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정몽규 4선 성공, '쓴소리' 축구 스타들의 운명은?

 정몽규 대한축구협회(KFA) 회장이 4선에 성공하면서, 그동안 축구협회와 정 회장에게 쓴소리를 아끼지 않았던 축구 스타들의 미래에 대한 팬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 26일, 정몽규 회장은 제55대 축구협회 회장 선거에서 신문선, 허정무 후보를 압도적인 표 차이로 제치고 당선됐다. 1차 투표에서 유효투표(182표)의 85.7%에 달하는 156표를 얻어, 결선 투표 없이 당선을 확정 지었다. 이로써 정 회장은 2029년 초까지 12년간 축구협회를 이끌게 됐다.

 

문제는 정 회장과 축구협회에 비판적인 목소리를 냈던 축구 스타들의 향후 행보다. 박주호는 유튜브를 통해 홍명보 감독 선임 과정의 부당함을 폭로했고, 축구협회는 이에 법적 대응을 예고했다가 여론의 뭇매를 맞고 철회한 바 있다.

 

박지성 역시 박주호에 대한 축구협회의 대응을 비판하며, "장기적으로 협회에 대한 신뢰를 다시 확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클린스만 감독 사퇴 이후 "체계 자체가 무너졌다"며 국가대표 전력강화위원회의 올바른 감독 선임 절차를 촉구하기도 했다.

 

이천수는 정몽규 회장의 자서전 출간에 대해 "능력 없는 사람을 쓰는 게 잘못"이라며 비판 수위를 높였고, 이영표는 홍명보 감독 선임 과정을 언급하며 "축구인들은 행정을 맡지 말고 사라져야 한다"는 극단적인 발언까지 했다.

 


이처럼 한국 축구를 대표하는 스타들이 정 회장과 축구협회의 운영 방식에 대해 공개적으로 문제를 제기해왔다. 팬들은 정 회장의 4선 연임으로 인해 이들이 향후 축구계 활동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걱정하고 있다.

 

물론 이들이 야인으로 지낸다면 불이익을 받을 가능성은 낮다. 하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축구계에 다시 발을 들여놓으려 할 때, 과거의 비판적인 발언들이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특히, 박주호, 박지성, 이천수 등은 한국 축구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소중한 인재들이다. 정 회장과 축구협회가 이들의 능력을 외면하고, 자신들에 대한 비판을 이유로 배척하는 것은 아닌지 팬들은 걱정하고 있다.

 

정몽규 회장의 임기는 2029년 초까지다. 정 회장과 축구협회를 향해 쓴소리를 했던 축구 스타들의 미래가 어떻게 전개될지, 팬들의 관심과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기존 세입자'는 갱신으로 안도, '신규 세입자'는 매물 찾아 삼만리… 갈라진 임대차 시장

 정부의 6·27 부동산 대책이 시행된 지 두 달이 지나면서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아파트 전세 시장이 급격하게 얼어붙고 있다. 신규로 전셋집을 구하려는 수요자들은 급감한 매물과 치솟은 호가에 발을 동동 구르는 반면, 기존 세입자들은 계약갱신요구권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주거 안정에 나서는 양극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갭투자를 억제하려던 정책이 전세 공급 자체를 위축시키는 부작용을 낳으면서, 임대차 시장의 구조적 왜곡과 신규 세입자의 주거비 부담 가중이라는 새로운 문제점을 낳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대책 시행 이후인 올해 7월부터 8월까지 전국 아파트 전세 계약 건수는 총 8만 9220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나 감소했다. 특히 신규 계약은 5만 5368건에 그치며 전년 동기 대비 28.6%라는 가파른 감소세를 보였다. 서울(-30.4%)과 경기(-33.4%) 등 수도권의 감소 폭은 더욱 두드러졌다. 이는 갭투자가 어려워지자 다주택자들이 전세 공급을 꺼리면서 나타난 직접적인 결과로 풀이된다. 반면, 같은 기간 갱신 계약은 3만 3852건으로 23.7% 급증했으며, 이 중 임차인이 법적 권리인 갱신요구권을 사용한 경우는 1만 7477건으로 무려 83.2%나 폭증했다. 전세 매물 품귀 현상으로 임대인 우위 시장이 형성되자, 기존 세입자들이 새로운 집을 구하는 대신 현재 거주지에 머무르는 것을 택하고 있는 것이다.신규 세입자와 기존 세입자 간의 '가격 격차'는 이러한 시장의 이중 구조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지난 두 달간 서울의 동일 아파트, 동일 면적에서 체결된 계약을 비교한 결과, 신규 계약의 평균 전셋값은 6억 3716만원으로 갱신 계약 평균가(5억 8980만원)보다 4736만원, 비율로는 8.7%나 더 높았다. 불과 1년 전만 해도 이 가격 차이가 1.7%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하면, 신규 세입자가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지불해야 하는 '입장료'가 엄청나게 비싸진 셈이다. 어렵게 전세 매물을 찾아도 이미 크게 오른 가격을 감당해야 하는 신규 세입자들의 부담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전세 시장에서 밀려난 수요자들은 결국 월세 시장으로 발길을 돌리는 '풍선 효과'도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같은 기간 아파트 월세 계약은 8만 2615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 증가하며 전세 시장의 위축과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는 높은 전셋값과 매물 부족에 지친 임차인들이 울며 겨자 먹기로 월세를 선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 전문가는 "정부 대책이 전세 시장의 공급 부족과 신규 세입자의 주거비 부담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며 "법적 권리로 주거를 연장하는 기존 세입자와 높은 비용을 치르고 시장에 진입해야 하는 신규 세입자 간의 격차가 벌어지면서 임대차 시장의 양극화가 고착될 수 있다"고 깊은 우려를 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