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모아

구준엽, 故 서희원 묘소 선정 난항... 유해는 여전히 자택에

 가수 구준엽(56)이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난 아내, 대만 배우 서희원(쉬시위안·48)의 묘소를 아직 결정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해는 현재 자택에 임시 보관 중이며, 구준엽은 아내를 추모할 수 있는 적합한 장소를 찾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27일 차이나타임스 등 현지 매체 보도에 따르면, 당초 서희원의 유족은 고인의 뜻에 따라 수목장을 계획했으나, 구준엽을 포함한 가족들은 관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고인의 동상을 세울 수 있는 독립된 공간을 희망하고 있다.

 

대만의 유명 장례 기업 룽옌에서 1000만 대만달러(한화 약 4억원)를 후원해 서희원을 위한 소규모 추모 정원을 조성할 계획이라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지만, 이는 곧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현지 매체는 "서희원 가족이 고인의 마음에 드는 장소를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고 전했다.

 

앞서 서희원의 동생 서희제(쉬디시·46)는 언니의 생전 뜻에 따라 수목장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수목장은 화장한 유골을 나무뿌리 주변에 묻거나 별도 용기에 담아 묻는 친환경적인 장례 방식이다.

 

그러나 구준엽이 "사랑하는 아내를 언제든 방문해 애도할 수 있는 독립적인 공간이 있길 바란다"고 밝히면서, 가족들은 장례 장소를 다시 논의하게 되었다. 구준엽은 아내를 잃은 슬픔에 식사도 제대로 하지 못해 체중이 6kg가량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주변의 추천을 받아 묘지를 직접 방문하며 신중하게 장소를 물색 중이다.

 


다만 묘지 선정이 지연되면서 유해가 여전히 자택에 보관되고 있어, 일부 이웃들의 항의도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구준엽과 서희원은 1990년대 후반 연인 사이였으나 헤어졌다가, 20여 년 만에 재회해 2022년 극적으로 결혼에 골인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결혼식은 올리지 못하고 양국에서 혼인신고를 통해 법적인 부부가 되었다. 이후 구준엽은 대만과 한국을 오가며 활발한 활동을 이어왔다.

 

하지만 서희원은 지난 2일 일본 가족 여행 중 폐렴을 동반한 독감으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고인은 일본에서 사망 전 네 차례 병원을 찾았으나, 치료의 골든타임을 놓쳐 안타깝게 세상을 떠났다. 구준엽과 서희원 가족들은 일본에서 장례와 화장 절차를 마친 후, 유해를 대만으로 운구했다.

 

갑작스러운 비보에 구준엽은 예정된 DJ쇼, 기자회견, 팬 미팅 등 모든 공개 행사를 무기한 중단했으며, 활동 재개 시점은 미정이다.

 

구준엽과 서희원의 드라마틱한 러브스토리와 갑작스러운 이별은 많은 이들에게 안타까움을 안겨주고 있다. 아내를 잃은 슬픔 속에서도 고인을 위한 최선의 장소를 찾으려는 구준엽의 노력은, 그의 깊은 사랑을 짐작하게 한다.

 

당신이 다니는 회사는 '천국'인가 '지옥'인가... 대기업 육아휴직 사용률 70배 차이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국내 매출액 기준 100대 기업 중 육아지원제도를 공시한 83개 기업을 대상으로 육아휴직 현황을 조사한 결과, 기업 간 극심한 양극화가 드러났다.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육아휴직 사용자 수 1위는 삼성전자로 무려 4,892명이 육아휴직을 사용했다. 이는 국내 대기업 중 단연 최고 수준이다. 삼성전자에 이어 기업은행(1,391명), LG디스플레이(1,299명), 한국전력공사(1,004명)가 뒤를 이었다. 특히 상위 4개 기업만이 육아휴직 사용자 1,000명 이상을 기록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5위부터 10위까지는 한국수력원자력(758명), SK하이닉스(756명), 현대자동차(639명), 국민은행(562명), 대한항공(547명), LG전자(534명)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두산밥캣은 육아휴직 사용자가 고작 5명에 그쳐 조사 대상 기업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전년 대비 육아휴직 사용자 증가 폭을 살펴보면, 역시 삼성전자가 422명 증가해 1위를 차지했다. 한국전력공사(280명 증가), CJ제일제당(86명 증가), 우리은행(75명 증가), LG에너지솔루션(71명 증가)이 그 뒤를 이었다. 이들 기업은 육아휴직 문화가 점차 정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더욱 충격적인 것은 육아휴직 사용률 격차다. 롯데쇼핑은 지난해 80%의 육아휴직 사용률을 기록하며 3년 연속 80% 이상의 높은 사용률을 유지했다.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77.3%),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72.9%), 기업은행(64.5%)도 상당히 높은 사용률을 보였다.그러나 SK에코플랜트의 경우 육아휴직 사용률이 고작 1.2%에 불과해 충격을 주고 있다. 더욱 심각한 것은 이 수치가 3년 연속 1%대에 머물러 있다는 점이다. 한온시스템(4.2%), 현대건설(6.7%), 현대엔지니어링(7.0%) 등도 10% 미만의 저조한 사용률을 기록했다.업종별로 살펴보면, 금융권과 유통업계가 상대적으로 육아휴직 사용률이 높은 반면, 건설·엔지니어링·중공업 분야는 사용률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업종별 근무 환경과 기업 문화의 차이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전문가들은 "육아휴직 사용률이 낮은 기업들은 여전히 남성 중심적 조직 문화와 업무 공백에 대한 부담이 크다"며 "정부 차원의 강력한 제도적 지원과 기업 문화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특히 SK에코플랜트와 같이 3년 연속 1%대의 극히 저조한 사용률을 보이는 기업들에 대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개선 노력이 요구된다. 반면, 롯데쇼핑처럼 80%대의 높은 사용률을 유지하는 기업들의 사례는 다른 기업들에게 좋은 본보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결국 이번 조사 결과는 국내 대기업들 사이에서도 육아휴직 문화의 정착 정도가 천차만별이며, 여전히 많은 기업들이 일·가정 양립 문화 조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