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블

500만 명이 열광한 오로라, 몰입형 디지털 쇼로 대박나

모히건 인스파이어 엔터테인먼트 리조트(이하 ‘인스파이어’)의 몰입형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거리 ‘오로라’가 개장 1년여 만에 약 500만 명의 방문객을 돌파했다고 13일 밝혔다. 오로라는 2023년 11월 말 소프트 오프닝 이후 국내외 관광객들을 끌어들이며, 2024년 한 해 동안 8만 건 이상의 소셜미디어 언급을 기록하며 큰 화제를 모았다.

 

오로라의 화제성은 그 자체의 몰입감 있는 경험에 의해 더욱 부각되었으며, 다양한 매체와 캠페인에서도 주목을 받았다. 특히 한국관광공사의 2024년 캠페인 영상인 ‘Feel the Rhythm of Korea’에 오로라의 미디어 아트가 소개되면서, 해당 영상은 해외 옥외광고와 온라인 플랫폼에서 총 1.6억 회 조회수를 기록하는 등 큰 반향을 일으켰다.

 

또한, 오로라는 최근 '2024 앤어워드(A.N.D. Award)'에서 디지털 미디어 & 서비스 부문과 여행/레저 분야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했다. 오로라는 웅장한 음향 효과와 함께 펼쳐지는 거대한 3D 콘텐츠로 방문객들에게 초현실적인 스토리 장면을 선보이며 감각적인 예술적 영감을 제공한다. 

 

특히, 오로라의 규모와 기술력은 단연 돋보인다. 150m 길이에 26m 높이의 천장과 벽면을 초고화질 LED 사이니지로 채운 오로라는 22K 초고해상도의 천장 미디어와 8K 해상도의 기둥 미디어가 결합된 거대한 3D 콘텐츠를 통해 남다른 몰입감을 선사한다. 이 거대한 디지털 공간은 방문객들에게 몰입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한편, 시각과 청각을 동시에 자극하여 더욱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오로라’의 매력은 그 규모와 기술적 완성도에서 차별화된다. 처음부터 끝까지 몰입감을 놓칠 수 없으며, 특히 3D 콘텐츠와 8K 해상도는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섬세하고 화려했다. ‘언더 더 블루랜드’에서 펼쳐지는 해양 생물들의 움직임은 가히 실감 나는 경험을 선사했으며, 방문객들은 거대한 고래와 상어가 실제로 눈앞에서 유영하는 듯한 착각에 빠지기도 했다.

 

‘오로라 익스프레스’ 쇼는 거대한 디지털 미디어 벽면과 천장을 넘나드는 스토리라인이 관객을 매료시키며, 다채로운 음향과 함께 펼쳐지는 장면들이 몰입도를 극대화했다. 특히, 천장 미디어와 벽면 미디어가 결합된 22K 해상도의 초고화질 영상은 상상 이상의 디지털 경험을 선사하며, 기존의 미디어 아트와는 차원이 다른 새로운 차원의 엔터테인먼트를 경험할 수 있었다.

 

‘르 스페이스’ 전시 또한 인상적이었다. 디지털 미디어 전시관은 사실감 넘치는 세계를 구현하며, 각기 다른 테마의 전시가 관람객을 새로운 세계로 이끌었다. 다양한 인터랙티브 콘텐츠는 관람객이 직접 참여하며 몰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디지털 아트를 단순히 관람하는 수준을 넘어 실시간으로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오로라는 단순히 시각적, 청각적 즐거움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관람객에게 신비한 세계로의 여행을 선사한다. 몰입형 콘텐츠와 차별화된 기술력 덕분에 오로라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큰 인기를 끌 것이 분명하다.

