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모아

단백질, 육류 없이도 OK..'이것' 식단 채워야..

단백질은 우리 몸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영양소로, 근육 형성과 면역력 강화, 효소 및 호르몬 생성 등에 중요한 요소다. 많은 사람들이 단백질을 섭취할 때 주로 고기나 생선을 떠올리지만, 일부 과일과 채소 역시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건강에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은 각각 장점이 다르므로 균형 잡힌 섭취가 필요하다. 식물성 단백질은 일반적으로 동물성 단백질보다 필수 아미노산의 구성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불완전 단백질’로 분류되지만, 일부 식물성 식품은 9가지 필수 아미노산을 모두 포함하고 있어 ‘완전 단백질’로 인정받기도 한다. 이러한 식물성 단백질 식품을 충분히 섭취하면 건강을 유지하면서도 체내 단백질 보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콩과 식물은 대표적인 식물성 단백질 공급원이다. 병아리콩, 렌틸콩, 동부콩 등은 단백질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섬유질과 엽산 등 중요한 영양소도 함께 제공한다. 병아리콩 1인분에는 약 8g의 식물성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채식주의자나 육류 섭취를 줄이려는 사람들에게 유용한 단백질 공급원이다. 또한 콩류는 장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섬유질이 풍부해 장내 유익균을 증가시키고 소화를 돕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식물성 단백질을 섭취할 때 콩과 식물을 포함하면 장 건강을 유지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골드 키위는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한 과일로,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는 몇 안 되는 과일 중 하나다. 골드 키위 두 개(1인분 기준)에는 약 1.7g의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비타민C를 비롯한 20가지 비타민과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어 면역력 강화에도 기여한다. 일반적으로 과일은 단백질 함량이 낮지만, 키위는 단백질과 비타민을 동시에 섭취할 수 있는 과일로 손꼽힌다.

 

풋콩은 9가지 필수 아미노산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완전 단백질로, 식물성 단백질 공급원 중에서도 주목할 만한 식품이다. 반 컵 분량의 풋콩에는 약 9g의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연구에 따르면 콩 단백질은 심장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식물성 단백질을 섭취하면서도 필수 아미노산을 골고루 공급받고 싶다면 풋콩을 포함한 다양한 콩류를 식단에 추가하는 것이 좋다.

 

아티초크는 단백질뿐만 아니라 항산화제, 섬유질, 미량 영양소가 풍부한 식품이다. 중간 크기의 아티초크에는 약 4g의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일부 연구에서는 아티초크 추출물이 나쁜 콜레스테롤(LDL) 감소와 관련이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아티초크는 단백질 함량이 높은 채소 중 하나로, 건강한 식단에 추가하면 전반적인 영양 균형을 맞추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아보카도는 건강한 지방과 함께 단백질도 포함하고 있는 식품이다. 약 200g의 아보카도에는 약 4g의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해 지용성 비타민 A, D, K, E의 흡수를 도와준다. 또한 아보카도에 포함된 섬유질은 장 건강을 지원하고 혈당 수치를 조절하는 데도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옥수수도 단백질이 포함된 채소로, 1인분 섭취 시 약 3.34g의 단백질을 제공한다. 노란색 옥수수는 루테인과 제아잔틴이라는 식물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어 눈 건강을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옥수수는 식이섬유가 풍부해 소화에도 좋으며, 탄수화물과 단백질을 함께 공급하는 균형 잡힌 식품이다.

 

식물성 단백질을 섭취할 때는 단백질 함량뿐만 아니라 필수 아미노산의 구성도 고려해야 한다. 대부분의 식물성 단백질 식품은 한두 가지 필수 아미노산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식품을 조합하여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곡물과 콩류를 함께 먹으면 부족한 아미노산을 보완할 수 있다. 단백질이 풍부한 식물성 식품을 적절히 활용하면 건강을 유지하면서도 균형 잡힌 영양을 섭취할 수 있으며, 육류 섭취를 줄이면서도 필수 영양소를 보충할 수 있다. 식단을 구성할 때 이러한 단백질이 포함된 과일과 채소를 고려하면 보다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할 수 있다.

