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52억 대어' 장현식, 걷다가 '충격의 부상'... LG 벌써 후회하나?

 LG 트윈스의 52억 FA 대어 장현식(30)이 스프링캠프 중 예기치 못한 부상으로 팀과 팬들을 긴장시켰다. 미국 애리조나 스프링캠프에서 훈련에 매진하던 장현식은 현지시간 16일 저녁, 단순 보행 중 발생한 사고로 오른쪽 발목 염좌 부상을 당했다.

 

LG 구단은 19일 공식 발표를 통해 "미끄러운 노면 상태로 인해 장현식 선수가 오른발을 헛디뎌 발목 염좌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다행히 현지 병원에서 실시한 X-레이 검사에서 골절 등 심각한 뼈의 이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정확한 부상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장현식은 곧바로 귀국해 정밀 MRI 검사를 받을 예정이다.

 

이번 부상은 LG에게 특히 민감한 사안이다. LG는 지난 스토브리그에서 장현식 영입을 위해 파격적인 조건을 제시했다. 4년 총액 52억원을 전액 보장하는 파격적인 계약 조건으로, 구단의 불펜 보강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여준 계약이었다. 특히 주축 마무리투수 유영찬이 팔꿈치 수술로 전반기 등판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장현식은 LG 불펜의 핵심 전력으로 기대를 모았다.

 


장현식은 지난 시즌 KIA 타이거즈에서 맹활약했다. 75경기에 등판해 75⅓이닝을 소화하며 5승 4패 16홀드, 평균자책점 3.94의 안정적인 성적을 거뒀다. 특히 한국시리즈에서는 1~5차전에 모두 출전해 무실점 피칭으로 팀의 우승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이러한 활약을 바탕으로 FA 시장의 최대어로 떠올랐고, LG는 불펜 강화를 위해 과감한 투자를 단행했다.

 

LG는 장현식 외에도 우완투수 김강률을 영입하는 등 불펜 보강에 총력을 기울였다. 특히 올 시즌 장현식은 유영찬의 공백을 메울 핵심 필승조로 낙점된 상태였다. 따라서 이번 부상이 장기화될 경우 LG의 초반 시즌 운영에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현재 구단과 팬들의 관심은 국내 정밀검진 결과에 쏠려있다. 단순 염좌로 끝날지, 아니면 더 심각한 부상으로 판명날지에 따라 LG의 시즌 초반 전력 구상이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반도체, 바이오, AI…삼성이 6만 개 일자리로 점찍은 미래는 바로 '이곳'

 국내 재계의 맏형 삼성이 대한민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청년들에게 희망을 주기 위한 대규모 고용 계획을 발표하며 사회적 책무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삼성은 18일 공식 발표를 통해, 향후 5년간 총 6만 명에 달하는 인력을 신규로 채용하겠다는 통 큰 계획을 세상에 알렸다. 이는 단순한 일자리 확대를 넘어, 미래 성장 동력으로 점찍은 핵심 사업 분야를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동시에 심각한 취업난을 겪고 있는 청년 세대에게 새로운 기회의 문을 활짝 열어주겠다는 삼성의 확고한 메시지로 풀이된다.이번 채용 계획의 핵심은 '선택과 집중'이다. 삼성은 명실상부한 글로벌 1위 사업이자 국가 기간 산업의 중추인 반도체 부문을 필두로, 미래 먹거리로 확실히 자리매김한 바이오 산업, 그리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기술로 급부상한 인공지능(AI) 분야에 채용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명확히 밝혔다. 이는 곧 삼성이 바라보는 미래 산업의 청사진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대목이다. 초격차 기술을 유지하고 발전시켜야 하는 반도체 분야의 인재를 대거 확보하고, 삼성바이오로직스를 중심으로 한 바이오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하며, 모든 기술의 기반이 될 AI 전문가를 적극적으로 영입하여 미래 시장의 패권을 확실히 장악하겠다는 전략적 포석이 깔려있는 것이다.특히 이번 발표에서 주목할 부분은 청년 고용 확대를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이다. 삼성은 단순히 신입사원을 뽑는 기존 방식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채용연계형 인턴 제도'와 '기술인재 채용'이라는 두 가지 트랙을 병행하여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대학생들에게 직무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인턴십의 규모를 이전보다 대폭 늘려, 취업에 목마른 청년들이 돈 주고도 못 살 실무 역량을 쌓을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인턴십 과정을 통해 그 능력과 잠재력이 검증된 우수 인력에 대해서는 정규직으로 전환 채용하는 문을 활짝 열어두겠다는 방침이다. 이는 단순한 스펙 쌓기를 넘어, 실질적인 취업으로 이어지는 확실한 다리를 놓아주겠다는 점에서 취업 준비생들에게는 가뭄의 단비와 같은 소식이 될 전망이다.이러한 대규모 채용 계획의 배경에는 '인재제일(人材第一)'이라는 삼성의 변치 않는 경영 철학이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삼성은 이미 1957년, 국내 기업 최초로 공개채용 제도를 도입하며 학벌이나 지연에 얽매이지 않고 오직 실력으로 인재를 선발하는 문화를 정착시킨 바 있다. 현재의 어려운 경제 상황 속에서도 이러한 공채 제도의 근간을 굳건히 유지하며 인재 확보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겠다는 의지를 다시 한번 천명한 것이다. 실제로 이번 발표와는 별개로, 삼성전자와 삼성물산,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19개에 달하는 주요 계열사들은 이미 우수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하반기 공개채용 절차를 순조롭게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 계획은 여기에 더해 미래를 향한 삼성의 강력한 투자 의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행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