 이미 넘어선 수치로, 비대면 금융 거래의 확산과 함께 보안의 허점을 노리는 범죄 수법 또한 날로 교묘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피해 사례의 대부분이 명확한 수법조차 파악되지 않는 '불상의 방법'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은 소비자들의 불안감을 더욱 증폭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금융감독원의 자료에 따르면, 올해 간편결제 부정 결제는 총 50건이 발생했으며, 그 피해액은 2억 2천76만 원에 달한다. 업체별로 살펴보면, 국내 최대 오픈마켓 중 하나인 지마켓에서 발생한 피해가 22건, 1억 6천74만 원으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전체 피해액의 약 73%에 해당하는 충격적인 수치다. 그 뒤를 이어 쿠팡페이가 7건(3천8만 원), 비즈플레이가 6건(1천987만 원)으로 나타나, 대형 플랫폼을 중심으로 피해가 집중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폭발적으로 증가했던 부정 결제 사고는 한때 감소하는 듯 보였으나, 올해 다시 고개를 들며 소비자들의 경각심을 일깨우고 있다. 이는 간편결제 시스템의 구조적 취약점이나 보안 강화 조치가 범죄의 진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더욱 우려스러운 점은 피해액 상위 사례들의 범죄 수법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올해 발생한 가장 큰 규모의 피해 사건은 범인이 불상의 방법으로 탈취한 이용자 정보를 이용해 지마켓에서 해외 놀이공원 입장권을 대량으로 구매한 건으로, 단 한 명의 피해자가 무려 2,970만 원의 손해를 입었다. 2위와 3위 사건 역시 비슷한 방식으로 각각 2,613만 원과 1,843만 원의 피해를 낳았다. 이처럼 범죄자들이 어떤 경로로 개인정보와 결제정보를 빼내는지조차 파악하기 어려운 '블랙박스' 범죄가 늘어난다는 것은, 기존의 보안 방식으로는 더 이상 완벽한 방어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간편결제 서비스 제공 기업들이 더욱 고도화된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을 구축하고, 소비자들에게는 다중 인증 설정과 같은 적극적인 보안 조치를 생활화해야 할 필요성을 절실하게 보여준다.간편결제는 이제 우리 삶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필수 서비스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그 편리함의 이면에 도사린 위험은 결코 가볍게 여길 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다. 연이어 발생하는 금융 범죄와 속수무책으로 뚫리는 간편결제 시스템은 단순한 금전적 피해를 넘어, 사회 전반의 신뢰를 무너뜨리는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금융 당국과 관련 기업들은 더 이상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식의 사후 대응에서 벗어나, 선제적이고 다각적인 보안 강화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 또한, 소비자 스스로도 자신의 정보가 언제든 범죄의 표적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비밀번호의 주기적인 변경, 의심스러운 링크나 앱 설치 자제 등 정보보호 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노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진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