 

용도지역 '수직 상승'…노후 빌라촌, 4000세대 대단지로 '환골탈태'하는 지역 4곳은?

 서울시가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되어 온 노후 저층 주거지의 주거 환경 개선과 주택 공급 확대를 위해 칼을 빼 들었다. 시는 '모아주택·모아타운' 사업을 통해 강북구, 구로구 등 4개 지역을 새로운 주거 단지로 탈바꿈시키고, 이를 통해 총 4093세대에 달하는 대규모 주택을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서울시는 지난 11일 열린 제13차 소규모주택정비 통합심의 소위원회에서 △강북구 미아동 90-45번지 일대 모아주택 △구로구 구로동 511 일대 모아타운 △서대문구 홍은동 10-18 일대 모아타운 △중랑구 망우3동 474-29 일대 모아타운 등 총 4건의 사업 계획안을 통과시켰다. 이들 지역은 사업이 완료되면 임대주택 796세대를 포함한 총 4093세대의 신축 주택이 들어서는 대규모 주거 개선 사업의 수혜를 입게 된다.지역별 세부 계획을 살펴보면, 먼저 강북구 송중초등학교 인근 미아동 90-45번지 일대는 기존 105세대에서 175세대(임대 35세대 포함)로 주택 공급이 67%나 확대된다. 지하 2층, 지상 16층 규모의 아파트 4개 동이 들어설 예정이며, 전체 세대의 20% 이상을 임대주택으로 공급하는 대신 용적률을 200%에서 249.91%로 완화받아 사업성을 높였다. 특히 보행자와 차량이 뒤섞여 위험했던 기존 6m 이하의 좁은 도로에는 부지 내 공지를 활용한 2m 폭의 보도를 신설해 안전한 보행 환경을 확보하고, 송중초 남측에는 공원을 조성하여 쾌적함을 더한다.구로구 구로동 511 일대는 노후 건축물이 밀집하고 주차 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했던 지역이다. 이번 모아타운 지정을 통해 기존 1156세대에서 161세대가 늘어난 총 1317세대(임대 213세대 포함)의 대단지로 거듭난다. 제2종 일반주거지역이었던 용도지역을 제3종으로 상향 조정해 사업성을 확보했으며, 구로역과 대림역 더블 역세권에 고려대구로병원이 인접한 입지적 장점을 극대화할 전망이다. 주민 편의를 위해 단지와 구로동로 40길을 잇는 공공 보행 통로를 만들고, 주 통학로의 보행 공간을 넓히는 등 보행 친화적 환경 조성에 초점을 맞췄다.서대문구 홍은동 10-18번지 일대는 노후 건축물 비율이 78.3%, 반지하 주택 비율이 41.7%에 달하는 대표적인 저층 주거 밀집 지역이었다. 북한산과 홍제천이라는 천혜의 자연환경을 끼고 있음에도 개발이 정체됐던 이곳은, 2030년까지 기존 140세대에서 181세대 늘어난 총 321세대(임대 38세대 포함)의 신축 주택이 공급된다. 주 진입로인 홍은중앙로 폭을 8m에서 10m로 넓히고, 북한산 근린공원으로 이어지는 홍은중앙로9길도 확장하여 접근성을 개선한다.이번에 지정된 곳 중 가장 규모가 큰 중랑구 망우3동 474-29번지 일대는 무려 2280세대(임대 510세대 포함)의 매머드급 단지가 들어선다. 제1종, 제2종(7층 이하) 등이 혼재되어 있던 용도지역을 전체 제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통일해 사업의 걸림돌을 제거했다. 인근 혜원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안전한 통학을 위해 상봉로16길과 봉우재로58길에 보도를 신설하고 도로 폭을 대폭 넓힌다. 또한, 경춘선·경의중앙선 망우역과 신설 예정인 면목선 경전철과 인접한 교통의 요지로서, 인근 재개발 사업과 시너지를 내며 지역 발전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이번 결정으로 4개 지역의 주거 환경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이라며 "단순한 주택 공급을 넘어, 도로 확충과 공원 조성 등 기반 시설 확충을 통해 지역 전체의 가치를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