 

 

또한, 인스파이어는 현대퓨처넷과 협업하여 다양한 새로운 콘텐츠를 선보이며 방문객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현재 매시 정각과 30분마다 상영되는 쇼 콘텐츠인 ‘언더 더 블루랜드’, ‘코즈믹 오디세이’, ‘오로라 익스프레스’ 등이 인기를 끌고 있으며, 평상시에는 신비로운 숲과 하늘, 아프리카 사바나의 대자연을 담은 테마 영상들이 상영되고 있다. 특히, ‘언더 더 블루랜드’ 쇼에서는 거대한 흰수염고래와 다양한 해양 생물이 유영하는 장면이 인상적이다. 이 쇼는 오로라 개장 초기부터 공개되어 많은 화제를 낳으며, 지금까지도 꾸준히 관객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오로라를 입구로 들어서면 ‘큐브’, ‘로툰다’와 같은 디지털 샹들리에와 미디어 아트가 있는 공간들도 방문객들로부터 인기를 끌고 있다. 이 외에도 인스파이어는 약 6,142m²(약 2,000평) 규모의 국내 최대 미디어 전시관 ‘르 스페이스’를 운영하고 있다. ‘르 스페이스’는 ‘미지의 세계로의 여행’을 주제로 18개의 전시 체험 공간을 제공하며, 방문객들이 몰입감 있는 디지털 전시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모히건 인스파이어의 첸 시(Chen Si) 사장은 “오로라와 로툰다 같은 인스파이어의 랜드마크 공간과 콘텐츠가 전 세대에 걸쳐 사랑받고, 이를 통해 지역 관광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기쁘다”며, “인스파이어는 앞으로도 혁신적인 경험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며 방문객들에게 잊을 수 없는 감동을 선사하는 최고의 엔터테인먼트 목적지가 될 수 있도록 발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막걸리가 와인보다 과학적이다! '조상님들의 비밀 레시피' 최초 공개

 동서양을 대표하는 두 발효주, 와인과 막걸리의 제조 과정에는 흥미로운 차이가 존재한다. 이는 단순한 제조 방식의 차이를 넘어, 인류 문명의 발달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와인의 역사는 인류 문명만큼이나 오래되었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최초의 와인은 약 8000년 전 조지아 지역에서 만들어졌다고 한다. 이후 이집트, 메소포타미아를 거쳐 서유럽으로 전파되며, 특히 기독교 문화권에서 성찬용 포도주로 사용되면서 더욱 발전했다.와인 제조의 가장 큰 특징은 그 단순함에 있다. 포도알을 으깨면 자연스럽게 과즙이 나오고, 포도 껍질에 붙어있는 야생 효모가 당분을 분해하며 자연스럽게 발효가 시작된다. 이런 단순한 '단발효' 과정 덕분에 인류는 일찍부터 와인을 즐길 수 있었다.반면 우리의 막걸리는 훨씬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 쌀이라는 원재료부터가 그렇다. 쌀에는 포도와 달리 효모가 바로 먹을 수 있는 당분이 없다. 쌀의 주성분인 전분을 먼저 당분으로 분해해야 하는데, 이것이 바로 '당화' 과정이다. 이를 위해서는 특별한 효소가 필요하다.우리 조상들은 이 문제를 누룩이라는 독특한 발효제로 해결했다. 누룩은 밀이나 보리를 빚어 만든 덩어리로, 그 안에는 효소와 효모가 모두 들어있다. 효소가 먼저 전분을 당분으로 분해하고, 이어서 효모가 그 당분을 먹고 알코올을 만들어내는 '병행 복발효' 방식이다. 이는 마치 압축파일을 푸는 과정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이러한 복잡한 과정은 역설적으로 한국 전통주의 다양성을 가져왔다. 막걸리 원액은 14~15도의 높은 도수를 자랑하는데, 이를 걸러내면 약주가 되고, 맑은 윗부분만 따로 모으면 청주가 된다. 더 나아가 이를 증류하면 소주가 탄생한다. 조선 시대 명주로 꼽히는 감홍로나 홍로주도 모두 이러한 과정을 거쳐 만들어졌다.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효모와 효소의 차이다. 한자어를 살펴보면 그 의미가 더욱 선명해진다. 효소(酵素)는 '항아리 속에서 흰 쌀을 삭히는 물질'을, 효모(酵母)는 '삭힌 것을 품고 술을 낳는 어머니'를 의미한다. 이처럼 정교한 발효 과학이 우리 전통주 문화에 깃들어 있었던 것이다.현대에는 맥주라는 또 다른 양조 방식도 주목받고 있다. 맥주는 보리를 발아시켜 효소를 얻는 '단행 복발효' 방식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는 막걸리의 병행 복발효만큼 높은 도수를 얻을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발효 방식은 그 지역의 문화와 기후, 농작물의 특성을 반영하며 발전해 온 것이다.