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모아

단백질, 육류 없이도 OK..'이것' 식단 채워야..

단백질은 우리 몸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영양소로, 근육 형성과 면역력 강화, 효소 및 호르몬 생성 등에 중요한 요소다. 많은 사람들이 단백질을 섭취할 때 주로 고기나 생선을 떠올리지만, 일부 과일과 채소 역시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건강에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은 각각 장점이 다르므로 균형 잡힌 섭취가 필요하다. 식물성 단백질은 일반적으로 동물성 단백질보다 필수 아미노산의 구성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불완전 단백질’로 분류되지만, 일부 식물성 식품은 9가지 필수 아미노산을 모두 포함하고 있어 ‘완전 단백질’로 인정받기도 한다. 이러한 식물성 단백질 식품을 충분히 섭취하면 건강을 유지하면서도 체내 단백질 보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콩과 식물은 대표적인 식물성 단백질 공급원이다. 병아리콩, 렌틸콩, 동부콩 등은 단백질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섬유질과 엽산 등 중요한 영양소도 함께 제공한다. 병아리콩 1인분에는 약 8g의 식물성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채식주의자나 육류 섭취를 줄이려는 사람들에게 유용한 단백질 공급원이다. 또한 콩류는 장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섬유질이 풍부해 장내 유익균을 증가시키고 소화를 돕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식물성 단백질을 섭취할 때 콩과 식물을 포함하면 장 건강을 유지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골드 키위는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한 과일로,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는 몇 안 되는 과일 중 하나다. 골드 키위 두 개(1인분 기준)에는 약 1.7g의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비타민C를 비롯한 20가지 비타민과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어 면역력 강화에도 기여한다. 일반적으로 과일은 단백질 함량이 낮지만, 키위는 단백질과 비타민을 동시에 섭취할 수 있는 과일로 손꼽힌다.

 

풋콩은 9가지 필수 아미노산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완전 단백질로, 식물성 단백질 공급원 중에서도 주목할 만한 식품이다. 반 컵 분량의 풋콩에는 약 9g의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연구에 따르면 콩 단백질은 심장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식물성 단백질을 섭취하면서도 필수 아미노산을 골고루 공급받고 싶다면 풋콩을 포함한 다양한 콩류를 식단에 추가하는 것이 좋다.

 

아티초크는 단백질뿐만 아니라 항산화제, 섬유질, 미량 영양소가 풍부한 식품이다. 중간 크기의 아티초크에는 약 4g의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일부 연구에서는 아티초크 추출물이 나쁜 콜레스테롤(LDL) 감소와 관련이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아티초크는 단백질 함량이 높은 채소 중 하나로, 건강한 식단에 추가하면 전반적인 영양 균형을 맞추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아보카도는 건강한 지방과 함께 단백질도 포함하고 있는 식품이다. 약 200g의 아보카도에는 약 4g의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해 지용성 비타민 A, D, K, E의 흡수를 도와준다. 또한 아보카도에 포함된 섬유질은 장 건강을 지원하고 혈당 수치를 조절하는 데도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옥수수도 단백질이 포함된 채소로, 1인분 섭취 시 약 3.34g의 단백질을 제공한다. 노란색 옥수수는 루테인과 제아잔틴이라는 식물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어 눈 건강을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옥수수는 식이섬유가 풍부해 소화에도 좋으며, 탄수화물과 단백질을 함께 공급하는 균형 잡힌 식품이다.

 

식물성 단백질을 섭취할 때는 단백질 함량뿐만 아니라 필수 아미노산의 구성도 고려해야 한다. 대부분의 식물성 단백질 식품은 한두 가지 필수 아미노산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식품을 조합하여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곡물과 콩류를 함께 먹으면 부족한 아미노산을 보완할 수 있다. 단백질이 풍부한 식물성 식품을 적절히 활용하면 건강을 유지하면서도 균형 잡힌 영양을 섭취할 수 있으며, 육류 섭취를 줄이면서도 필수 영양소를 보충할 수 있다. 식단을 구성할 때 이러한 단백질이 포함된 과일과 채소를 고려하면 보다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할 수 있다.

 

493일, 두 번의 수술, 그리고 눈물의 포효…조규성의 '인간승리', 이제 남은 건 국대 복귀뿐

 무려 493일, 16개월이 넘는 기나긴 침묵을 깨고 '꽃미남 스트라이커' 조규성의 발끝이 드디어 폭발했다. 덴마크컵 3라운드 올보르와의 경기, 팀이 1-0으로 앞서던 후반 13분 교체 투입된 그는 그라운드를 밟는 감각부터 되새기는 듯 보였다. 그리고 후반 34분, 동료가 오른쪽에서 낮게 깔아준 크로스를 특유의 동물적인 위치 선정으로 찾아 들어가 침착한 오른발 슈팅으로 마무리했다. 득점 직후, 그는 그동안의 모든 설움과 고통을 토해내듯 원정 팬들을 향해 달려가 포효했다. 2024년 5월 이후 처음으로 맛보는 골이자, 축구 인생을 송두리째 흔들었던 끔찍한 부상 터널의 끝을 알리는 부활의 신호탄이었다.조규성에게 지난 1년은 그야말로 악몽과도 같은 시간이었다. 모든 것은 2023-24시즌 종료 후 받은 무릎 수술에서부터 시작됐다. 사실 아시안컵을 앞둔 2023년 12월부터 무릎 반월판에 통증을 안고 있었지만, 그는 팀을 위해 6개월간 고통을 참고 뛰는 투혼을 발휘했다. 시즌이 끝나고 예정대로 수술대에 올랐지만, 누구도 예상치 못한 합병증이 그의 발목을 잡았다. 재활을 위해 찾은 이탈리아에서 원인 모를 감염이 발생한 것이다. 무릎은 비정상적으로 부어올랐고, 세 차례나 주사기로 물을 빼내야 했다. 결국 감염된 박테리아를 제거하기 위한 두 번째 수술을 받아야만 했다. 한 달간 병상에 누워있는 동안 몸무게는 12kg이나 빠졌고, 극심한 고통에 하루 서너 번씩 진통제를 맞으며 밤잠을 설치기 일쑤였다. 그 스스로 "살면서 제일 힘든 시기였다"고 고백할 만큼, 선수 생명마저 위협받았던 최악의 위기였다.그 지옥 같던 시간을 이겨내고 올 시즌 팀에 복귀한 그는 짧게 자른 머리로 비장한 각오를 드러냈다. 그리고 복귀 후 4경기 만에 터진 이번 득점은 단순한 1골 이상의 의미를 가졌다. 경기 후 인터뷰에서 그는 "오랫동안 머릿속으로 그렸던 그림"이라며 "이 순간을 1년 넘게 기다렸다"고 벅찬 감정을 숨기지 못했다. 동료들 역시 라커룸에서 축제 분위기를 만들며 그의 귀환을 진심으로 축하해줬다. 이 한 방의 골은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준비하는 홍명보호에도 강력한 메시지를 던졌다. 손흥민과 호흡을 맞출 최전방 스트라이커 자리를 두고 주민규, 오세훈, 오현규 등이 치열한 경쟁을 펼치는 가운데, 부상 전까지 대표팀의 부동의 주전이었던 조규성이 자신의 존재감을 다시 한번 각인시킨 것이다. 물론 아직 30여 분을 소화하는 데 그쳐 90분 풀타임을 뛸 몸 상태를 만드는 것이 당면 과제다. 하지만 선수 생명을 위협했던 최악의 부상을 털어내고 마침내 포효한 그의 발끝에 축구 팬들의 시선이 다시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